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공무원
- 가전제품의 설치, 배달, 수리 등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은 근로자에 해당한다 [서울중앙지법 2018가합568554]
- 노동조합의 상급단체 선택과 관련하여 작성·게시한 글이 명예훼손 및 업무방해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구지법 2019고정995]
- 노동조합의 상급단체 선택과 관련하여 허위사실을 포함한 글을 작성·게시한 것은 업무방홰죄에 해당한다 [대구지법 2020노773]
- 노동조합의 상급단체 선택과 관련하여 일부 허위의 사실이 포함된 글을 작성하여 게시한 것이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업무방해죄에 해당하는지[대법 2021도6634]
- 직장 여직원들에게 성희롱·성추행을 하여 징계해고한 것은 정당하다 [서울행법 2018구합3837 / 서울고법 2019누32407]
- 1년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연차휴가일수는 최대 11일 [대법 2021다227100]
- 출산전후휴가 급여 등의 수급권 대위 신청 기간 [법제처 21-0620]
- 부부 중 한 명이 공무원인 경우 가족수당의 지급이 제한되는 구체적 기준 [법제처 21-0477]
- 4조 3교대조의 심야조 근무에 대한 대가로 지급된 야간교대수당은 통상임금에 해당한다 [대법 2019다288898]
- 회의록 기재만으로는 구체적·실질적인 해고사유를 서면으로 통지하였다고 볼 수없다 [서울고법 2020누50074, 서울행법 2020구합52351]
- 직장 내 성희롱 문제제기 이후 불리한 조치를 한 법인과 임직원 유죄판결 [대법 2020도16858, 수원지법 2020노816, 수원지법 2018고단1046]
- 장인의 청탁을 통해 인턴으로 채용된 자에 대한 징계처분은 정당하다 [서울고법 (춘천)2019나50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