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에서는 “사회복지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 단위의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이하 “중앙협의회”라 함)와 시·도 단위의 시·도 사회복지협의회(이하 “시·도협의회”라 함)를 두며, 필요한 경우에는 시[「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10조제2항에 따른 행정시를 포함하며(「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 참조), 이하 같음]·군·구[자치구를 말하며(「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 참조), 이하 같음] 단위의 시·군·구 사회복지협의회(이하 “시·군·구협의회”라 함)를 둘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2항에서는 중앙협의회, 시·도협의회 및 시·군·구협의회는 이 법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가.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시·군·구협의회를 별개의 사회복지법인으로 설립하지 않고 중앙협의회의 지회로 둘 수 있는지?

나.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시·군·구협의회를 별개의 사회복지법인으로 설립하지 않고 시·도협의회의 지회로 둘 수 있는지?

 

<회 답>

가. 질의 가에 대해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시·군·구협의회를 별개의 사회복지법인으로 설립하지 않고 중앙협의회의 지회로 둘 수 없습니다.

나. 질의 나에 대해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시·군·구협의회를 별개의 사회복지법인으로 설립하지 않고 시·도협의회의 지회로 둘 수 없습니다.

 

<이 유>

가.  질의 가와 나의 공통사항

「사회복지사업법」 제16조제1항에서는 “사회복지법인을 설립하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조제2항에서 “제1항에 따라 허가를 받은 자는 법인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33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는 “사회복지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중앙협의회와 시·도협의회를 두며 필요한 경우에는 시·군·구협의회를 둘 수 있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조제2항에서 중앙협의회, 시·도협의회 및 시·군·구협의회는 이 법에 따른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하는 사회복지법인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반면, 「사회복지사업법」에서는 중앙협의회나 시·도협의회의 ‘지회’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고 있는데, 지회(支會)는 일반적으로 어떤 법인의 하부조직(대법원 2018.9.13. 선고 2018다231031 판결례 참조)(참고로 사회복지 관련 법령인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에서는 사회복지법인인 모금회에 지역단위의 사회복지공동모금사업을 관장하기 위하여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특별자치도 단위 사회복지공동모금지회를 둔다고 규정(제14조제1항)하고 있는바, 지회를 모금회의 내부조직으로 두도록 하면서 별도의 법인격 여부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음.)이므로 사회복지법인의 특정 지역 사업을 관장하기 위한 내부조직으로서 별도의 법인격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나.  질의 가에 대해

그렇다면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2항에서 “시·군·구협의회는 이 법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 및 제15조에서는 시·군·구협의회는 임원으로 대표이사·이사·감사를 두면서 이사로 구성된 이사회를 두도록 규정하고 있는 반면, 시·군·구협의회를 중앙협의회의 지회나 내부조직으로 둘 수 있도록 하는 예외를 규정하고 있지 않은바, 시·군·구협의회도 중앙협의회 및 시·도협의회와 같이 이 법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으로 해야 할 것이므로, 같은 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시·군·구협의회를 ‘중앙협의회의 지회’로 둘 수는 없는 것이 문언상 분명합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 및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군·구협의회를 둘 수 있고(2024년 1.2. 법률 제19893호로 일부개정되어 2025.1.3. 시행 예정인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에서는 ‘시·군·구협의회를 둔다’고 개정되었으며, 이하 같음), 시·군·구협의회를 이 법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으로 한다’는 내용은 2003년 7월 30일 법률 제6960호로 「사회복지사업법」이 일부개정되면서 신설된 것인데, 해당 규정은 사회복지서비스는 작은 지역사회단위로 하여 제공하는 것이 수요파악·자원동원 및 서비스 전달 등에 있어서 이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시·군·구 사회복지의 증진을 위하여 전국 혹은 시·도와 별개로 시·군·구에 사회복지협의회를 둘 필요가 있고, 특히 당시 시·군·구에 시·도협의회의 지회 형태로 설치하여 시·군·구협의회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으나 사회복지협의회의 설립 촉진 및 대외관계와 사업수행상의 편의를 위해 지회가 아닌 별개의 ‘독립된 사회복지법인’으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신설된 것(2003.3.17. 의안번호 제162145호로 발의된 사회복지사업법중개정법률안에 대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심사보고서 참조)이므로, 시·군·구협의회를 별개의 사회복지법인으로 설립하지 않고 중앙협의회의의 지회로 둘 수는 없다고 보는 것이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의 개정연혁이나 취지에도 부합한다고 할 것입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시·군·구협의회를 별개의 사회복지법인으로 설립하지 않고 중앙협의회의 지회로 둘 수 없습니다.

