분류 전체보기
- 회사 분할 전 임금을 청구한 근로자들에게 법인 분할 사실을 통지하지 않았다면 기존 회사와 분할된 회사가 연대책임을 져야 한다 [대구고법 2019나20796·20840]
- 회식에서의 음주로 인한 주취상태가 주된 원인이 되어 무단횡단을 하다 교통사고를 당한 것은 업무상 재해 [서울행법 2020구단54442]
- 축산업 근로자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휴일 조항의 적용을 제외하는 구 근로기준법 조항에 대한 헌법소원 사건 [헌재 2018헌마563]
- 형법 제20조의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의 의미 및 판단 방법 [대법 2007도6243]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업무상의 재해인정시 업무와 재해 사이의 상당인과관계의 증명책임 전환 여부 [대법 2017두45933]
- 청원법에 따라 제기한 청원에 대해서 「민원처리에 관한 법률」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제처 21-0335]
- 소금산업 진흥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천일염의 의미 [법제처 21-0381]
- 직위해제된 사립학교 교원에 대해 자택에서 대기하도록 인사명령을 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제처 21-0321]
- 지방공사가 여유금을 예입할 수 있는 “금융회사등”의 의미 [법제처 21-0456]
- 수도권을 제외한 도시지역이 아닌 읍 또는 면 지역에서의 지역주택 조합원의 자격기준 [법제처 21-0470]
-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대상인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시행하는 사업”의 의미 [법제처 21-0369]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39조제1항제3호에 따른 “양수”의 의미 [법제처 21-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