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췌>

원고는 고도의 준법의식이 요구되는 경찰공무원으로서 일반 직업인보다 높은 청렴성, 도덕성, 윤리성이 요구되는 점, 범죄를 예방하고 진압하여야 할 직무를 가진 원고가 경찰공무원이라는 직위를 이용하여 타인을 속여 금전을 편취한 행위는 그 동기 및 행위 태양, 결과 등에 비추어 그 비위의 정도가 결코 가볍다고 할 수 없는 점, 원고는 이 사건 처분(해임) 이전에도 자신의 채무를 제때 변제할 수 없을 정도로 금전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고소를 당하고 월급을 압류당하는 등 여러 분쟁을 발생시켰고, 이를 이유로 수차례 경고처분 등을 받았음에도 다시 비행을 저질렀고, 사기죄로 유죄판결을 받기도 한 점, 이 사건 처분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공직기강의 확립이나 경찰공무원 전체에 대한 국민적 신뢰의 회복 등의 공익이 이 사건 처분으로 인하여 원고가 입게 될 불이익에 비하여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는 점 등을 종합하면, 원고가 주장하는 여러 사정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처분이 객관적으로 명백하게 부당한 것으로서 사회통념상 현저하게 타당성을 잃어 징계권자에게 맡겨진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창원지방법원(1행정부) 2013.12.10. 선고 2013구합381 판결 [해임처분취소]

원 고 / A

피 고 / 경상남도지방경찰청장

변론종결 / 2013.11.26.

 

<주 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피고가 2012.6.5. 원고에게 한 해임처분을 취소한다.

 

<이 유>

1. 처분의 경위

 

다음 사실은 갑 제1, 2호증, 갑 제3호증의 9, 갑 제4호증의 1의 각 기재에 의하여 인정할 수 있다.

. 원고는 1987.11.2. 경찰공무원(순경)으로 신규임용되어 2008.9.1. 경위로 승진임용된 후, 2011.4.13.부터 2012.6.4.까지 통영경찰서 N지구대에서 근무하였다.

. 통영경찰서 경찰공무원 보통징계위원회는 2012.6.4. 원고가 아래와 같이 국가공무원법 제56(성실의무)와 제63(품위유지의무)를 위반하였다는 징계사유(이하 각 , , , 징계사유를 순서대로 각 제1, 2, 3, 4 징계사유라 한다)를 들어 해임을 의결하였고, 피고는 2012.6.5. 위 징계의결 결과에 따라 원고를 해임(이하 이 사건 처분 이라 한다)하였다.

. 원고는 이 사건 처분에 대하여 행정안전부 소청심사위원회에 소청심사를 청구하였으나, 위 위원회는 2012.10.26. 소청심사청구를 기각하였다.

 

2. 이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 원고의 주장

1) 아래와 같이 원고에게 해임의 징계사유가 없음에도, 피고는 원고에게 이 사건 처분을 하였으므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 원고는 김D으로부터 돈을 빌려 사용한 사실이 없을 뿐만 아니라 형사재판 중에 김D에게 심C를 대신하여 피해금액을 전액 변제하고 합의를 마쳤으며, 그에 대한 형사재판에서도 벌금 15,000,000원을 선고받았을 뿐이다. 또한 위 사건의 징계시효가 이미 완성되었으므로 그 자체만으로는 징계사유로 삼을 수 없다.

) 원고는 육촌 형인 심M로부터 금전을 차용하였을 뿐 김G로부터 금전을 차용하거나 김G를 속인 사실이 없고, 위와 같이 차용한 금전을 모두 변제하였다.

) 원고는 정J으로부터 금전을 차용하였는데, J이 자신의 친구로부터 금전을 차용하여 원고에게 대여하여 주었을 뿐, 원고가 정J을 속인 사실이 없고, 원고는 이 사건 처분 이후에 위 차용한 금전을 모두 변제하였다.

) 원고가 황L에게 자녀들의 교육경비를 차용한 것일 뿐이므로 이는 중징계사유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고, 위와 같은 차용한 금전을 모두 변제하였다.

