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 개 요
A는 (주)○○에서 근무 중 경영상 어려움으로 인해 임금이 체불되자 2002.8.25자로 퇴사함.
(주)○○은 전월 25일부터 당월 24일까지의 급여를 당월 “급여”항목으로 통장계좌로 지급하여 왔음(2001년도 하반기부터는 경영사정 악화로 정기지급일 이후에 지급함).
A의 경우 2002.1.25~2.24까지의 급여가 정기지급일을 훨씬 지난 2002.3.25일과 2002.3.30일에 각각 900,000원 및 928,680원으로 나누어 지급된 이후, 2002.2.25~8.24까지의 6개월간 임금으로 매월 1,818,850원, 도합 10,913,100원(=1,818,850원×6월)이 지급되어야 하나, 회사의 경영상 어려움으로 인해 2002.5.31, 1,818,850원과 2002.7.8, 2002.8.9에 각각 1,364,138원 및 454,713원, 도합 1,818,850원만 지급되었음.
따라서, A는 2002.2.25~8.24까지의 6개월 임금으로 매월 1,818,850원씩, 10,913,100원이 지급되어야 하나, 2개월분인 3,637,700원만 지급되어 4개월분인 7,275,400원이 미지급된 상태임.
❍ 질의내용
- 2002.5.31일에 지급된 1,818,850원은 2002.2.25~3.24간에 근로한 대가로 보아야 할지 아니면, 2002.4.25~5.24간에 근로한 대가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
- 2002.7.8일과 2002.8.9일에 각각 지급된 1,364,138원 및 454,713원, 도합 1,818,850원은 2002.3.25~4.24간에 근로한 대가로 보아야 할지 아니면, 2002.5.25~6.24간에 근로한 대가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
- 결론적으로, A가 근로기준법 제37조제2항제2호에 의해 최우선적으로 변제되는 최종 3월분의 임금이 2002.5.25~6.24간의 1,818,850원, 2002.6.25~7.24간의 1,818,850원 및 2002.7.25~8.24간의 1,818,850원, 도합 5,456,550원인지 아니면, 2002.6.25~7.24간의 1,818,850원과 2002.7.25~8.24간의 1,818,850원, 도합 3,637,700원으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
<회 시>
❍ 근로기준법 제37조제2항제1호의 규정에 의한 “최종 3월분의 임금”이란 근로자의 퇴직일 또는 사실상 근로관계가 종료된 날부터 소급하여 3개월간 근로로 인하여 그 지급사유가 발생된 임금을 의미함.
❍ 귀 질의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은 곤란하나, 만일 사업주가 최종 3개월분의 임금보다 많은 금액을 체불하고 있다가 일부금액을 청산할 때 동 청산금액을 특정 월의 임금으로 한다는 명시적인 의사표시가 없었다면 이는 시기적으로 먼저 발생한 임금채권을 변제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됨.
❍ 따라서 귀 질의는 근로자 개인명의의 은행구좌에 입금된 각각의 임금액에 대하여 노사관계자간에 특정 월의 임금으로 한다는 명시적 의사표시가 있었는지 또는 시기적으로 먼저 발생한 체불임금을 충당하는 지급관행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등 사실관계를 살펴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됨.
【임금 68207-42, 2003.01.17】
'근로자, 공무원 > 임금, 보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례 2003다10650】가족수당, 중식대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 (0) | 2013.11.11 |
---|---|
휴직기간을 평균임금 산정대상기간에 포함시켜야 하는지 (0) | 2013.11.10 |
1년간 지급받은 상여금을 평균임금 대상금품에 산입하는 방법 (0) | 2013.11.10 |
복직자의 해고기간에 지급되어야 할 임금범위 (0) | 2013.11.10 |
감급제재의 한도 (0) | 2013.11.10 |
파업기간 중 예비군 훈련을 받은 시간에 대한 임금지급 의무 (0) | 2013.11.09 |
성과연봉이 통상임금에 해당하는지 (0) | 2013.11.09 |
황사 및 아폴로눈병으로 인한 학교의 임시휴교일이 사용자의 귀책사유에 의한 휴업기간인지 [근기 68207-3098] (0) | 201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