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2011329일 법률 제10471호로 개정된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개정 국가유공자법이라 함)이 시행된 2011630일 당시 군인으로 재직 중이었던 사람이 전역 후 군무 원(국군조직법16조제1항에 따른 군무원을 말하며, 이하 같음.)으로 임용되어 보국훈장을 받고 퇴직하는 경우의 국가유공자 등록 및 결정에 대해 같은 법 부칙 제3조를 적용할 수 있는지

[질의 배경]

국가보훈처에서는 위 질의요지와 같은 사안에 대해 개정 국가유공자법 부칙 제3조를 개정하지 않고 해당 경과조치를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이 사안의 경우 개정 국가유공자법 부칙 제3조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이 유>

2011329일 법률 제10471호로 개정되기 전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개정 전 국가유공자법이라 함) 4조제1항제8호에서는 같은 법에 따른 예우를 받는 국가유공자의 하나로 보국수훈자(保國受勳者)를 규정하면서 그 범위를 보국훈장을 받은 자라고 하였으나, 개정 국가유공자법 제4조제1항제8호에서는 보국수훈자를 군인으로서 보국훈장을 받고 전역한 사람(가목)과 군인 외의 사람으로서 간첩체포등의 사유(간첩체포, 무기개발 및 그 밖에 국가유공자법 시행령 제3조의2에서 정한 사유를 말하며, 이하 같음.)로 보국훈장을 받은 사람(나목 본문)으로 구분하면서 군인을 제외한 공무원(국가공무원법2조 및 지방공무원법2조에 따른 공무원을 말함.)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상적으로 공무에 종사하는 대통령령[공무원연금법 시행령2조의 적용을 받는 자를 말함(국가유공자법 시행령 제5조 참조)]으로 정하는 직원(이하 공무원등이라 함)은 간첩체포등의 사유로 보국훈장을 받고 퇴직한 사람만 해당한다(나목 단서)고 하여 국가유공자의 예우를 받는 보국수훈자의 범위를 종전보다 한정하여 규정했습니다.

이는 개정 전 국가유공자법에 따르면 국가안보의 직무를 수행하는 군인이나 간첩체포등의 특별한 공적이 있는 사람이 아니어도 보국수훈자로서 국가유공자가 될 뿐 아니라 전역·퇴직 전에 보국훈장을 받은 군인·공무원등이 재직 중에 국가유공자가 되어 각종 보상과 혜택을 받게 되자 개정 국가유공자법 제4조제1항제8호에서와 같이 국가유공자 등록 요건을 엄격하게 규정한 것으로, 입법자료[개정 국가유공자법 개정이유·주요내용 및 2011.3.4. 298회 국회(임시회) 정무위원회 제2차 법률안심사소위원회 회의록 참조]에 따르면 개정 국가유공자법 부칙 제3조는 같은 법 제4조제1항제8호의 개정으로 인해 권익이 침해될 수 있는 재직 중 군무원들의 기대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같은 법 시행 당시 군인을 제외한 공무원등으로 재직 중인 사람의 국가유공자 등록 및 결정에 대해서는 종전의 규정에 따르도록 한 것입니다.

즉 개정 국가유공자법 부칙 제3조는 같은 법 제4조제1항제8호나목에도 불구하고 간첩체포등의 사유로 보국훈장을 받은 경우가 아니어도 개정 전 국가유공자법에 따라 국가유공자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과규정이므로 보국훈장을 받는 사유의 제한 없이 국가유공자가 될 수 있는 군인은 해당 경과규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한 것인바, 법 문언 및 규정체계상 이 사안과 같이 개정 국가유공자법 시행 당시 군인으로 재직 중이던 사람에 대한 국가유공자 등록 및 결정의 경우에는 같은 법 부칙 제3조가 적용될 여지가 없습니다.

따라서 개정 국가유공자법 시행 당시 군인으로 재직 중이었으나 전역 후 군무원으로 임용되어 보국훈장을 받고 퇴직하는 사람의 국가유공자 등록 및 결정에 대해 별도의 경과조치를 두어 종전의 규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여부는 별론으로 하고, 이 사안의 경우 같은 법 부칙 제3조를 적용하여 개정 전 국가유공자법에 따라 국가유공자 등록 및 결정을 할 수는 없습니다.

법령정비 권고사항

개정 국가유공자법 시행 당시 군인으로 재직 중이었으나 전역 후 공무원등으로 임용되어 보국훈장을 받고 퇴직하는 사람에 대해 개정 전 국가유공자법에 따라 국가유공자 등록 및 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면 개정 국가유공자법 부칙에 그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법령을 정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법제처 20-0302, 2020.08.10.

 

반응형

'기타 > 기타 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유식 수상구조물형 부선이 등기할 수 있는 선박에 해당하는지 여부(선박에 대한 강제집행 방법이 문제된 사건) [대법 2018다273608]  (0) 2020.09.10
위계에 의한 간음죄에서 위계의 의미 [대법 2015도9436]  (0) 2020.08.28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른 대규모점포개설자 내지 전통시장법에 따른 시장관리자의 지위에 있다면 점포 상인들에 대해 관리비를 징수할 권한이 있는지 [대법 2020다221020]  (0) 2020.08.25
2인 이상이 저작물의 작성에 관여한 경우, 저작자가 누구인지 판단하는 기준 [대법 2018도13696]  (0) 2020.08.21
주민소송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등 요구 상대방이 공무원인 경우 그에게 경과실이 인정되는 때에도 주민소송의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는지 [대법 2017두63467]  (0) 2020.08.04
병역거부가 그의 진정한 양심에 의한 것인지 등에 대해 충분한 심리 없이 변소를 받아들인 것은 심리미진 등의 잘못에 해당하는지(적극) [대법 2018도14415]  (0) 2020.07.30
피해자가 처벌불원 의사를 밝힌 이후 다시 처벌을 희망한 폭행 사건 [헌재 2019헌마1120]  (0) 2020.07.29
문서의 내용 중 권한 없는 자에 의하여 이미 변조된 부분을 다시 권한 없이 변경하였다고 하더라도 사문서변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대법 2020도3809]  (0) 2020.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