2) 설령 위와 같은 징계사유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원고가 경찰공무원으로 임용을 받은 뒤 이 사건 처분을 받을 때까지 25년 이상 근무하면서 경찰청장 표창을 비롯한 30여 회의 표창을 수여받는 등 성실하게 근무해 온 점, 원고가 이 사건 징계사유의 각 채무를 모두 변제하였고, 나머지 채무들도 변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사적인 금전거래를 한 잘못을 뉘우치고 깊이 반성하고 있는 점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볼 때, 이 사건 처분은 지나치게 무거워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위법이 있다.

 

. 관계 법령

별지 기재와 같다. [별지 생략]

 

. 인정사실

갑 제4호증의 2, 갑 제5호증의 1, 3, 을 제2호증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 다음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1) 원고는 제1 징계사유 범죄사실로 기소되어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에서 사기죄로 유죄판결을 받고 위 판결이 확정되었다.

2) 원고는 2012.5.29. 통영경찰서 청문감사관실에서 징계혐의사실들에 대한 조사를 받으면서, 골프장 공사의 함바식당을 알선해 줄 능력이 없음에도 친척인 심M의 처 김G에게 H 골프장 신축현장 함바식당 일을 알아봐 준다 라고 말하고 5,000,000원을 빌린 사실이 있고, 골프장 관련 사업을 하고 있지 않음에도 골프장 관련 영업을 하는 것처럼 정J에게 거짓말을 하고 정J으로부터 5,000,000원을 차용하였으며, 조사 당시까지 위 차용금을 변제한 사실이 없다고 진술하였다.

3) 원고는 제4 징계사유와 같이 황L로부터 금전을 차용한 후 이 사건 처분 당시까지도 변제하지 않다가 이 사건 소송 중에서야 비로소 이를 변제하였다.

4) 원고는 2008.11.3.부터 2010.8.16.까지 사천경찰서장으로부터 6회에 걸쳐 경고처분을, 통영경찰서장으로부터 2011.8.18. 1회 주의를, 2011.11.11. 견책처분을 받았는데, 그 비행사실은 원고에게 개인채무가 과다하게 발생하였고, 원고가 이를 변제하지 아니함으로써 채권자들로부터 변제독촉을 받는 등 채무를 둘러싼 다툼이 빈번하였으며, 심지어 자신의 월급을 압류당하거나 사기 혐의로 고소당하기도 하였다는 것 등이다.

 

. 판단

1) 징계사유가 없다는 주장에 대하여

) 국가공무원법(2010.3.22. 법률 제1014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83조의2 규정에 의하면, 사기와 관련한 징계의결 요구는 징계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2년이 지나면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갑 제3호증의 1의 기재에 의하면 제1 징계사유 발생일인 2007.12. 초순으로부터 2년이 경과하였음이 역수상 명백한 2012.5.29. 원고에 대한 징계의결이 요구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이미 징계시효가 경과한 제1 징계사유는 이 사건 처분의 징계사유로 삼을 수 없다. 따라서 이를 지적하는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있다.

) 그러나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원고가 제2, 3 징계사유와 같이 경찰공무원이라는 신분을 이용하여 타인을 속이거나 속이는 데에 가담하여 금전을 편취하고, 4 징계사유와 같이 동료 경찰관으로부터도 자녀 학비 등의 명목으로 금전을 차용하고도 이를 제때 변제하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이로써 원고는 국가공무원법에서 규정한 성실의무 및 품위유지의무를 위반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없다.

2) 재량권을 일탈·남용하였다는 주장에 대하여

공무원인 피징계자에게 징계사유가 있어서 징계처분을 하는 경우 어떠한 처분을 할 것인가는 징계권자의 재량에 맡겨진 것이고, 징계권자가 재량권의 행사로서 한 징계처분이 사회통념상 현저하게 타당성을 잃어 징계권자에게 맡겨진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그 처분을 위법하다고 할 수 있으며, 공무원에 대한 징계처분이 사회통념상 현저하게 타당성을 잃었다고 하려면 구체적인 사례에 따라 징계의 원인이 된 비위사실의 내용과 성질, 징계에 의하여 달성하려고 하는 행정목적, 징계 양정의 기준 등 여러 요소를 종합하여 판단할 때에 그 징계 내용이 객관적으로 명백히 부당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경우여야 한다(대법원 2012.10.11. 선고 201210895 판결 참조).

