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갑회사의 사업장에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운영하고 있으나 사무직 근로자 단체가 사무직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운영한다면 산업안전보건법상 의무이행이 따르는지 여부

 

<회 신>

사업장에 산업안전보건법 제19조에 따른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운영하고 있음에도 일부 근로자들이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별도로 설치·운영하고자 한다면 동 위원회는 법에서 정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로 보기 어려워 법적 권리를 행사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됨.

 

[산재예방정책과-3757, 2014.10.16.]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산업안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 2~4개 노동조합이 구성한 협의체 대표가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근로자대표가 될 수 있는지 [산재예방정책과-2415]  (0) 2020.10.24
3개 노동조합 위원장 간 합의에 의한 근로자대표 선정 후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개최를 요구하는 경우 법적 효력 [산재예방정책과-348]  (0) 2020.10.24
과반수 근로자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설립된 경우, 기존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임기가 보장되는지 [산재예방정책과-2618]  (0) 2020.10.24
‘사무직으로만 구성된 사업장’의 의미 / 보험설계, 채권추심, 대출영업 등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사무직 근로자로 볼 수 없다 [산재예방정책과-3987]  (0) 2020.10.24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였으나 인원을 과다하게 구성하였을 경우, 과태료 부과 대상 여부 [산재예방정책과-3521]  (0) 2020.10.24
본사와 각 지점, 센터, 가공공장을 일괄하여 하나의 사업장으로 보아 본사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하는지 [산재예방정책과-4927]  (0) 2020.10.24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근로자 대표를 구성을 위한 근로자 과반수 기준일 및 근로자 대표 구성 후 그 유효기간 [산재예방정책과-925]  (0) 2020.10.24
안전보건교육 계획의 수립, 작업환경측정 및 건강진단의 시행을 심의·의결을 하지 못하여 사업주가 우선 시행하였을 경우 법 위반 및 그에 따른 과태료 부과 여부 [산재예방정책과-6817]  (0) 2020.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