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노사협의회 위원의 신분에 대하여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이하 근참법이라 함)에는 제9조에 위원의 협의회 출석 시간과 이와 직접 관련된 시간으로서 협의회 규정으로 정한 시간은 근로한 시간으로 본다.”로 명시되어 있음.

- 고용노동부에서 발간한 노사협의회 운영매뉴얼에 따르면 협의회 위원이 소정근무시간 중의 회의참석 시간뿐만 아니라 비번 또는 휴일에 참석한 시간에 대해서도 근로한 것으로 인정하여 연장 또는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음.

1. 산업안전보건법(이하 산안법이라 함)에 근거하여 설치된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이하 산보위라 함) 위원의 신분에 대해서는 노사협의회 위원의 신분에 대해 명시한 근참법과는 달리 산안법상에는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데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인지?

2. 산보위도 노사협의회와 같이 위원의 회의참석 시간 및 이와 직접 관련된 시간에 대해 소정근무시간 뿐만 아니라 비번 또는 휴일에 참석한 시간에 대해서도 근로한 것으로 인정하여 연장 또는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해야 한다면 법적 기준은 무엇인지?

3. 만약 특별한 법적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산보위 위원을 노사협의회 위원과 동등하게 처우를 해야 한다면 그 밖의 노사공동으로 참여하는 모둔 위원회(예를들면, 후생복지위원회 등)의 참석 위원에 대해서도 근참법상의 노사협의회 위원과 동등하게 처우를 해야 하는지?

 

<회 신>

산업안전보건법 제19조제7항에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위원으로서 정당한 활동을 한 것을 이유로 그 위원에게 불이익을 주어서는 아니된다.”라고 규정되어 있는바, 이는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제9(위원이 신분)3항에 규정된 내용을 포괄하는 의미로 보아야 할 것임.

- 따라서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위원의 회의 참석과 관련하여 실제 소요된 시간은 유급처리함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됨.

 

[산재예방정책과-4071, 2011.09.27.]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산업안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사와 각 지점, 센터, 가공공장을 일괄하여 하나의 사업장으로 보아 본사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하는지 [산재예방정책과-4927]  (0) 2020.10.24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근로자 대표를 구성을 위한 근로자 과반수 기준일 및 근로자 대표 구성 후 그 유효기간 [산재예방정책과-925]  (0) 2020.10.24
안전보건교육 계획의 수립, 작업환경측정 및 건강진단의 시행을 심의·의결을 하지 못하여 사업주가 우선 시행하였을 경우 법 위반 및 그에 따른 과태료 부과 여부 [산재예방정책과-6817]  (0) 2020.10.24
본원 소속근로자가 △△병원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근로자위원으로 선임될 수 있는지 [산재예방정책과-331]  (0) 2020.10.24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논의하는 안건은 당해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책임과 권한 범위내의 사항 [산재예방정책과-681)  (0) 2020.10.24
안전관리자 미선임 등에 대한 과태료 부과 시 지방자치단체를 하나의 사업장으로 보아 과태료를 1회만 부과할 것인지 등 [산재예방정책과-3017]  (0) 2020.10.24
지방자치단체 내에 다양한 업태의 현업 종사자들이 있는 경우, 사업장 단위 및 상시근로자 산정기준 [산재예방정책과-3016]  (0) 2020.10.24
지방자치단체의 목적사업에서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적용을 위한 상시근로자수 산정 범위 [산재예방정책과-2467]  (0) 2020.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