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정요지>

사용자가 두 차례에 거쳐 출근명령을 하고, 해고 기간 동안의 임금상당액을 지급한 점, 근로자가 업무복귀 명령에 대하여 사용자의 진정성이 없다고만 하였을 뿐 업무복귀가 가능한 조건을 제시하여 그 진정성을 가늠해보거나 확인하는 등의 행위를 전혀 하지 않은 점, 사용자가 초심지노위 및 우리위원회 심문회의에서 출근을 원한다면 지금이라도 출근하면 된다.”라고 진술한 점 등을 종합하면, 업무복귀 명령이 진정성을 결여하였다고 보기 어렵고, 업무복귀 명령에 의해 구제가 실현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구제이익이 없다고 봄이 타당하다.

 

중앙노동위원회 재심판정서

사 건 : 중앙2016부해1130 주식회사 ◇◇ 부당해고 구제 재심신청

근로자(재심신청인) : ○○

사용자(재심피신청인) : 주식회사 ◇◇

판정일 : 2017.01.11.

 

우리 위원회는 위 재심신청사건에 대하여 심사하고 주문과 같이 판정한다.

 

<주 문>

이 사건 근로자의 재심신청을 기각한다.

 

<초심주문>

[경기지방노동위원회 2016.9.6. 판정 2016부해1001]

이 사건 근로자의 구제신청을 각하한다.

 

<재심신청취지>

1. 초심판정을 취소한다.

2. 이 사건 사용자가 2016.6.16. 이 사건 근로자에게 행한 해고는 부당해고임을 인정한다.

2. 이 사건 사용자는 이 사건 근로자에게 원직복직에 갈음하여 금전보상금으로 19,373,330원을 지급하라.

 

<이 유>

1. 당사자

 

. 근로자

○○(이하 이 사건 근로자라 한다)2016.4.25. 주식회사 ◇◇에 입사하여 도면설계 등의 업무를 수행하던 중 같은 해 6.16. 부당하게 해고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다.

. 사용자

주식회사 ◇◇(이하 이 사건 사용자라 한다)2001.1.17. 설립되어 위 주소지에서 상시 20여 명의 근로자를 사용하여 전기전자제어 관련 제조업을 영위하는 법인이다.

 

2. 재심신청에 이른 경위

 

. 이 사건 근로자는 이 사건 사용자가 2016.6.16. 행한 해고는 부당하다며 같은 해 7.11.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이하 초심지노위라 한다)에 구제신청을 하였다.

. 초심지노위는 2016.9.6. 구제이익이 없다며 이 사건 근로자의 구제신청을 각하하였다.

. 이 사건 근로자는 2016.10.7. 초심지노위 판정서를 송달받고, 이에 불복하여 같은 달 11일 우리 위원회에 초심판정의 취소를 구하는 이 사건 재심을 신청하였고, 같은 날 금전보상명령을 신청하였다.

 

3. 당사자의 주장 요지

 

. 근로자

이 사건 사용자가 이 사건 근로자의 사직 거부의사 표시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근로자를 퇴직 조치한 것은 정당한 이유가 없고, 그 절차도 부적법하여 부당해고에 해당하며, 이 사건 사용자가 이 사건 근로자의 부당해고 구제신청에 응하여 2016.7.18. 업무에 복귀하라는 내용증명을 발송하였으나, 그 진정성이 없어 업무복귀 명령으로 보기 어렵고, 임금상당액도 일부만 지급하였으므로 이 사건 구제이익이 존재한다.

. 사용자

이 사건 사용자는 이 사건 근로자가 이 사건 사용자의 사직권고를 수용한 것으로 잘못 알고 퇴직조치 하였으나, 이 사건 근로자가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함에 따라 스스로 부당 해고로 인정하여 두 차례에 걸쳐 업무에 복귀토록 통보하였고, 그간의 임금상당액도 지급하였으므로 이 사건의 구제이익이 존재하지 않는다.

 

4. 인정사실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는 주장, 입증자료의 각 기재내용, 재심 이유서 및 답변서, 초심 사건기록의 전 취지와 심문회의에서의 당사자 진술내용을 종합하여 다음 사실들을 인정한다.

