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20165월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당시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어 전 직원의 투표를 통해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근로자대표를 선출하고 산업안전보건위원회(임기 3)를 구성하였으나

- 20174월 과반수 근로자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설립된 경우, 기존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임기가 보장되는지 여부

 

<회 신>

타법과 달리 산안법상에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위원 임기에 관한 명시적 규정이 없으나, 다른 노동관계법과의 관계에서 위원 임기는 3년 이내로 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임.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은 노사협의회 위원 임기를 3년으로 규정

- 귀 기관은 사업장내 관련 규정(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규정)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위원의 임기를 3년으로 명시하여 운영중이므로 이는 적절한 운영방법으로 판단됨.

산안법 제19조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시 노사동수 구성의 원칙을 정하고 동법 시행령 제25조의2는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의 구성방법을 규정하는바,

- 근로자대표에 대해 구성 당시 과반수 노동조합이 없다면,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사람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 귀 기관과 같이 구성당시에 과반수 노동조합이 없어 전 직원의 투표를 통해 근로자대표를 선출하여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하였다면 산안법의 원칙과 방법에 따른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임기는 새로이 과반수 노동조합이 설립되었다 하더라도 보장되어야 할 것임.

 

[산재예방정책과-2618, 2017.05.29.]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산업안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감을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해당사업의 대표자’로 볼 수 있는지 [산재예방정책과-4117]  (0) 2020.10.24
교육청에서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함에 있어 방과후학교전담, 교무행정보조가 포함될 수 있는지 [산재예방정책과-3795]  (0) 2020.10.24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 2~4개 노동조합이 구성한 협의체 대표가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근로자대표가 될 수 있는지 [산재예방정책과-2415]  (0) 2020.10.24
3개 노동조합 위원장 간 합의에 의한 근로자대표 선정 후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개최를 요구하는 경우 법적 효력 [산재예방정책과-348]  (0) 2020.10.24
‘사무직으로만 구성된 사업장’의 의미 / 보험설계, 채권추심, 대출영업 등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사무직 근로자로 볼 수 없다 [산재예방정책과-3987]  (0) 2020.10.24
일부 근로자들이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별도로 설치·운영하는 경우, 산업안전보건법상 의무이행이 따르는지 [산재예방정책과-3757]  (0) 2020.10.24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였으나 인원을 과다하게 구성하였을 경우, 과태료 부과 대상 여부 [산재예방정책과-3521]  (0) 2020.10.24
본사와 각 지점, 센터, 가공공장을 일괄하여 하나의 사업장으로 보아 본사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하는지 [산재예방정책과-4927]  (0) 2020.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