 

다.  질의 나에 대해

그렇다면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2항에서 “시·군·구협의회는 이 법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 및 제15조에서는 시·군·구협의회는 임원으로 대표이사·이사·감사를 두면서 이사로 구성된 이사회를 두도록 규정하고 있는 반면, 시·군·구협의회를 시·도협의회의 지회나 내부조직으로 둘 수 있도록 하는 예외를 규정하고 있지 않은바, 시·군·구협의회도 중앙협의회 및 시·도협의회와 같이 이 법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으로 해야 할 것이므로, 같은 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시·군·구협의회를 ‘시·도협의회의 지회’로 둘 수는 없는 것이 문언상 분명합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 및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군·구협의회를 둘 수 있고, 시·군·구협의회를 이 법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으로 한다’는 내용은 2003년 7월 30일 법률 제6960호로 「사회복지사업법」이 일부개정되면서 신설된 것인데, 해당 규정은 사회복지서비스는 작은 지역사회단위로 하여 제공하는 것이 수요파악·자원동원 및 서비스 전달 등에 있어서 이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시·군·구 사회복지의 증진을 위하여 전국 혹은 시·도와 별개로 시·군·구에 사회복지협의회를 둘 필요가 있고, 특히 당시 시·군·구에 시·도협의회의 지회 형태로 설치하여 시·군·구협의회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으나 사회복지협의회의 설립 촉진 및 대외관계와 사업수행상의 편의를 위해 지회가 아닌 별개의 ‘독립된 사회복지법인’으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신설된 것이므로, 시·군·구협의회를 별개의 사회복지법인으로 설립하지 않고 시·도협의회의 지회로 둘 수는 없다고 보는 것이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의 개정연혁이나 취지에도 부합한다고 할 것입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시·군·구협의회를 별개의 사회복지법인으로 설립하지 않고 시·도협의회의 지회로 둘 수 없습니다.

 

【법제처 24-0606, 2024.10.08.】

 

반응형

'기타 > 기타 행정해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급계약을 갱신한 경우가 경비업의 허가를 받은 법인이 신고해야 하는 사유 중 하나인 ‘특수경비업무를 개시하거나 종료한 때’에 해당되는지 여부 [법제처 24-0548]  (0) 2024.10.11
농지법 제6조제1항에 따라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농지 중 3년 이상 소유한 농지를 같은 법 제23조제1항제6호에 따라 한국농어촌공사에 위탁하지 않고 제3자에게 무상사용하게 할 수 있는지 [법제처 24-0577]  (0) 2024.10.11
지방출자출연법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이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2조제16호다목에 따른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특수법인에 해당하는지 [법제처 24-0582]  (0) 2024.09.25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29조제1항에 따라 정원 외로 학적이 관리되는 자가 학교폭력예방법 제2조제3호 등의 “학생”에 포함되는지 여부 [법제처 24-0600]  (0) 2024.09.20
저작권법 제55조에 따른 저작권 등의 등록 신청 대리 업무가 행정사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행정사의 업무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24-0537]  (0) 2024.09.20
선적항이 지정된 어선은 선박입출항법 제3조에 따라 무역항의 수상구역등에서의 선박 입항·출항에 관하여 같은 법의 적용이 제외되는지 여부 [법제처 24-0511]  (0) 2024.09.20
군수품관리법 제13조에 따라 불용결정된 군수품을 매각하는 경우 매각의 특례를 규정한 「물품관리법」 제39조가 준용되는지 등 [법제처 24-0631]  (0) 2024.09.20
국가등이 표시·설치하는 공공목적의 광고물등의 기준 적용 방법 [법제처 24-0637]  (0) 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