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새마을금고법16조제1항에 따라 대의원회를 둔 새마을금고에서 재적 대의원 3분의 1 이상이 해당 새마을금고 임원의 해임의결을 요구하는 것을 같은 법 시행령 제9조제1항에 따른 재적회원 3분의 1 이상의 해임의결 요구로 볼 수 있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새마을금고 임원의 해임에 대한 의결을 재적회원 3분의 1 이상이 아닌 대의원회의 재적 대의원 3분의 1 이상의 요구로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행정안전부에 문의했고, 행정안전부에서 재적 대의원 3분의 1 이상의 요구로도 대의원회에서 임원 해임을 의결할 수 있다고 답변하자, 이에 이의가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이 사안의 경우 재적회원 3분의 1 이상의 해임의결 요구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유>

새마을금고법12조제1항에서는 새마을금고에 총회를 두도록 하면서 같은 조제4항에서는 총회의 의결이 필요한 사항으로 정관의 변경(1), 해산·합병 또는 휴업(2), 임원의 선임과 해임(3)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새마을금고법16조제1항에서는 회원이 300명을 초과하는 새마을금고는 총회를 갈음할 대의원회를 둘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문언상 총회를 갈음한다는 의미가 총회를 대신한다는 의미임을 고려하면 해당 규정은 300명을 초과하는 회원을 보유한 규모가 큰 새마을금고에 대해서는 회원 전체에 의한 직접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총회를 대신하여 같은 법 시행령 제6조제2항에 따른 대의원의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회원을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대의원으로 선임함으로써 대의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는 대의원회를 두는 것을 허용한 규정으로 보아야 하므로 새마을금고법에서 대의원회가 총회를 갈음할 수 없는 사항을 따로 정하지 않은 이상 대의원회는 총회를 대신하여 총회의 의결 사항인 임원의 해임 등 같은 법 제12조제4항 각 호의 사항에 대한 의결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마을금고법16조제3항부터 제5항까지의 규정에서는 대의원의 자격, 정수, 선임 방법에 대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고(3) 대의원의 겸직 금지 사항을 정하면서(4) 그 밖의 사항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한 없이 총회에 관한 규정을 포괄적으로 준용하도록(5) 하고 있는데, 준용은 특정 조문을 그와 성질이 유사한 규율 대상에 대해 그 성질에 따라 다소 수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입법의 간결성을 기하려는 입법 방식으로서, 총회에 관한 규정이 총회를 갈음하는 대의원회에 준용되는 이상 별도의 간주 규정이 없더라도 총회대의원회, 총회를 구성하는 회원은 대의원회를 구성하는 대의원으로 보아야 합니다.

또한 새마을금고법 시행령9조제1항은 임원의 해임을 총회에서 의결하기 위한 요건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므로 총회를 대신하는 대의원회에서 임원 해임을 의결하는 경우에도 총회에서 의결하는 데에 필요한 재적회원 수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새마을금고에서 새마을금고법16조제1항에 따른 대의원회를 둔 경우 같은 법 제19조제8항 및 그 위임에 따른 같은 법 시행령 제9조제1항에 따라 해당 대의원회에서 임원의 해임의결을 요구하려면 재적회원이 아닌 재적 대의원 3분의 1 이상의 요구로 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아울러 새마을금고법에서는 규모가 큰 새마을금고의 경우 총회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필요한 성원이 어려워 주요사항의 결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새마을금고를 능률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대의원회 제도를 도입한 것임을 고려할 때,(1989.10.18. 의안번호 제130625호로 발의된 새마을금고법개정법률안에 대한 국회 내무위원회 심사보고서 참조) 대의원회에서 임원의 해임의결을 요구하려는 경우에도 재적회원의 3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면 대의원회 제도를 도입한 취지에도 부합하지 않게 된다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법제처 19-0211, 2019.08.30.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해고, 징계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기간이 1년으로 정해져 있고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재계약을 한다는 의무 규정도 없는 등 근로관계를 둘러싼 제반사정을 고려 무기계약 전환기대권 부정 [대법 2012두28913]  (0) 2019.11.08
사용자 측의 종용에 의하여 어쩔 수 없이 퇴사한 것이라고 하면서도, 적극적으로 이의제기를 하거나 법적 절차를 취하지 않았다면 해고로 볼 수 없다 [서울고법 2018나2017875]  (0) 2019.11.01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가 아파트 관리방식을 직접 관리에서 위탁 관리로 바꾸면서 직접 고용하던 경비원들을 대량 해고한 것은 정리해고의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다 [서울행법 2018구합7747]  (0) 2019.10.29
로스쿨 입학을 위해 근무시간의 대부분을 개인 공부에 사용한 공무원을 해임한 것은 정당 [춘천지법 2019구합50715]  (0) 2019.10.08
계약직 아나운서는 근로자에 해당하고, 2년을 초과하여 사용하고도 계약기간 만료를 이유로 해고한 것은 부당해고이다 [서울행법 2018구합74686]  (0) 2019.08.27
고용승계를 거부한 근로자들을 해고한 것은 부당해고이고, 노조 가입 및 조합원으로 활동하지 말도록 지시하고 노조가입을 이유로 해고한 것은 부당노동행위 [서울행법 2018구합85204]  (0) 2019.08.19
전 직장에서의 불법 리베이트 사건에 연루되어 기소되었음을 이유로 무급휴직 처분을 내린 것은 부당 [서울행법 2018구합71601]  (0) 2019.08.16
불륜행위로 은행의 명예를 실추한 은행간부에 대한 면직처분은 정당 [서울중앙지법 2018가합582086]  (0) 2019.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