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소득세법12조제3호사목에서는 공무원연금법등에 따른 각종 급여(요양일시금, 장해보상금, 유족일시금 등) 또는 신체·정신상의 장해·질병으로 인한 휴직기간에 받는 급여를 근로소득 중 비과세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바, 공무상 질병 휴직 기간 중에 공무원보수규정28조제1항 단서에 따라 공무원이 지급받는 봉급이 비과세대상에 해당하는지?

질의배경

민원인은 공무상 질병으로 휴직 중인 자로서, 휴직 중에 공무원보수규정에 따라 받는 봉급이 비과세대상에 해당하는 지를 기획재정부에 질의하였고, 기획재정부에서는 비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회신한바, 이에 이의가 있어 직접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공무원보수규정28조제1항 단서에 따라 지급받는 봉급은 소득세법12조제3호사목의 비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 유>

소득세법3조 및 제4조에서는 근로소득 등에 대해서 과세하도록 하고 있고, 같은 법 제12조에서는 소득 중에서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는 소득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으며, 근로소득과 퇴직소득 중 비과세대상에 대해서는 같은 조 제3호에서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바, 같은 호 사목에서는 공무원연금법, 군인연금법,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또는 별정우체국법에 따라 받는 요양비·요양일시금·장해보상금·사망조위금·사망보상금·유족보상금·유족일시금·유족연금일시금·유족연금부가금·유족연금특별부가금·재해부조금·재해보상금(이하 각종 급여라 한다) 또는 신체·정신상의 장해·질병으로 인한 휴직기간에 받는 급여를 비과세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가공무원법, 외무공무원법, 교육공무원법등에 따라 국가공무원의 보수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공무원보수규정28조제1항에서는 신체상·정신상의 장애로 장기요양을 위하여 휴직한 공무원에게는 봉급의 일부를 지급하되, 공무상 질병으로 휴직한 경우에는 그 기간 중 봉급 전액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안은 소득세법12조제3호사목에서 신체·정신상의 장해·질병으로 인한 휴직기간에 받는 급여를 비과세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바, 이 규정에서 열거되지 않은 공무원보수규정에 따라 휴직기간에 지급되는 봉급이 비과세대상으로 포함되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조세법률주의 원칙상 과세요건이나 비과세요건 또는 조세감면 요건의 해석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문대로 해석할 것이고, 합리적 이유 없이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대법원 2009.8.20. 선고 200811372 판결 참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소득세법12조제3호와 같이 근로소득과 퇴직소득 중 비과세대상을 개별적으로 열거하는 방식으로 규정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해당 규정에서 열거하지 않은 근로소득이나 퇴직소득은 비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것입니다.

그리고, 소득세법12조제3호사목에 따른 신체·정신상의 장해·질병으로 인한 휴직기간에 받는 급여공무원연금법, 군인연금법등 해당 규정에서 구체적으로 열거한 법령에 따른 급여로 한정하여 해석해야 할 것이므로, 이 사안에서 문제되는 공무원보수규정에 따라 지급받는 봉급은 이 규정에서 열거되는 법령에 따라 지급되는 급여가 아니므로 비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것입니다.

아울러, 소득세법12조제3호사목에서 비과세대상으로 공무원연금법, 군인연금법등에 따라 받는 각종 급여를 먼저 열거하고 신체·정신상의 장해·질병으로 인한 휴직기간에 받는 급여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규정한 것은, 각종 연금법에 따라 지급되는 급여의 종류가 다양하고, 연금법마다 차이가 있어 소득세법의 비과세대상 규정에서 연금법에 따른 모든 급여를 구체적으로 열거하기 어렵고, 급여가 새롭게 추가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해당 규정에 열거된 각종 급여 외에 공무원연금법, 군인연금법등에 따른 다른 급여가 있는 경우에 이를 포함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또한, 공무원연금법, 군인연금법등에 따른 각종 급여를 비과세대상으로 하는 것은 해당 급여가 생활안정 및 복지향상을 위하여 보수와 별도로 지급하는 사회보장적인 성격의 수입이고, 사용자가 아닌 다른 기관에서 지급한다는 면에서 다른 소득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 할 것이고, 공무원보수규정에 따라 지급되는 봉급은 근로의 대가로 사용자가 지급하는 금전이라는 점에서 각종 연급법상 받는 급여와는 성격이 다르다는 점도, 소득세법12조제3호사목에 따른 비과세대상 규정을 해석함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공무원보수규정28조제1항 단서에 따라 지급받는 봉급은 소득세법12조제3호사목의 비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법제처 법령해석례 : 법제처 14-0463, 2014.10.10.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4대 사회보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연금법에 따른 유족연금 수급권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공무연금법 및 그 위임에 따른 하위법령이 정한 요건에 따라 판단하여야 [서울행법 2014구합22175]  (0) 2015.06.03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신고 위반행위에 대한 과태료 부과 관련 질의 2 [고용지원실업급여과-1406]  (0) 2015.05.22
공무원연금법에 따른 순직공무원이 반드시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순직군경으로 인정되는지 [법제처 14-0809]  (0) 2015.05.18
재직 중의 사유로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아 연금수급액이 감액되는 경우, 연금지급사유 소멸시까지 감액하여야 하는지(공무원연금법 제64조제1항 등 관련)[법제처 14-0659]  (0) 2015.05.04
사업주가 배우자 등 동거친족을 사용하는 경우, 동거친족(배우자)의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인정 여부 질의 [고용지원실업급여과-1414]  (0) 2015.04.29
국가회계기준에 관한 규칙 제44조에 따라 평가하여야 하는 공무원연금기금의 연금충당부채에 지방자치단체의 연금충당부채가 포함되는지[법제처 14-0080]  (0) 2015.03.27
「국민연금법」 제93조의2(국민연금의 지급정지기간) [법제처 06-0255]  (0) 2014.09.06
「군인연금법」 부칙 제3조(구 경과조치의 기준일) 관련 [법제처 05-0138]  (0) 2014.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