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교육공무원법」 제41조에서는 교원은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소속 기관의 장의 승인을 받아 연수기관이나 근무장소 외의 시설 또는 장소에서 연수(이하 “근무지외연수”라 함)를 받을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초·중등교육법」 제3조제1호의 국립학교 또는 같은 조제2호의 공립학교(이하 “국공립학교”라 함)에서 근무하는 교장, 교감, 사서교사, 영양교사는 「교육공무원법」 제41조에 따라 근무지외연수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인 ‘교원’에 해당하는지?

 

<회 답>

국공립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장, 교감, 사서교사, 영양교사는 「교육공무원법」 제41조에 따라 근무지외연수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인 ‘교원’에 해당합니다.

 

<이 유>

먼저 법령의 문언 자체가 비교적 명확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원칙적으로 더 이상 다른 해석방법은 활용할 필요가 없거나 제한될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인데(대법원 2009.4.23. 선고 2006다81035 판결례 참조), 「교육공무원법」 제2조제1항제1호에서는 교육공무원 중 하나로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원’을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3항제1호에서는 교육기관 중 하나로 「초·중등교육법」 제2조의 학교에 해당하는 국립 또는 공립의 학교를 규정하고 있으나 교원의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은데, 「초·중등교육법」 제19조제1항에서는 학교에는 같은 항 각 호의 ‘교원’을 둔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항제1호 본문에서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공민학교·고등기술학교 및 특수학교에는 교장·교감·수석교사 및 교사를 둔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21조에서는 교원의 자격을 규정하면서 같은 조제2항에서 ‘교사’를 정교사, 준교사, 전문상담교사, 사서교사, 실기교사, 보건교사 및 영양교사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는바, 사서교사, 영양교사는 ‘교사’에 해당하고, 같은 법 제19조에 따라 국공립학교에 있는 교장, 교감, 교사 모두 ‘교원’에 포함된다고 할 것인바, 이러한 교육 관계 법령의 규정을 종합하면 이 사안과 같이 국공립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장, 교감, 사서교사, 영양교사는 ‘교원’에 포함되어 「교육공무원법」 제41조에 따른 근무지외연수를 받을 수 있는 대상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문언에 부합하는 해석입니다.

또한 「교육공무원법」 제41조에서 교원으로 하여금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근무지외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한 것은 상시적으로 학교에 배치되어 학생을 교육하고 지도하는 교원을 대상으로 방학 등 학교에서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이나 그 밖에 학교에서의 교육에 특별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기간 동안 학교에 출근하지 않는 대신 연수기관이나 근무장소 외의 시설이나 장소에서 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려는 취지로서(법제처 2013.4.3. 회신 13-0069 해석례 참조) 교장, 교감, 사서교사, 영양교사는 상시적으로 학교에 배치되어 학생들을 교육하고 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이러한 교육·지도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연수를 통해 직무수행능력을 향상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 같은 법 제41조에 따른 교원에 해당하여 근무지외연수를 받을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해당 규정의 입법취지에도 부합합니다.

아울러 「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 제6조제1항에서는 교원 등의 연수를 직무수행능력 향상 등을 위한 직무연수(제1호)와 교원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자격연수(제2호)로 구분하고 있는데, 같은 조제3항에서는 자격연수의 연수과정을 정교사(1·2급)과정, 전문상담교사(1급)과정, 사서교사(1급)과정, 영양교사(1급)과정, 교감과정, 교장과정 등으로 구분하고 있어 교장, 교감, 사서교사, 영양교사를 자격연수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점, 「교육공무원법」 및 「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 등 교육 관련 법령에서 교장, 교감, 사서교사, 영양교사에 대하여 「교육공무원법」 제41조의 적용을 배제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편 「교육공무원법」 제41조에서는 교원은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연수를 받을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교무를 총괄·관리하여 수업시간을 거의 배정받지 않는 교장, 교감이나 교과(「초·중등교육법」 제23조,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및 그 위임에 따라 마련된 교육부 고시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정하고 있는 교과를 말함) 과목 담당이 아닌 사서교사, 영양교사의 경우 교과 과목 담당교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담당하는 수업시간이 적어 같은 법 제41조에 따른 연수대상인 ‘교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으나, 교장은 수업운영방법 결정(「초·중등교육법」 제24조제3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8조 참조) 등 학교운영에 관한 사항 및 소속 교직원 지도·감독, 학생 교육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초·중등교육법」 제20조제1항 등 참조), 교감은 교장을 보좌하여 교무 관리 및 학생 교육업무를(「초·중등교육법」 제20조제2항 등 참조), 사서교사는 정보해득력 강화를 위한 도서관 이용지도교육 및 독서교육(「도서관법」 제3조제3호 및 제45조제1항 참조) 등을, 영양교사는 올바른 식생활 습관 형성 등 식생활 관련 교육 및 지도(「학교급식법」 제13조 참조)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바, 학교에서 상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장, 교감, 사서교사, 영양교사의 교육·지도업무에 대한 고려 없이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를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학습활동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만으로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근무지외연수의 대상이 되는 교원의 범위를 지나치게 제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러한 의견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공립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장, 교감, 사서교사, 영양교사는 「교육공무원법」 제41조에 따라 근무지외연수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인 ‘교원’에 해당합니다.

 

【법제처 24-0374, 2024.07.09.】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고용노동 관련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전문직원이 담당하는 특수업무의 지원을 위해 교육감이 지방자치단체 외의 기관·단체의 임직원을 파견받아 교육청에서 근무하게 하려는 경우 「지방공무원법」 제7조에 따른 인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는지 여부 [법제처 24-0384]  (0) 2024.07.09
지방공무원법 제63조제1항제5호에 따른 휴직 사유의 범위 [법제처 24-0375]  (0) 2024.06.12
재교육형 계약학과의 학생신분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취업’의 의미 [법제처 24-0099]  (0) 2024.06.12
동일 소속기관 내 부서의 통폐합 및 승진임용이 공무원임용령 제45조의2제3항 단서의 예외사유에 해당되는지 여부 [법제처 24-0219]  (0) 2024.05.27
보험자가 피보험자인 사용자에 대하여 그의 피용자에 대한 사용자책임을 근거로 보험자 대위를 할 수 있는지 여부 [대법 2022다290648]  (0) 2024.05.24
군무원에 대한 전보명령은 군인사권자에게 광범위한 재량이 인정되는 점 등으로 볼 때 전보명령은 정당하다 [대전지법 2021구합953]  (0) 2024.05.17
영업비밀이 제3자나 국외로 이전되지 않았는데도 영업비밀을 유출한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서울고법 2023노999]  (0) 2024.05.09
일반적으로 도시일용노동자의 월 가동일수는 22일로 인정함이 상당하다 [부산지법 2019나63676]  (0)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