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18.01.25. 선고 201759987 판결

원고, 상고인 / A 주식회사

피고, 피상고인 / 중앙노동위원회위원장

피고보조참가인 / B

원심판결 / 대전고법 2017.8.10. 선고 20151072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보조참가로 인한 부분을 포함하여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민사재판에서 이미 확정된 관련 민사사건에서 인정된 사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력한 증거가 될 수 있으나, 법원이 그 확정된 관련사건 판결의 이유와 더불어 다른 증거들을 종합하여 확정판결에서 인정된 사실과 다른 사실을 인정하는 것 또한 법률상 허용되면, 그와 같은 사실인정이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그 이유 설시에 합리성이 인정되는 한 이는 사실심의 전권에 속하는 사실인정의 문제로서 위법하다 할 수 없다(대법원 2010.5.13. 선고 200938612 판결, 대법원 2012.11.29. 선고 201244471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택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판시와 같은 사정 등을 종합하여, 원고가 피고보조참가인(이하 참가인이라고 한다)에 대하여 실시한 노선연습 기간은 실질적으로 원고의 지휘·감독을 받아 운전기사로서 근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습득하기 위한 시용기간으로서 근로기간에 포함되고, 참가인은 2011.8.6.부터 근로를 제공하였으므로 2013.8.6.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4조제2항에 따라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전환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인지에 관하여 채증법칙에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하고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거나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잘못이 없다.

 

2. 원심은 그 채택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판시와 같은 사정을 종합하여, 원고는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에만 참가인을 해고할 수 있는데, 원고가 귀책사유로 삼고 있는 사유들은 정당한 해고사유로 볼 수 없다고 보아, 원고가 참가인에게 근로계약관계종료를 통지한 것은 부당해고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보조참가로 인한 부분을 포함하여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영한(재판장) 조재연(주심) 권순일 안철상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전환된 근로자(무기계약직)들에 대하여 직원(정규직)임을 전제로 한 취업규칙 등 제반 규정의 내용이 모두 적용된다 [대전지법 2013가합101467]  (0) 2020.03.03
기간제(계약직)에서 전환된 무기계약직 근로자에 대하여는 정규직 직원들의 취업규칙 등이 직접 적용된다고 볼 수 없다 [대전고법 2014나11589]  (0) 2020.03.02
임금피크제에 관한 노동조합의 동의 [수원지법 안양지원 2016가단115485]  (0) 2020.01.27
간부사원들에게만 적용되는 취업규칙을 제정·시행한 것은 위법하지 않고, 고정성이 결여된 능력상여금과 업적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해당하지 않는다 [서울중앙지법 2017가합42260]  (0) 2019.12.17
근로계약을 맺으며 일정한 등급 이상의 근무평정을 받으면 정규직 채용을 우선 고려하기로 했다면 근로자에게 정규직 전환에 대한 정당한 기대권이 인정된다 [창원지법 2017가합55926]  (0) 2019.11.05
국가로부터 조종사 훈련비용을 지원 받으면서 10년 이상 장기근속 약정을 한 것이 강행규정인 인재개발법 등 관련 규정에 위배되어 무효 [서울행법 2019구합53334]  (0) 2019.10.15
수습부기장 교육훈련을 받고 정식부기장으로 승격한 뒤 계약기간 내 퇴사 시 잔여 교육훈련비를 반환받을 수 없도록 한 고용계약서의 내용은 무효 [대법 2018다209706]  (0) 2019.08.02
근로계약 종료 후 1년간 인근 학원에서는 근무할 경우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기로 한 학원과 강사간의 경업금지약정은 정당하다 [서울중앙지법 2018가단5059836]  (0) 2019.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