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입사 후 계속하여 1년 이상 근로한 후 1년 이상 휴직(근로기준법60조제6항에 따라 출근한 것으로 보는 기간에 해당하지 않는 휴직을 말하며, 이하 같음.)하고 복직한 근로자는 근로기준법60조제2항에 따른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 해당하여 사용자는 해당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하는지?(당사자가 유급휴가에 관하여 취업규칙 또는 근로계약서 등으로 근로기준법60조와 달리 정한 사항이 없는 것을 전제함.)

[질의 배경]

민원인은 위 질의요지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회신 내용에 이견이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이 사안의 근로자는 근로기준법60조제2항에 따른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해당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유>

근로기준법60조에서는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1),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근로자에게는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2)를 주도록 연차 유급휴가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바, 연차 유급휴가는 그 전년도 1년간의 근로에 대한 대가에 해당하는 것(대법원 2017.5.17. 선고 2014232296, 232302 판결례 및 대법원 2005.5.27. 선고 200348549 판결례 참조)이므로 근로기준법60조는 전년도에 출근한 사실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전년도 1년간의 총 소정근로일수(1년간의 총 역일(曆日)에서 법령단체협약취업규칙 등에 의하여 근로의무가 없는 것으로 정해진 날을 뺀 일수를 말함.) 중 근로자가 현실적으로 근로를 제공한 출근일수 비율을 산정하여 그 비율이 80퍼센트 이상인 경우와 80퍼센트 미만인 경우를 구분하여 유급휴가 대상 근로자를 규정한 것입니다.

그리고 근로기준법60조제2항은 201221근로기준법이 법률 제11270호로 개정되면서 현행과 같이 개정된 것으로, 연차 유급휴가가 계속 근로에 대한 보상임에도 불구하고 종전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 한해 연차 유급휴가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어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 대한 연차휴가 규정이 미비한 점을 해소(2011.4.14. 의안번호 제1811504호로 발의된 근로기준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검토보고서 및 2012.2.1. 법률 제11270호로 일부개정되어 2012.8.2. 시행된 근로기준법 개정이유주요내용 참조)하기 위해 “1년간 80퍼센트 미만 근로한 근로자에게도 연차 유급휴가를 부여하도록 하는 내용이 추가된 것입니다.

그런데 이 사안과 같이 계속하여 1년 이상 근로한 후 1년 이상 휴직하고 복직한 근로자는 연차 유급휴가의 산정 기준이 되는 전년도 1년간 출근한 사실이 없으므로 근로기준법60조제2항에 따른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아 해당 규정에 따른 유급휴가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법제처 19-0427, 2020.02.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