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사문서변조죄에서 변조는 진정하게 성립된 문서의 내용에 권한 없는 자가 문서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을 가하여 새로운 증명력을 작출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와 같이 권한 없는 자에 의해 변조된 부분은 진정하게 성립된 부분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문서의 내용 중 권한 없는 자에 의하여 이미 변조된 부분을 다시 권한 없이 변경하였다고 하더라도 사문서변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대법원 2012.9.27. 선고 201015206 판결 등 참조).

 



대법원 2020.6.4. 선고 20203809 판결

 

대법원 제1부 판결

사 건 / 20203809 . 위조공문서행사

                       나. 사문서변조 다. 변조사문서 행사 라. 명예훼손

피고인 / A

상고인 / 피고인

원심판결 /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2.14. 선고 20193600 판결

판결선고 / 2020.06.04.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 하고,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1. 피고인에 대한 공소사실 중 2017.8.28.자 사문서변조죄 및 변조사문서행사죄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피고인은 2002.6.E 주식회사가 주식회사 F에 발행한 2002.4.10.자 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 란에 기재된 상호 ()F, 성명 G” 부분 중 “G” 부분을 지우고 그 자리에 “H”(피고인의 개명 전 이름)을 기재한 다음 이를 사본하는 방법으로 E 주식회사 명의의 세금계산서 1장을 변조하였다.

그 후 피고인은 2017.8.28.경 제1심 공동피고인 I과 공모하여 위와 같이 변조한 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 란에 기재된 “H” 부분을 지우고 이를 사본하는 방법으로 E 주식회사 명의의 세금계산서 1장을 변조한 다음, 그 무렵 I이 그를 상대로 제기한 민사소송의 담당판사에게 제출함으로써 변조된 사문서를 행사하였다.

 

2. 1심과 원심은, 변조된 사문서에서 이미 변조된 부분을 다시 변경하는 행위가 사문서변조죄를 구성한다고 보아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였다.

 

3. 사문서변조죄에서 변조는 진정하게 성립된 문서의 내용에 권한 없는 자가 문서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을 가하여 새로운 증명력을 작출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와 같이 권한 없는 자에 의해 변조된 부분은 진정하게 성립된 부분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문서의 내용 중 권한 없는 자에 의하여 이미 변조된 부분을 다시 권한 없이 변경하였다고 하더라도 사문서변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대법원 2012.9.27. 선고 201015206 판결 등 참조).

 

4.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본다. 피고인이 2002.6.경 권한 없이 E 주식회사 명의의 세금계산서 중 “G” 부분을 지우고 “H”을 기재하는 방법으로 이를 변조하였으므로, 위와 같이 변조된 “H” 부분은 진정하게 성립된 문서로 볼 수 없다. 따라서 피고인이 위 공소사실 기재와 같이 “H” 부분을 임의로 삭제하였다고 하더라도 사문서변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은 사문서변조죄에서 변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단을 그르친 잘못이 있다.

 

5. 따라서 원심판결 중 2017.8.28.자 사문서변조죄 및 변조사문서행사죄 부분은 위와 같은 이유로 파기되어야 한다. 그런데 위 파기 부분은 원심판결 중 유죄로 인정된 나머지 부분과 형법 제37조 전단의 경합범 관계에 있으므로, 결국 원심판결은 전부 파기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하고, 원심판결을 파기하며,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정화(재판장) 권순일(주심) 이기택 김선수

 

반응형

'기타 > 기타 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률 제10471호 국가유공자법률 시행 당시 군인으로 재직 중이었으나 전역 후 군무원으로 임용되어 보국훈장을 받고 퇴직하는 경우 국가유공자 등록·결정 시 적용 규정 [법제처 20-0302]  (0) 2020.08.20
주민소송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등 요구 상대방이 공무원인 경우 그에게 경과실이 인정되는 때에도 주민소송의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는지 [대법 2017두63467]  (0) 2020.08.04
병역거부가 그의 진정한 양심에 의한 것인지 등에 대해 충분한 심리 없이 변소를 받아들인 것은 심리미진 등의 잘못에 해당하는지(적극) [대법 2018도14415]  (0) 2020.07.30
피해자가 처벌불원 의사를 밝힌 이후 다시 처벌을 희망한 폭행 사건 [헌재 2019헌마1120]  (0) 2020.07.29
수산업법 제61조제1항제2호가 죄형법정주의의 명확성원칙에 위배되는지 [헌재 2019헌바334]  (0) 2020.07.21
디엔에이법 제13조제3항 중 ‘수형인등’에 관한 부분이 청구인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지 [헌재 2017헌마1326]  (0) 2020.07.21
농지소유자에게 원칙적으로 그 소유 농지를 위탁경영할 수 없도록 한 농지법 제9조(위탁경영 금지조항)가 재산권을 침해하는지 [헌재 2018헌마362]  (0) 2020.07.21
업무상 알게 되거나 점유한 군사기밀을 타인에게 누설한 경우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도록 한 군사기밀 보호법 제13조제1항 위헌여부 [헌재 2018헌바233]  (0) 2020.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