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건설회사 현장소장의 노무관리 권한에 해고까지 포함돼 있는지 여부 [대법 2020두57608, 서울고법 2020누4245, 서울행법 2019구합64419]
- 아파트 경비업무 방식을 자치관리에서 위탁관리로 변경하면서 수탁업체로의 고용승계를 거부한 근로자를 해고한 것은 정리해고로서 정당하다 [대법 2020두47908, 서울고법 2019누61610]
- 관광진흥법 제32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별표 10의2에 따라 안전·위생기준을 지켜야 하는 대상 시설인 ‘물놀이형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의 범위 [법제처 24-0062]
- 국제회의업의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관광진흥법」 제7조제1항제3호 본문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여 다른 종류의 관광사업인 여행업의 등록을 받을 수 없는지 여부 등 [법제처 24-0155]
- 관세법 제175조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특허보세구역 운영인의 결격사유의 의미 [법제처 24-0169]
- 도시·군관리계획의 입안 제안 시 토지소유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대상 토지의 범위 [법제처 24-0343]
- 토지등소유자가 1인인 사업시행자의 경우 세입자 등에게 정비사업 관련 자료를 공개해야 하는지 [법제처 24-0327]
- 환경오염시설법 제10조제1항 후단에 따라 ‘환경부장관의 권한’으로 보는 범위 [법제처 24-0326]
-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결과 안전등급이 D등급으로 지정된 경우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5조제1항에 따른 ‘해당 시설물이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24-0390]
- ‘엔지니어링사업자의 전문분야 추가’에 대한 신고의 성격 [법제처 24-0323]
- 사용자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9조제1항 본문에 따라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는 기간의 만료의 의미 [법제처 24-0211]
- 법률에서 사용료를 면제 또는 경감할 수 있다고 규정하면서 위임 조례에서 그 감면 기준을 정하고 있는 경우가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제16조제2항제5호에 따른 “그 밖에 다른 법률에 따라 사용료 또는 대부료를 감면하는 경우”에 해당되는지 등 [법제처 2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