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상임금으로 인정되는 최소한도의 범위 관련
<질 의>
❍ 당사는 지방현장으로의 발령이 잦은 업체로써 현장으로 발령이 나는 경우 “현장수당”을 월급과 별도로 추가적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현장 발령자에게 15일 이상 출근하는 경우에만 월300,000원을 지급하고 있음.
❍ 이에 현장에서 5일을 근무하다가 본사로의 인사명령을 받아 현장수당 적용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5일에 대해서 일할계산하고 있으며, 현장에서 20일 근무하다가 본사로 발령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300,000원을 지급하고 있음.
❍ 퇴사시에도 마찬가지로 현장에서 5일 근무하다 퇴사를 하는 경우에는 일할 계산해 지급하고 있으며, 15일을 초과해 근무하다 퇴사를 하면 300,000원을 전액지급하고 있음.
❍ 이에 동 수당의 통상임금성 여부를 판단하려 하는 바, 2014년 1월 23일 고용노동부의 ‘통상임금 노사지도지침’ 11페이지에서는 “일정 근무일수를 채워야만 지급되는 임금은 통상임금이 아님”이라고 보고 있어, 300,000원은 통상임금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됨.
❍ 다만, 동 지침에서 “적어도 일정액 이상의 임금이 지급될 것이 확정되어 잇는 최소한도의 범위는 통상임금으로 인정한다”고 하는데, 위 사례에서 통상임금으로 인정되는 금액은 어느 범위까지로 보아야 하는지
[갑설] 15일 이상 전액, 15일 미만 일할 계산하는 사례에서 총 30일 중 임의의 어떤 날에 근로를 제공하더라도 최소한 1일분 만큼은 보상받기 때문에 1일분을 고정성이 인정된 통상임금으로 해야 한다.
[을설] 15일 이전 퇴사 또는 인사발령으로 인해 당월에 지급받게 되는 실제 금액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예시 : 5일 현장근무 후 본사근무를 발령받는 경우 5일분을 통상임금으로 해야 한다는 입장).
<회 시>
❍ 2013.12.18.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은 일정 근무일수를 기준으로 계산방법 또는 지급액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소정근로를 제공하면 적어도 일정액 이상의 임금이 지급될 것이 확정되어 있다면 그와 같이 최소한도로 확정되어 있는 범위에서는 고정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판시했음(대법원 2013.12.18. 선고 2012다89399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 귀 질의상 현장수당이 현장근무자를 대상으로 15일 이상 근무시 월 30만 원이 지급되고, 15일 미만 근무시 근무일수에 따라 일할 계산해 지급되는 경우라면, 소정근로를 제공하면 적어도 일정액 이상의 임금이 지급될 것이 확정되어 있는 최소한도의 범위, 즉 일할 계산되는 금액 한도는 고정성이 인정되므로 통상임금에 해당할 것임.
【근로개선정책과-2613, 2014.04.30.】
'근로자, 공무원 > 임금, 보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균임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의 범위(병원이 소속 의사들에게 지급한 진료포상비 근로기준법상 평균임금 산정 기초 임금총액에 포함)[대법 2010다77514] (0) | 2014.08.25 |
---|---|
최우선변제권이 있는 근로자의 나머지 임금 등 채권과 근로복지공단이 대위하는 채권 사이의 배당순위[대법 2008다13623] (0) | 2014.08.24 |
‘노동부장관의 도산 등 사실인정의 신청일의 1년 전이 되는 날’ 전에 해고된 근로자라도, 그 해고처분이 무효인 경우 사업주로부터 지급받지 못한 임금 등을 체당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 (0) | 2014.08.21 |
온누리상품권의 통상임금 해당 여부 관련 [근로개선정책과-1148] (0) | 2014.08.19 |
사업의 양도·양수에 따른 평균임금 산정[보상부-1061] (0) | 2014.08.19 |
요양보호사에게 지급되는 처우개선비가 최저임금에 산입되는 임금인지 여부[근로개선정책과-659] (0) | 2014.08.17 |
임금지급 착오 시 상계처리 가능 여부 (0) | 2014.08.15 |
감시단속 적용제외에 따른 최저임금 적용 시점[근로개선정책과-4549] (0) | 201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