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8의 채용시 교육 및 특별교육 대상 구분 중 ‘일용직근로자’에 대한 기준
- 당사의 의견은 소득세법 제14조 및 소득세법 시행령 제20조를 근거로 한 ‘동일한 고용주에게 계속해서 1년 미만 고용된 자’가 타당하다고 판단되는데 이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의견은?
<회 신>
❍ 산업안전보건법 제31조에 따른 교육대상 중 일용근로자에 대한 별도의 정의는 없으나
- 근로기준법 행정해석에 따르면 일용근로자라 함은 ‘근로계약을 1일 단위로 체결하고 그 날의 근로가 끝남에 따라 사용종속 관계가 끝나 계속 고용이 보장되지 않는 자’로 판단하는바,
-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로자도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자이므로 일용근로자의 판단은 실제 작업을 하는 일수가 아니라 근로계약상 근로자의 고용형태로 구분하여야 할 것임.
❍ 또한, 근무기간이 일정기간 지속되었더라도 위와 같은 고용형태인 경우에는 일용근로자로 불 수 있을 것이나
- 일용근로자로 일일 근로계약을 체결했더라도 형식적인 근로계약일 뿐 일정기간 계속 고용이 보장되어 있다면 일용근로자로 보기 어려움.
❍ 참고로 질의내용 중 소득세법에 따른 일용근로자 정의는 소득세를 부과하기 위한 판단기준이므로 산업안전보건법에 적용하기는 곤란함.
[안전보건정책과-2138, 2010.11.09.]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산업안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재해 은폐의 판단기준 [산재예방정책과-2847] (0) | 2020.10.26 |
---|---|
회사에서 출근명령을 하였지만 통원치료를 이유로 출근을 거부한 경우도 휴업일수에 포함되는지 [산재예방정책과-2557] (0) | 2020.10.26 |
위험성평가사 자격제도 운영 여부 [산재예방정책과-119] (0) | 2020.10.26 |
영양교사 및 영양사가 안전·보건교육 강사에 해당하는지 [산재예방정책과-706] (0) | 2020.10.26 |
공동주택(아파트) 관리사무소의 경우 관리사무소장은 관리감독자 교육대상인지 [안전보건정책과-1706] (0) | 2020.10.26 |
건설회사에서 재해예방기술지도 기관에 관리감독자 위탁교육을 요청한 경우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지 [안전보건정책과-417] (0) | 2020.10.26 |
본사 직원과 외주 인력수급 협력사의 인력이 함께 근무하는 경우, 안전보건교육 실시의무 주체 [안전보건정책과-4817] (0) | 2020.10.26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선임대상 사업장은 아님에도 선임을 하고 보고한 경우,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직무교육을 이수해야 하는지 [안전보건정책과-2372] (0) | 2020.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