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질의배경

우리센터 관내 사업장인 주식회사 ○○○○에서 퇴직한 이직근로자 ○○○의 고용보험가입이력이 2001.9.7~2006.8.1로 되어 있으나, 사업장에서 2001.9.28 피보험자격취득신고서 신고당시 고용보험 취득일자를 착오신고하여 실제 입사일인 2001.8.1로 정정하고자 함.

 

관련규정

피보험자격취득일에 대하여 소급확인의 경우 피보험자격을 취득한 날이 자격취득의 확인이 이루어진 날로부터 소급하여 3년 되는 날 이전의 날은 피보험기간에 산입하지 않고 피보험자격 취득확인이 행해진 날의 3년전의 날을 피보험자격취득일로 간주함(고용보험법 제41조제5).

- 이 경우 피보험자격취득의 확인이 이루어진 날이란 피보험자격취득신고서가 접수된 날(접수일).

 

의견

<갑 설> 사업장에서 최초 고용보험 피보험자격취득신고서 신고일이 2001.9.28이므로 신고일 기준으로 3년 범위 내에서 소급적용이 가능하므로 취득일 정정이 2001.8.1자로 가능하다고 본다.

<을 설> 고용보험법 제41조제5항 규정에 의거 취득일자 소급적용 기준이 3년 범위 내에서 소급적용이 가능하므로 피보험자격 취득일자 정정요청서 접수일이 2006.8.29 현재이므로 피보험자격 취득일자 정정요청서 접수일을 기준으로 3년을 초과하여 정정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본다.

<청 의견> 갑설이 타당함.

 

<회 시>

고용보험법 제41조제5(현행법 제50조제5)하나의 피보험기간에 있어서 피보험자로 된 날이 제14(현행법 제17)의 규정에 의한 피보험자격의 취득의 확인이 있은 날부터 소급하여 3년 전인 경우에는 당해 확인이 있은 날부터 소급하여 3년이 되는 날에 당해 피보험자격을 취득한 것으로 보아 피보험기간을 계산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여기에서 당해 확인이 있는 날이라 함은 동법 제14조의 규정에 의하여 피보험자 또는 피보험자이었던 자가 고용지원센터에 피보험자격 취득 확인을 청구한 날로 봄이 타당함.

보험운영지원팀-4992, 2006.9.6.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고용노동 관련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고무효확인 등 소송조정조서에 의한 고용보험 가입기간 정정 가능 여부에 대한 질의 [고용지원실업급여과-1067]  (0) 2015.06.03
병역대체복무제도로서 공중보건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공중보건의(계약직공무원)가 고용보험에 임의 가입할 수 있는지 [고용서비스지원과-4148]  (0) 2015.06.03
근로내용확인신고서상의 고용관리책임자 지정사실 신고누락에 따른 소급 등록 요청에 관한 질의 [고용서비스지원과-2253]  (0) 2015.06.03
부당해고로 원직복직을 다투는 자가 대법원 확정판결로 복직된 경우 고용보험 피보험자격에 관한 질의 [보험운영지원팀-6815]  (0) 2015.06.03
근로내용확인신고서 신고주체에 대한 질의(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신고주체) [보험운영지원팀-1866]  (0) 2015.06.03
부당해고구제신청에 따른 원직복직 등과 관련한 피보험자격 상실처분의 취소는 사업주의 원직복직 처분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 [고용보험과-1204]  (0) 2015.05.28
고용보험피보험자격 상실신고와 이직확인서 제출 의무 불이행은 각각 별개의 행위로 보아 과태료를 각각 부과 [고용지원실업급여과-4074]  (0) 2015.05.28
이직확인서를 거짓으로 제출하였다면 같은 고용보험법 제118조제1항제2호에 따라 과태료 부과[고용지원실업급여과-2104]  (0) 201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