. 이 사건 근로자는 2016.4.25. 이 사건 사용자와 월 급여 ,○○○,○○○, 입사일로부터 3개월을 수습기간으로 하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였다.[초심 이유서 및 답변서, 노 제2호증 근로계약서]

. 이 사건 사용자는 2016.6.3. 및 같은 달 7일 두 차례에 걸쳐 이 사건 근로자와 면담을 하면서 업무능력 부족 등을 이유로 사직을 권고하였다.[초심 이유서 및 답변서]

. 이 사건 근로자는 2016.6.9. 이 사건 사용자가 일이 없는데 왜 나왔느냐, 같은 달 15일까지 임금을 지급할 테니 나오지 말라.”고 하여 당일 오전 근무를 마치고 퇴근한 이후부터 출근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반면, 이 사건 사용자는 같은 달 9일 이 사건 근로자가 사직 권고를 수용한 것으로 잘못 생각하여 같은 달 15일까지만 근무하는 것으로 하되, 이 사건 근로자의 요구에 따라 같은 달 8일부터 같은 달 15일까지 유급휴가를 부여하였다고 주장한다.[초심 이유서 및 답변서, 사 제6호증 유급 휴가원, 노위 제1호증 전화 등 사실확인내용]

. 이 사건 사용자는 2016.7.18. 이 사건 근로자에게 사직권고를 수락한 것으로 알았고, 해고를 한 사실이 없지만 같은 달 22일 출근을 명한다.”라는 취지의 문서를 발송하였다.[초심답변서, 사 제2호증 내용증명]

. 이 사건 근로자는 2016.7.20. 이 사건 사용자에게 귀하는 내용증명을 통하여 해고사실을 부정하면서 아무런 법적 근거 없는 출근명령을 일방적으로 통보하였다.”라는 내용 등이 포함된 출근명령에 대한 답변 문서를 발송하였다.[초심이유서, 노 제3호증 내용증명]

. 이 사건 사용자는 2016.8.17. 이 사건 근로자에게 같은 해 6.16.부터 같은 해 7.21.까지의 임금상당액 ,○○○,○○○(실수령액)’을 송금하였고, 같은 해 8.18. 출근을 명하는 내용증명을 재차 발송하였다.[초심답변서, 사 제7호증 이체확인서, 사 제8호증 내용증명]

. 이 사건 양 당사자는 2016.9.6. 2017.1.5. 개최된 초심지노위 및 우리위원회 심문회의에서 각각 아래와 같은 취지로 진술하였다.[·재심심문회의 진술 내용]

1) 근로자

) 이 사건 사용자가 1차 내용증명을 발송한 시점에서는 해고사실을 인정하지 않아 진정성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 이 사건 사용자는 출근명령서를 내용증명으로 발송한 이후 자신에게 출근을 해야 하지 않느냐?”라는 등의 전화를 하지 않았다.

) 이 사건 근로자는 이 사건 사용자의 출근명령을 받고 출근할 수도 있었지만, 이 사건 사용자가 재직 당시 자신에게 계속 사직을 강요하였기에 자신이 출근을 하면 또 언제 그만두게 할지 몰라 이 사건 사용자의 사업장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을 것 같은 신뢰가 없어 출근하지 않았다.

) 이 사건 근로자는 2016.8.4.부터 사업자등록을 하여 영업활동을 하고 있고 있지만, 금전보상 명령 수용여부는 노동위원회 재량사항으로 금전보상 명령을 수용할 수 없다면 원직복직 명령을 내려주시고, 원직복직 명령을 내린다면 이에 응하겠다.

2) 사용자

) 이 사건 근로자에게 했던 사직강요를 해고로 인정하고 원직복귀 명령을 내렸기에 구제이익이 존재하지 않는다.

) 이 사건 근로자가 지금이라도 복귀할 의사가 있다면 연봉 조정할 필요도 없이 그대로 출근하면 된다.

 

5. 판단

 

이 사건에 관한 당사자의 주장요지가 위와 같으므로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첫째, 구제이익이 존재하는지 여부, 둘째, (구제이익이 존재한다면) 해고가 존재하는지 여부, 셋째, (해고가 존재한다면) 해고의 정당성 여부에 있다 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 양 당사자의 주장과 우리 위원회에 제출된 각종 입증자료의 기재내용 및 이를 토대로 우리 위원회가 심문한 사항 등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

먼저 이 사건 구제신청의 구제이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법원은 근로자가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하여 해고처분의 효력을 다투던 중 사용자가 그 해고처분을 철회 내지 취소하고 근로자를 복직시켰다면 근로자로서는 구제를 구하는 사항이 위 복직 등에 의하여 실현됨으로써 구제신청의 목적을 달성하였으므로 더 이상 구제절차를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제이익은 소멸한다고 보아야 한다(대법원 2002.2.8. 선고 20007186 판결).”라고 판시하고 있다.

