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공무원
- 동일한 질병 또는 부상이 악화되어 장애등급이 변경된 경우 기존 장애연금 수급권의 소멸 여부 등(「국민연금법」 제70조 등 관련) [법제처 21-0119]
- 다수의 수급인들에게 사업을 분할해 도급했다하더라도 사업의 전체적인 진행을 총괄하는 등 작업장을 관리했다면 도급주로서 산업재해를 예방할 의무가 있다 [대법 2018도10353]
- 비위행위가 징계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해당 사업장의 취업규칙 등 징계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징계사유의 의미와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 [대법 2020다270770]
- 근로기준법 제23조제2항의 해고 제한 기간에 부분휴업이 포함되고, 시용(試用) 근로관계에도 해고 제한 규정이 적용된다 [대법 2018두43958]
- 고용승계 기대권이 인정됨에도 새로운 용역업체가 종전 용역업체 근로자의 고용승계를 합리적 이유 없이 거부하는 것은 부당해고이다 [대법 2016두57045]
- 화물자동차 운전용역계약을 체결하고 운송업무를 수행한 화물운송기사는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자로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보험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다 [대법 2019두39314]
- 대외비인 내부자료를 유출하여 영업비밀누설등 형사사건 무죄판결을 받은 경우라도 회사 규정상 위반행위가 명백하다면 징계해고는 정당하다 [서울중앙지법 2019가합580131]
- 부당해고 구제명령에 따라 지급하는 금품이 근로자의 사망 또는 퇴직에 따라 14일 이내에 청산해야 하는 금품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21-0020]
- 총무과, 전산과, 총장 및 부총장 비서, 총장 운전기사는 모두 ‘항상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서울고법 2011누31767]
- 광업소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는 원고에 대하여 소음성 난청을 인정하여 장해급여부지급처분을 취소한 판결 [서울행법 2019구단74051]
- 협력사 교육에 참가하였다가 근무지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중앙선을 침범하여 교통사고로 사망. 업무상 재해 [서울행법 2020구합74641]
-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들에 대한 관계에서 직접 고용관계에 있지 아니한 △△에게 부당노동행위의 주체인 ‘사용자’로서의 지위를 인정함 [대법 2020도1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