살피건대, 앞서 든 증거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더하여 알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사정들, 원고는 고도의 준법의식이 요구되는 경찰공무원으로서 일반 직업인보다 높은 청렴성, 도덕성, 윤리성이 요구되는 점, 범죄를 예방하고 진압하여야 할 직무를 가진 원고가 경찰공무원이라는 직위를 이용하여 타인을 속여 금전을 편취한 행위는 그 동기 및 행위 태양, 결과 등에 비추어 그 비위의 정도가 결코 가볍다고 할 수 없는 점, 원고는 이 사건 처분 이전에도 자신의 채무를 제때 변제할 수 없을 정도로 금전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고소를 당하고 월급을 압류당하는 등 여러 분쟁을 발생시켰고, 이를 이유로 수차례 경고처분 등을 받았음에도 다시 제2, 3, 4 징계사유와 같은 비행을 저질렀고, 1 징계사유에 대하여는 사기죄로 유죄판결을 받은 점[징계시효가 지난 비위행위도 징계양정에 있어서 참작자료로 할 수 있다(대법원 1999.11.26. 선고 9810424 판결 참조)], 경찰공무원 징계양정 등에 관한 규칙(2013.6.21. 경찰청예규 제47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에서 정한 징계양정기준에 따르면, 2, 3, 4 징계사유에서 나타난 비행사실은 그 의무위반의 정도가 심하고 고의가 있는 때에 해당하여 징계종류 중 중징계인 파면, 해임을 적용할 수 있는 점, 이 사건 처분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공직기강의 확립이나 경찰공무원 전체에 대한 국민적 신뢰의 회복 등의 공익이 이 사건 처분으로 인하여 원고가 입게 될 불이익에 비하여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는 점 등을 종합하면, 원고가 주장하는 여러 사정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이 사건 처분이 객관적으로 명백하게 부당한 것으로서 사회통념상 현저하게 타당성을 잃어 징계권자에게 맡겨진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원고의 이 부분 주장 또한 이유 없다.

3) 한편 수 개의 징계사유 중 일부가 인정되지 않더라도 인정되는 다른 일부 징계사유만으로도 당해 징계처분의 타당성을 인정하기 충분한 경우에는 그 징계처분을 유지하여도 위법하지 아니한바(대법원 2010.2.25. 선고 200919144 판결 등 참조), 앞서 본 바와 같이 제1 징계사유를 징계사유로 삼을 수 없고 단지 징계양정에서 참작 자료로만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징계사유만으로도 이 사건 처분의 타당성을 인정하기에 충분하므로 결과적으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사 김해붕(재판장) 송진호 권세진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해고, 징계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공무원에 대하여 대리사격 이유로 한 감봉처분이 정당하다 [울산지법 2013구합1298]  (0) 2015.03.14
화해가 성립하였더라도 이행기한까지 구제명령에 따른 이행을 하지 아니한 이상 이행강제금의 부과 요건은 성립한다 [춘천지법 2014구합1183]  (0) 2015.03.12
정치적 중립이나 방송의 공정성이라는 공적 이익을 도모하려는 행위라도 경영진 구성권과 경영주의 대표권을 직접 침해하였다면 징계해고사유에 해당한다 [대법 2011다41420]  (0) 2015.03.12
부하 직원에게 성희롱, 금품요구 등을 한 항공사 사무장에 대한 파면 처분은 정당하다 [서울남부지법 2013가합18562]  (0) 2015.03.10
별정우체국장 추천 대가로 업무취급수수료를 지급한 비위에 대한 정직 1월의 징계처분은 정당 [부산지방법원 2013구합20234]  (0) 2015.03.07
부당해고 판정 후 재 해고는 추가된 해고사유가 이전의 해고사유와 본질적으로 다르고 중대한 경우에 허용 [서울고등법원 2013누18430]  (0) 2015.03.03
평조합원의 전면파업 참여 등에 대하여 해임의 징계처분을 한 것은 징계재량권을 일탈·남용 [대법 2013두1119]  (0) 2014.12.02
정리해고를 할 수밖에 없는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가 있었고, 당시 회사가 해고회피노력을 다하지 않은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대법 2014다20875]<쌍용자동차>  (0) 201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