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에서는 교육행정경력이란 같은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력을 말한다고 규정하면서, 교육부와 그 소속기관에서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1),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에서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지방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2) 및 교육감·교육장·장학관·교육연구관·장학사·교육연구사로 근무한 경력(3)을 규정하고 있는바,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이 아닌 일반 행정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이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제2호에 따른 교육행정경력에 해당하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일반 행정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 자신의 경력이 교육행정경력에 해당하는지를 교육부에 문의하였으나, 교육부로부터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제2호는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을 교육행정경력으로 규정한 것이므로, 일반 행정기관에서 근무한 민원인의 경력은 교육행정경력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자, 이에 이의가 있어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이 아닌 일반 행정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은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제2호에 따른 교육행정경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 유>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에서는 교육행정경력이란 같은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력을 말한다고 규정하면서, 교육부와 그 소속기관에서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 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1),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에서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지방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2) 및 교육감·교육장·장학관·교육연구관·장학사·교육연구사로 근무한 경력(3)을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이 아닌 일반 행정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이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제2호에 따른 교육행정경력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교원자격검정령에서 교원의 자격검정 및 자격인정을 위한 요건으로 교육행정경력을 규정하고 있는 취지는 교육활동이 교육 분야 고유의 전문적 지식을 필요로 하고, 고도의 자율성과 사회적 책임성이 요구되며, 그러한 전문 지식과 책임성은 직접 교육 현장에서 수업활동과 학생지도를 하는 교원뿐만 아니라, 교원의 업무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고 교육정책의 기본방향을 정하여 집행하는 교육행정 부문에 종사하는 사람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요구된다는 점을 고려한 것입니다(헌법재판소 2009.9.24. 선고 2007헌마117 결정례 참조).

이에 따라,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에서는 교육행정경력이란 교육부와 그 소속기관에서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 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1),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에서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지방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2) 및 교육감·교육장·장학관·교육연구관·장학사·교육연구사로 근무한 경력(3)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그와 같은 교육행정경력은 국가공무원 및 지방공무원이 일반 행정기관에서 근무한 경력과 구분되는 교육 분야의 전문성과 교육행정의 특수성이 반영되는 업무에 종사한 경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법제처 2010.4.9. 회신 10-0070 해석례 참조).

그리고, “또는은 둘 이상의 항목을 대등한 관계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단어로서,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제2호에 따른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에서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 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이라는 문언은 입법기술적으로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에서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을 의미한다고 할 것입니다.

다음으로, 교원자격검정령(2006612일 대통령령 제19513호로 개정되어 200671일 시행되기 전의 것을 말함) 9조제1항제2호에서는 교육행정경력을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에서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또는 지방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으로 규정하였으나, 2006612일 대통령령 제19513호로 개정되어 200671일 시행된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제2호에서는 교육행정경력을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에서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지방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으로 규정하였는바, 이는 고위공무원단 제도가 도입되면서 종전에는 일반직공무원에 대하여 1급부터 9급으로 계급을 구분하던 것을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에 대해서는 그러한 계급 구분을 적용하지 아니하게 됨에 따라(20051229국가공무원법이 법률 제7796호로 일부개정되어 200671일 시행된 국가공무원법개정이유서 참조),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과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구분하여 규정하게 된 것에 불과하므로, 그러한 입법 연혁에 비추어 보더라도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제2호에 따른 교육행정경력에 해당하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은 7급 이상의 국가공무원과 마찬가지로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에서 근무한 경력으로 한정된다고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교육행정기관과 그 소속기관이 아닌 일반 행정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은 교원자격검정령9조제1항제2호에 따른 교육행정경력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7-0131, 2017.04.20.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고용노동 관련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모델들에게 광고촬영을 소개하는 것은 직업안정법상의 ‘직업소개’에 해당하지 않는다 [서울중앙지법 2009고정5332]  (0) 2018.07.10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기간 연장허가를 받지 않았다면 근로계약은 당초 고용허가를 받은 날의 경과로써 종료된다 [울산지법 2017구합6765]  (0) 2018.05.18
공개경쟁채용으로 신규임용된 일반직공무원에 대하여 초임호봉을 획정하는 경우 자격증 취득 이전의 민간 전문분야 근무경력도 유사경력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법제처 16-0709]  (0) 2018.04.12
4급 공무원의 승진소요 최저연수 산정기준(「지방공무원 임용령」 제33조 등 관련) [법제처 17-0093]  (0) 2018.04.10
사용자는 직접 집단방문에 의한 대화 강요를 실행한 자 또는 그러한 불법행위를 사전에 조직하거나 알면서도 방치한 자의 사용자로서 책임을 진다 [서울중앙지법 2016가합538467]  (0) 2018.03.09
효력정지결정의 효력이 소멸하여 보조금 교부결정 취소처분의 효력이 되살아난 경우, 취소처분에 의하여 취소된 부분의 보조사업에 대하여 효력정지기간 동안 교부된 보조금의 반환을 명하..  (0) 2018.03.08
보육시설 미이용 근로자에 대한 보육수당 환수 조치는 부당하다 [대법 2011다8270]  (0) 2018.03.06
공무원이 외부에 자신의 상사 등을 비판하는 의견을 발표하는 행위는 공무원으로서의 체면이나 위신을 손상시키는 행위에 해당 [대법 2014두8469]  (0) 2018.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