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1>

제조업임에도 불구하고 병가(단기 또는 장기), 휴직, 출산, 산재자 발생에 따른 정규직 근로자의 결원을 파견근로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

근로자의 병가기간이 1일 또는 1주일씩 단기간일 경우에 파견근로자 대체투입이 가능한지

배우자 출산에 따른 남성근로자의 출산휴가도 파견근로자 대체투입이 가능한지

<회시1>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파견법이라 함) 5조제2항 및 제6조제4항에서는 근로자파견대상업무가 아니라하더라도 출산·질병·부상 등으로 결원이 생긴 경우에는 그 사유의 해소에 필요한 기간동안 근로자파견사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따라서 근로자의 병가, 출산휴가로 결원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사유의 해소에 필요한 기간동안 파견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임

 

<질의2>

간헐적, 일시적인 인력 확보의 구체적인 사례에 관한 질의

특정제품 생산 시에만 요구되는 추가 필요인력을 파견근로자로 대체 가능한지 여부 (평상시에는 주문이 잘 없는 제품이나, 간헐적인 주문으로 추가인력이 필요한 상황)

주문의 증가에 따른 물류이송 작업(구체적으로는 완제품 단순적재 업무)의 추가인력을 파견근로자로 대체 가능한지

갑작스런 생산계획 변경에 따른 추가 필요인력을 파견근로자로 대체 가능한지

<회시2>

일시적·간헐적 사유의 경우 법령에서 구체적인 사유, 인정 요건 등에 대하여 정하고 있는 바 없으므로 개별사안에 따라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하며

- 통상적으로 일시적·간헐적으로 인력을 확보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경기의 영향, 계절적 요인, 갑작스런 주문의 증가 등으로 업무량이 급증하여 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를 말함

귀 질의만으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은 어려우나, 특정제품 생산, 주문의 증가에 따른 물류이송 작업, 갑작스런 생산계획 변경 등이 일시적이나 간헐적으로 발생하여 기존의 인력으로 업무진행이 어려운 경우라면 파견법5조제2항에 따라 파견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다만, 위와 같은 경우가 연중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이는 상시적인 업무일 가능성이 높아 일시적·간헐적으로 인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로 보기 어려울 것임

 

<질의3>

❍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제26조제1*은 파견법 절대금지 업무로 수은, , 카드뮴 등 중금속을 제련, 주입, 가공 및 가열하는 작업을 도급 금지 업무를 명시하고 있음. 이 규정에서 작업이란 공정별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주된 사업의 업종으로 해석해야 하는지

* 법 제28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이란 같은 사업장 내에서 공정 일부분을 도급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회시3>

❍「파견법5조제3항 및 같은법 시행령 제2조제2항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28조의 규정에 따른 유해하거나 위험한 업무를 근로자파견 금지업무로 규정하고 있음

귀 질의만으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은 어려우나, 근로자파견 금지업무 중 산업안전보건법28(유해작업 도급 금지)의 규정에 따른 유해하거나 위험한 업무는 공정 또는 업종이 아니라 실제 종사하는 업무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함

 

<질의4>

파견근로자 사용이 불가한 사업장이라면, 사용자가 단시간근로자(일용직, 기간제) 등을 직접고용하여 사용할 시에 법적인 문제점은 없는지

<회시4>

귀 질의만으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은 어려우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당해 근로자를 사용하면 될 것으로 사료됨. .

 

고용차별개선과-2549, 2015.12.14.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기간제, 파견, 고령자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체인력으로 근무한 기간제근로자의 무기계약직 전환 시점 [고용차별개선과-2268]  (0) 2015.12.30
학교운동부지도자의 기간제법상 사용기간제한의 예외 적용 관련 [고용차별개선과-2391]  (0) 2015.12.30
용역근로자 근로조건 보호지침 상 시중노임단가 적용대상 및 수의계약시 임금지급 기준 [공공기관노사관계과-1720] / 용역근로자 근로조건 보호지침 적용대상 [공공기관노사관계과-1728]  (0) 2015.12.29
용역근로자 근로조건 보호지침에 대한 적용대상 직종 및 적용범위 [노사관계과-1801]  (0) 2015.12.29
사회복지법인 등에서 채용한 후 시·군청에 근무하고 있는 사례관리사가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저촉되는지 [고용차별개선과-2344]  (0) 2015.12.24
상수도사업본부 산하 지역사업소에서 민간에 위탁시행하고 있는 “검침원 위탁업무”의 불법파견에 해당 되는지 [고용차별개선과-2347]  (0) 2015.12.23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상 이른바 직접고용의무 규정의 법적 성격(사법상의 권리 부여) [대법원 2013다14965]  (0) 2015.12.02
기간제법 제8조제1항이 비교대상 근로자로 들고 있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가 ‘사법상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로 한정되는지 [대법원 2011두5391]  (0) 201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