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1. 추석연휴 바로 전날 다친 뒤 3일간 추석연휴로 쉬고 출근한 경우 3일 이상의 휴업재해로 보아야 하는지(당사는 추석 등 법정공휴일을 휴일로 정해 놓지 않았음)
2. 주 5일제 시행으로 토요일을 휴무일이 아닌 무급휴일로 규정하였는데 토요일에 출근하지 못한 경우도 휴업일수에 포함되는지
3. 조퇴한 경우에도 휴업일수에 포함되는지
4. 회사에서 출근명령을 하였지만 통원치료를 이유로 출근을 거부한 경우도 휴업일수에 포함되는지
5. 회사에서 가까운 병원에서 통원치료를 하게 되면 2~3시간이면 충분한 시간인데도 자택 근처에서 치료를 받겠다는 이유로 출근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휴업일수에 포함되는지
<회 신>
1.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에 따라 산업재해 발생 보고대상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발생하거나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린 사람이 발생한 경우’이므로 의사의 진단 소견 등 객관적 기준에 따라 산업재해로 인해 휴업할 수밖에 없는 기간이 3일 이상이라면 그 기간이 공휴일 등과 겹쳤다고 하더라도 산재발생 보고대상임.
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에 따라 산업재해 발생 보고대상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발생하거나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린 사람이 발생한 경우’이므로 의사의 진단소견 등 객관적 기준에 따라 산업재해로 인해 휴업할 수밖에 없는 기간이 3일 이상이라면 무급휴일이라고 하더라도 산재발생 보고대상임.
3. 조퇴한 경우에는 휴업일수에 포함되지 않으나 휴업의 양태(부분/전면)는 재해 피해를 객관적으로 증명해 주는 의사의 진단소견 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임.
- 만약 산재발생 보고를 회피할 목적으로 의사의 진단소견과 달리 사업주가 임의로 부분 휴업을 부여한 것이라면 산재 미보고의 책임(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을 면키 어려울 것임.
4.5.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에 따라 산업재해 발생 보고대상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발생하거나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린 사람이 발생한 경우’이므로 의사의 진단소견 등 객관적 기준에 따라 판단해야 할 것임.
[산재예방정책과-2557, 2014.07.23.]
'근로자, 공무원 > 산업안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주가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인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의 판단 [산재예방정책과-5210] (0) | 2020.10.27 |
---|---|
근로자가 늦게 사업주에게 사고보고를 하고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신청을 한 경우, 사업주에게 지연보고로 인한 과태료가 부과되는지 [산재예방정책과-1173] (0) | 2020.10.26 |
회사에 출근하였다 하더라도 재해근로자 본연의 업무가 아닌 다른 업무를 수행한 경우, 3일 이상의 휴업재해 여부 [산재예방정책과-2880] (0) | 2020.10.26 |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재해 은폐의 판단기준 [산재예방정책과-2847] (0) | 2020.10.26 |
위험성평가사 자격제도 운영 여부 [산재예방정책과-119] (0) | 2020.10.26 |
영양교사 및 영양사가 안전·보건교육 강사에 해당하는지 [산재예방정책과-706] (0) | 2020.10.26 |
산업안전보건법 상 채용시 교육 및 특별교육 대상 구분 중 ‘일용직근로자’의 기준 [안전보건정책과-2138] (0) | 2020.10.26 |
공동주택(아파트) 관리사무소의 경우 관리사무소장은 관리감독자 교육대상인지 [안전보건정책과-1706] (0) | 202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