이 사건 근로자는 이 사건 사용자가 자신을 부당하게 해고하여 정상적인 근로가 어렵다고 판단되어 원직복직이 아닌 금전보상명령을 신청취지로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사용자는 자신이 구제신청을 한 이후 출근명령을 하면서 해고사실을 부인하였으며, 해고통보 당시 약속하였던 연차휴가에 대한 임금 등이 공제되었기에 진정한 의미의 원직복직으로 볼 수 없어 이 사건 구제이익은 존재한다.”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4. 인정사실항 내지 항에서와 같이, 이 사건 사용자가 2016.7.18. 및 같은 해 8.18. 두 차례에 걸쳐 이 사건 근로자에게 출근명령을 하고, 같은 해 8.17. 해고 기간인 같은 해 6.16.부터 같은 해 7.21.까지의 임금상당액 ,○○○,○○○원을 지급한 점, 이 사건 근로자는 이 사건 사용자의 업무복귀 명령에 대하여 진정성이 없다고만 하였을 뿐 업무복귀가 가능한 조건을 제시하여 그 진정성을 가늠해보거나 확인하는 등의 행위를 전혀 하지 않은 점, 이 사건 사용자가 초심지노위 및 우리위원회 심문회의에서 이 사건 근로자가 출근을 원한다면 지금이라도 출근하면 된다.”라고 진술한 점 등을 종합하면, 이 사건 사용자의 업무복귀 명령이 진정성을 결여하였다고 보기 어렵고, 이 사건 근로자가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통하여 구제를 구하는 사항이 위 업무복귀 명령에 의해 실현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할 것이므로 이 사건 구제신청의 구제이익은 없다고 봄이 타당하다.

따라서 이 사건 구제이익이 존재하지 않는 이상 이 사건 해고의 정당성 여부에 대해서는 더 살펴볼 필요가 없다.

 

6. 결론

 

그렇다면, 이 사건에 대하여 우리 위원회와 결론을 같이한 초심지노위의 판정이 정당하므로, 이 사건 근로자의 재심신청을 기각하기로 하여 근로기준법30조 및 노동위원회법26조에 따라 주문과 같이 판정한다.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해고, 징계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원의 파면이나 해임이 취소된 경우, 파면이나 해임으로 인하여 근무하지 못한 기간은 재임용 심사대상기간에서 제외 [서울고법 2005누22533]  (0) 2017.03.16
일반직, 직무미부여, 업무추진역, 상담역으로 전직 발령을 한 것은 재량권의 범위를 넘는 권리남용으로 무효 [서울중앙지법 2005가합26357, 2015가합43970]  (0) 2017.03.10
근로시간면제자라는 이유로 고용승계를 거부한 것은 부당해고이자 부당노동행위에 해당 [중앙2016부해982, 2016부노177]  (0) 2017.03.08
직무미부여, 업무추진역, 상담역으로 전직 발령을 한 것은 재량권의 범위를 넘는 권리남용에 해당하여 무효 [서울중앙지법 2005가합26340, 43987]  (0) 2017.03.07
사용자의 일방적인 지시에 의하여 퇴직의 의사 없이 권고사직 형식에 의하여 퇴직한 것은 해고에 해당한다 [부산지법 2005가합23585]  (0) 2017.02.27
근무기간이 6개월 미만인 근로자도 해고예고대상에 포함. 해고예고수당 지급해야 [대법 2016재다224]  (0) 2017.02.22
신입생이 급감했다는 이유로 일부 학과를 폐지한 다음 담당 교수를 일방적으로 면직처분한 것은 무효 [대법 2015다21554]  (0) 2017.02.21
사용자가 징계양정을 낮추어 수차례 반복적으로 징계한 것은 징계권을 남용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 [중앙2016부해857/부노154]  (0) 2017.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