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근로자수가 서울 본사 31, 각 지점 11명 이하, 각 유통센터 24명 이하, 가공공장 15명으로 현재 본사 및 지점, 유통센터, 가공공장에 별도로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고, 진정조사 결과 각 지점과 유통센터, 가공공장은 인사와 회계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상태이고, 위 사업장의 경우 본사와 각 지점, 센터, 가공공장을 일괄하여 하나의 사업장으로 보아 본사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하는지 여부

 

<회 신>

산업안전보건법 제19조에 의한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설치대상은 사업장 단위로 하고 있는바, 사업장의 개념은 주로 장소적 관념에 따라 결정해야 할 것이고, 동일한 장소에 있으면 원칙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사업장으로 보며, 장소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별개의 사업장으로 보아야 할 것임.

- 다만, 동일한 장소에 있더라도 현저하게 근로의 양태가 다른 부문이 있고 그러한 부문이 주된 부문과 비교하여 노무관리 등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주된 부문과 분리하여 취급함으로써 산업안전보건법이 보다 적절하게 운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부문을 독립된 사업장으로 보아야 하며, 장소적으로 분산되어 있더라도 출장소, 사업소, 지점 등이 업무처리 능력 등을 감안할 때 하나의 사업장이라고 말할 정도의 독립성이 없으면 직근 상위조직(기구)과 일괄하여 하나의 사업장으로 보아야 할 것임.

따라서 하나의 사업장이라고 말할 정도의 독립성이 없다는 사실관계가 명확하다면 본사와 지점, 센터, 가공공장을 일괄하여 하나의 사업장으로 보고 본사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함.

 

[산재예방정책과-4927, 2013.12.31.]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산업안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반수 근로자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설립된 경우, 기존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임기가 보장되는지 [산재예방정책과-2618]  (0) 2020.10.24
‘사무직으로만 구성된 사업장’의 의미 / 보험설계, 채권추심, 대출영업 등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사무직 근로자로 볼 수 없다 [산재예방정책과-3987]  (0) 2020.10.24
일부 근로자들이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별도로 설치·운영하는 경우, 산업안전보건법상 의무이행이 따르는지 [산재예방정책과-3757]  (0) 2020.10.24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였으나 인원을 과다하게 구성하였을 경우, 과태료 부과 대상 여부 [산재예방정책과-3521]  (0) 2020.10.24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근로자 대표를 구성을 위한 근로자 과반수 기준일 및 근로자 대표 구성 후 그 유효기간 [산재예방정책과-925]  (0) 2020.10.24
안전보건교육 계획의 수립, 작업환경측정 및 건강진단의 시행을 심의·의결을 하지 못하여 사업주가 우선 시행하였을 경우 법 위반 및 그에 따른 과태료 부과 여부 [산재예방정책과-6817]  (0) 2020.10.24
본원 소속근로자가 △△병원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근로자위원으로 선임될 수 있는지 [산재예방정책과-331]  (0) 2020.10.24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위원의 회의 참석에 실제 소요된 시간은 유급 [산재예방정책과-4071]  (0) 2020.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