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근로자의 날(유급휴일)4주 평균 115시간 미만의 단시간 근로자에게도 적용되는지 여부

-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의거 근로자의 날은 근로기준법상 유급휴일로 보고 있음.

- 근로기준법18(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3항은 소정근로시간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 근로기준법55(휴일)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15간 미만인 단시간 근로자는 근로자의 날을 유급휴일로 적용되지 않는 것인지

단시간 근로자의 퇴직금 산정시 “4의 의미

- 단시간 근로자의 퇴직금 산정시 계속근로연수에서 4주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4주간 평균)15시간 이상인 기간 전체가 포함되는바(근로조건지도과-4378, 2008.10.09.), 4주를 평균할 때,

산정사유발생일인 퇴사일로 부터 이전 4주 단위씩 평균해야 하는지

입사일부터 4주씩 평균해야 하는지

 

<회 시>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자의 날 적용 관련

-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51일을 근로자의 날로 하고, 이 날을 근로기준법에 의한 유급휴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이때, 유급휴일이라 함은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지급받을 수 있었던 금액을 지급받으면서 근로제공의 의무는 없는 것으로 정하여진 날을 의미함.

- 근로기준법18조제3항은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단시간로자에 대하여 같은 법 제55조의 주휴일 적용을 제외하는 것으로서 근로자의 날 적용을 배제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움. 따라서, 단시간근로자경우에도 근로자의 날이 근로계약 기간 내에 있는 경우 유급휴일이 보장되어야 할 것임.

단시간근로자의 퇴직금 산정시 계속근로기간 산정기준일 관련

-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4조 및 제8조에 따라 사용자는 4주간을 평균하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고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함. 이때, 4주간 평균하여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과 미만을 반복하는 단시간근로자인 경우에는 퇴직일을 기준으로 이전 4주 단위씩 역산하여 1주 소정근로시간을 구하면 될 것임.

 

근로기준정책과-4361, 2015.09.10.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퇴직급여, 퇴직연금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가스터디 강사들은 근로자에 해당하고 이들에게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은 것은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위반 [대법 2015도8556]  (0) 2016.12.21
퇴직급여 등 감액 시에 압류 금지의 제한이 적용되는지(「공무원연금법」 제64조 등 관련) [법제처 16-0207]  (0) 2016.10.19
공무원으로 재직하다가 퇴직하여 공무원연금법에 따라 제한된 퇴직연금을 받던 사람이 사립학교 교직원으로 임용되어 재직기간을 합산한 경우, 퇴직연금 제한 [대법 2014다234032]  (0) 2016.10.18
경쟁사로의 이직을 위해 퇴사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특별퇴직금 안 줘도 된다 [대법 2013다204119]  (0) 2016.10.14
학원강사의 실제 강의시간이 1주간 15시간 미만이어도 강의에 부수되는 시간을 합산하여 15시간 이상이 되면 퇴직금 지급 [서울중앙지법 2015가합522427]  (0) 2016.07.28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사직서 반려의사를 내용증명으로 통지하고 결근기간에 대한 4대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해당 결근기간을 근로기간에 포함하여 퇴직금액을 산정해야 [의정부지법 2015노19..  (0) 2016.07.13
공무원이 당연퇴직하여 발생한 공무원연금법상의 퇴직급여지급청구권은 당연퇴직한 때로부터 그 소멸시효가 진행한다 [서울행법 2015구합76490]  (0) 2016.05.12
조선소 물량팀의 사업가동기간 [퇴직연금복지과-1306]  (0) 2016.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