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공무원
- 확정된 구제명령을 전혀 이행하지 아니하여 이행강제금을 부과한 것는 적법하다 [서울행법 2020구합3250]
- 사내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들은 원청과 근로자파견관계에 있었다 [서울고법 2017나2005844·200585]
- 이월한 연차의 사용촉진 관련 [임금근로시간과-1279]
- 관공서 공휴일과 유급휴일수당 관련 [임금근로시간과-1081]
- 관공서 공휴일의 유급휴일 적용 관련 [임금근로시간과-653]
- 감사기구의 장의 자격인 “5급 이상 또는 이에 상당하는 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에 5급 공무원의 직근하위직급 공무원 승진임용 요건을 갖춘 사람이 포함되는지 [법제처 21-0292]
- 독자적 사업부문 전체 폐지를 이유로 한 해고는 통상해고 및 정리해고로서 정당하다 [서울고법 2016누50367]
- 일부 사업 부문의 폐지에 따른 소속 근로자 해고가 정리해고 및 통상해고로서 정당성을 갖추지 못하여 무효 [대법 2016두64876]
- 합리적 이유 없이 고용승계를 거절한 것은 부당해고와 마찬가지로 효력이 없다 [대법 2020두45308]
- 육아휴직급여 산정의 기준이 되는 통상임금에 복지포인트는 포함되지 않는다 [대법 2015두49481]
- 난청의 발생과 업무(광부)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 [서울행법 2018구단72959]
- 광업소에서 퇴사한 후 약 상당기간이 지난 시점에 이르러 진단받은 난청과 업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 [서울행법 2018구단73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