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조합원의 상시 급여보전 및 교섭시간과 무관하게 임시전임으로 급여보전 가능 여부
<질 의>
1. 근로시간면제대상자가 아닌 조합원(의장단, 집행부 통칭)에 대해 상시 급여를 보전하는 것은 위법사항이 아닌지, 또한, ‘교섭기간 중 임시 전임으로 한다’라는 기타 협약에 의해 현업근무 면제 및 급여를 보전하는 것도 위법이 아닌지
2. ‘교섭기간 중 임시상근으로 인정한다’라는 자체가 위법이 아니라면, 전체가 Time-off 한도에서 관리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
※ 이 경우 당사는 타임오프 활용인원이 최대 10명밖에 나오지 않으므로 어쨌든 교섭위원을 줄여야 할 것 같음 (만약 법적으로 가능하다면 교섭 장기화, 편법 전임자 증대 등의 현상발생이 우려됨)
3. 부위원장 및 지부장 중 비전임이 많은데, 단체협약 9조는 자체로 법을 위반한 사항이므로 위법 사항이 아닌지
※ 단체협약 O조 : ‘부위원장 및 지부장은 조합업무를 우선한다’
<회 시>
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제24조제2항 및 제4항은 사용자의 전임자에 대한 급여지급을 금지하면서 그 예외로서 일정한 업무에 대하여 근로시간면제자가 업무를 수행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음.
- 따라서, 근로시간면제자가 아닌 조합원의 노조활동은 근로시간 외에 하여야 하고 무급이 원칙임. 다만, 단체협약을 통해 근로시간면제자가 아닌 조합원이 실제 교섭한 시간에 대해 사용자가 유급으로 인정하는 경우 이를 법 위반이라 하기는 어려움.
- 그러나 질의와 같이 교섭시간과 무관하게 3개월 이상 기간을 임시전임으로 급여를 보전하는 것은 명칭과 관계없이 실제 기간전임형태의 전임자에 대한 급여지급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할 것임.
2. 귀사 단체협약 제O조 규정만으로는 구체적 내용을 알 수 없으나, 당해 조항이 근로시간면제자가 아닌 조합간부에 대해 소정근로를 하지 않고 근로시간 중에 조합업무를 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시간에 대해 유급처리 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이는 전임자에 대한 급여지급을 금지한 노조법 규정을 위반한 것임.
【노사관계법제과-1311, 2010.07.02.】
'근로자, 공무원 > 노동조합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시간면제 한도를 초과한 교섭, 협의 등의 활동[노사관계법제과-165] (0) | 2014.10.28 |
---|---|
안전·보건 교육시간을 조합원 총회 및 교육시간으로 대체하여 유급처리 가능 여부[노사관계법제과-56] (0) | 2014.10.28 |
사내 하청업체의 면제 한도 결정단위[노사관계법제과-54] (0) | 2014.10.28 |
각 공장별 단체협약 체결한 경우 근로시간면제 한도 적용방법[노사관계법제과-42] (0) | 2014.10.28 |
연간 소정근로시간 산정방법[노사관계법제과-1311] (0) | 2014.10.28 |
명절 귀향여비, 성과급, 하계휴가비, 떡값 근로시간면제자에게 지급 가능여부[노사관계법제과-1310] (0) | 2014.10.28 |
근로시간면제자로 지정 되었을 때 고정 초과근로수당 지급 가능여부[노사관계법제과-1310] (0) | 2014.10.28 |
동일한 법인 내에 서로 다른 근로조건이 적용되고 있는 사업영역별 한도 적용방법[노사관계법제과-1202] (0) | 201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