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근로기준법94조제1항에서는 사용자는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관하여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다만,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받아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있으나,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연합하면 근로자의 과반수가 되는 경우에, 그 연합체가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있는지?

.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노동조합이 그 조합원 아닌 자로부터 위임받아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있는지?

질의배경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3개의 노동조합이 있으나, 3개의 노동조합이 연합하면 근로자의 과반수가 되는 경우에, 그 연합체가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됨

민원인은 이와 관련하여 고용노동부에 질의하였으나, 고용노동부는 위 연합체는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없다는 답변을 하였고, 이에 이의가 있어 이 건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 질의 가에 대하여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있으나,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연합하면 근로자의 과반수가 되는 경우에도, 그 연합체는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 질의 나에 대하여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노동조합이 그 조합원이 아닌 자로부터 위임받아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이 유>

. 질의 가 및 질의 나의 공통사항

근로기준법94조제1항에 따르면 사용자는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관하여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하고, 다만,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에서는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있으나,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연합하면 근로자의 과반수가 되는 경우에, 그 연합체가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있는지와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노동조합이 그 조합원이 아닌 자로부터 위임받아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있는지가 문제될 수 있습니다.

 

. 질의 가에 대하여

살피건대, 법령의 문언 자체가 비교적 명확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원칙적으로 더 이상 다른 해석방법은 활용할 필요가 없거나 제한될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인바,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서는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그러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를 구분하여,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만 그 노동조합의 동의를 받도록 하고,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동의를 받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 그 노동조합에게만 전제 근로자에 대한 대표성을 인정하여 그 노동조합의 의사를 근로자 전체의 의사로 인정하고자 하는 취지로 보이는바, 설령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연합하면 근로자의 과반수가 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이상 그 각각의 노동조합이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그 연합체 역시 이러한 동의를 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또한,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 요구되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동의와 관련하여, 취업규칙에 규정된 근로조건의 내용을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에 근로자 과반수로 구성된 노동조합이 없는 때에는 근로자들의 회의방식에 의한 과반수 동의가 필요하고, 그 회의방식은 반드시 한 사업 또는 사업장의 모든 근로자가 일시에 한자리에 집합하여 회의를 개최하는 방식만이 아니라, 한 사업 또는 사업장의 기구별 또는 단위부서별로 사용자측의 개입이나 간섭이 배제된 상태에서 근로자 상호간에 의견을 교환하여 찬반의견을 집약한 후 이를 전체적으로 취합하는 방식도 허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인바(대법원 2008.2.29. 선고 200785997 판결례, 대법원 1992.2.25. 선고 9125055 판결례 등 참조), 근로자 과반수로 구성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 위와 같은 회의방식에 의해 근로자의 과반수 동의를 받아야만 하고, 가사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노동조합이 연합하여 근로자의 과반수가 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그 각각의 노동조합의 명의 뿐 아니라 그 연합체의 명의로도 이러한 동의를 할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있으나,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연합하면 근로자의 과반수가 되는 경우에도, 그 연합체는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 질의 나에 대하여

살피건대, 근로기준법94조제1항에서는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만 그 노동조합의 동의를 받도록 하고,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동의를 받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 그 노동조합에게만 전제 근로자에 대한 대표성을 인정하여 그 노동조합의 의사를 근로자 전체의 의사로 인정하고자 하는 취지로 보이고,

나아가,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 요구되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동의와 관련하여, 취업규칙에 규정된 근로조건의 내용을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에 근로자 과반수로 구성된 노동조합이 없는 때에는 근로자들의 회의방식에 의한 과반수 동의가 필요하고, 그 회의방식은 반드시 한 사업 또는 사업장의 모든 근로자가 일시에 한자리에 집합하여 회의를 개최하는 방식만이 아니라, 한 사업 또는 사업장의 기구별 또는 단위부서별로 사용자측의 개입이나 간섭이 배제된 상태에서 근로자 상호간에 의견을 교환하여 찬반의견을 집약한 후 이를 전체적으로 취합하는 방식도 허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인바(대법원 2008.2.29. 선고 200785997 판결례, 대법원 1992.2.25. 선고 9125055 판결례 등 참조), 근로자 과반수로 구성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 위와 같은 회의방식에 의해 근로자의 과반수 동의를 받아야만 하고,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노동조합이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른 동의 할 수는 없는 이상, 그 노동조합이 그 조합원이 아닌 자로부터 위임받아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하는 것 역시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되지 못한 노동조합이 그 조합원이 아닌 자로부터 위임받아 근로기준법94조제1항 단서에 따라 동의할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법령해석례 : 법제처 14-0346, 2014.08.21.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업규칙에 시용기간에 관한 근거규정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시용기간을 규정한 근로계약이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 [서울행법 2013구합22369, 서울고법 2014누52475]  (0) 2015.07.28
취업규칙에 직위해제사유를 새롭게 추가하는 것은 근로조건의 불이익변경에 해당한다 [대전지법 2014가합106391]  (0) 2015.07.15
현장지원단 파견발령이 근거가 없고, 업무상 필요성도 크지 않으며, 대상자 선정의 공정성·합리성이 부족하여 부당하다 [중앙2015부해153]  (0) 2015.05.21
근로계약에 의하여 근무장소가 특정되어 있음에도 근무장소를 변경시키는 복직명령은 위법하다 [서울고법 2014누45538]  (0) 2015.05.14
직원승진임용규칙의 부분 개정이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에 해당하는지 여부 [근로기준정책과-314]  (0) 2015.03.26
법원의 호적정정결정으로 호적상 생년월일이 고쳐졌어도 입사시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정년을 계산해야(정년퇴직발령무효확인) [서울고법 2004나50411]  (0) 2015.03.24
근로자 집단별로 작성예정인 성과연봉제 도입으로 인한 취업규칙 변경 시 동의 주체 [근로개선정책과-117]  (0) 2015.03.20
정년이 지난 근로자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기간을 정해 채용하였다면 해당 근로자는 계약기간까지 근무 가능 [근로개선정책과-7262]  (0) 201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