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 사실 관계
- A공공기관은 ʻ공공기관 정상화 대책ʼ 개선사항 이행관련으로 「퇴직금 지급규정」의 업무상 비위행위자에 대한 퇴직금 감액규정을 신설
- A공공기관은 누진제 도입 등으로 인해 법정 퇴직금 초과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비위행위자에 대하여 「퇴직금 지급규정」의 지급제한(감액) 적용하여 법정퇴직금 미만으로 퇴직금을 지급하면서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적법하다고 주장하고 있음
* 대법원 판례(1995.10.12.선고, 94다36186)
‘A’ 공공기관에서 정한 「퇴직금 지급규정」 상 퇴직금 지급제한(감액) 사유에 해당하여 현행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8조에서 정한 법정 퇴직금 미만으로 퇴직금을 지급할 경우의 적법성과 ‘A’ 공공기관에서 정한 「퇴직금 지급규정」이 적법한 지 여부
<회 시>
❍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 및 제8조에 따라 사용자는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고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퇴직급여는 임금전액불의 원칙에 비추어 감액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할 것이나, 귀 지청 질의관련 대법원 판례(1995.10.12.선고, 94다36186)는 당해 공공기관이 누진제 등을 통해 법정 퇴직금 이상을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퇴직금으로 지급하고 있는 경우로서 퇴직금 감액 규정을 적용하더라도 감액 이후에는 법정퇴직금에 미달하지 아니하는 등 「퇴직금 지급규정」의 제정 목적, 제한범위, 퇴직금의 본질에 있어 정당성이 인정된 예외적 판결내용이라 할 것입니다.
❍ 따라서, 귀 지청에서 질의한 내용과 같이 ‘A’ 공공기관이 실제 누진제 도입 등이 없어 법정 퇴직금 초과분이 있지 아니함에도 불구하고 「퇴직금 지급규정」 제10조(지급제한) 제1항 및 제2항을 근거로 비위행위자에 대하여 감액 적용함으로써
- 당해 근로자가 지급받은 퇴직금 수준이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8조에서 정한 금액 미만인 경우라면 「퇴직금 지급규정」은 동 법에 위배되어 그 부분에 한하여 효력이 부인된다 할 것입니다.
[근로복지과-3848, 2014.10.26.]
'근로자, 공무원 > 퇴직급여, 퇴직연금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시간 단축의 경우 퇴직금 산정 [퇴직연금복지과-3321] (0) | 2017.06.08 |
---|---|
환직의 경우 상용잡급 재직기간에 대한 퇴직금 지급 [퇴직연금복지과-1408] (0) | 2017.06.05 |
정년퇴직으로 인한 퇴직의 효력 발생시기 [퇴직연금복지과-1111] (0) | 2017.06.05 |
사업 양도·양수에 따라 퇴직 근로자에 대한 미지급 퇴직금지급의무 승계 여부 [근로복지과-4312] (0) | 2017.06.05 |
사직서 수리 이전 결근 시 퇴직금 미지급 여부 [근로복지과-2657] (0) | 2017.06.02 |
종신복지플랜 변액연금보험의 퇴직급여제도 해당 여부 [근로복지과-20] (0) | 2017.06.02 |
[근로복지과-2950]1년 미만 퇴직자에 대한 퇴직금 환입조치 여부 [근로복지과-2950] (0) | 2017.06.02 |
건강보험료 및 국민연금 기여금을 퇴직급여 지급시 공제 여부 [근로복지과-2422] (0) | 2017.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