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74조제1항제8호에 따라 세입자별 손실보상을 위한 권리명세 및 그 평가액이 포함된 관리처분계획을 수립하여 시장군수등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사업시행자의 범위에 재건축사업(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6조제1항제1호 및 제27조제1항제1호에 해당하는 재건축사업 외의 재건축사업으로 한정함)의 시행자가 포함되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74조제1항제8호가 재건축사업에도 적용된다는 의견이나, 국토교통부에서 그와 다른 의견을 표시하자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이 사안의 경우 재건축사업의 시행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 유>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도시정비법이라 함) 2조제2호에 따르면 정비사업 중 주거환경개선사업 및 재개발사업은 도로상하수도 등 정비기반시설이 극히 열악하고 노후불량 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 등에서 정비기반시설과 공동이용시설의 확충 등을 통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거나 상권활성화 등을 위해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을 말하고(가목 및 나목) 재건축사업은 정비기반시설이 양호한 지역에서 노후불량 공동주택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을 말하는바(다목), 각 사업의 목적내용 및 대상 지역 등을 비교할 때 전자가 후자보다 공공성이 더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헌법재판소 2014.1.28. 선고 2011헌바363 결정례 및 헌법재판소 2018.7.26. 선고 2016헌바83 결정례 등 참조)

이러한 차이로 인해 도시정비법에서는 주거환경개선사업 및 재개발사업에는 일반적으로 사업시행자에게 정비사업의 시행에 필요한 토지물건 또는 그 밖의 권리를 수용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있으나 재건축사업의 경우에는 공공사업으로서의 성격이 강한 도시정비법 제26조제1항제1호 및 제27조제1항제1호에 해당하는 재건축사업의 경우만 수용사용권을 부여(63)하고 그 밖의 재건축사업에 대해서는 수용사용권 대신 재건축사업에 동의하지 않는 자에 대해 건축물토지의 소유권 등을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64조제4) 등 양자에 대해 공적 개입의 정도를 달리하는 규정 체계를 취하고 있는바, 이는 재건축사업이 기본적으로 같은 법 제2조제9호에 따른 토지등소유자(이하 토지등소유자라 함)의 자발적 참여를 중시하는 민간 주도 정비사업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입니다.(헌법재판소 2014.1.28. 선고 2011헌바363 결정례 및 헌법재판소 2018.7.26. 선고 2016헌바83 결정례 등 참조)

그렇다면 도시정비법 제74조제1항제8호에 따라 세입자별 손실보상을 위한 권리명세 및 그 평가액이 포함된 관리처분계획을 수립하여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자치구의 구청장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사업시행자의 범위도 공공성이 강한 정비사업인 주거환경정비사업 및 재개발사업과 같은 법 제26조제1항제1호 및 제27조제1항제1호에 해당하는 재건축사업의 시행자에 한정되고 공공성이 약한 그 밖의 재건축사업의 시행자는 제외된다고 보는 것이 위와 같은 규정 체계와 재건축사업의 성격에 부합하는 해석입니다.

만약 이와 달리 재건축사업에 대해서도 도시정비법 제74조제1항제8호가 언제나 적용된다고 본다면 해당 사업 대상 공동주택의 세입자들에 대한 손실보상액이 사업비에 추가되어야 하는바 이는 민간 주도의 정비사업에 행정관청이 과도하게 개입하여 사업비의 증액을 강제함으로써 재건축사업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재건축사업의 경우에는 임의가입제를 택하여 그 사업에 동의한 토지등소유자만 조합원의 자격을 가지는데(도시정비법 제39조제1항 참조) 재건축사업의 시행자에게도 세입자들에 대한 손실보상을 강제하면 결국 재건축사업에 동의하지 않은 토지등소유자와 계약관계를 맺은 세입자들에 대한 손실보상 부분까지도 해당 세입자들과 아무런 계약관계가 없는 재건축사업에 동의한 토지등소유자가 모두 부담하게 되는 불합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그 부담 부분의 구상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법률분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헌법재판소 2014.1.28. 선고 2011헌바363 결정례 참조)

 

법제처 18-0411, 2018.10.25.

 

반응형

'주택, 부동산 > 건설, 건축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음계단의 “계단의 단너비” 측정 방법(「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6조 관련) [법제처 18-0465]  (0) 2019.06.26
공동주택 각 세대와 복도 사이의 경계벽이 내화구조적용 대상이 되는지 여부(「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제1항 관련) [법제처 18-0357]  (0) 2019.06.25
산업시설용지 외의 용지에 대한 매각수익의 기반시설 재투자 등 의무 규정의 적용 범위(구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0조제7항・제8항 및 부칙 제4조 등 관련) [법제처 18-0449]  (0) 2019.06.25
개발사업의 시행승인으로 도시・군관리계획의 결정이 의제된 후 그 승인이 취소된 경우 도시・군관리계획의 결정도 당연히 실효되는지 여부 [법제처 18-0443]  (0) 2019.06.25
시설물에 부설주차장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른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을 설치해야 하는지 여부 [법제처 18-0550]  (0) 2019.06.20
차면시설 설치의무 위반이 시정명령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건축법」 제79조제1항 및 「건축법 시행령」 제55조 등 관련) [법제처 18-0323]  (0) 2019.06.18
구조 안전의 확인 서류 제출에 관한 경과조치의 적용 범위(건축법 시행령 부칙 제2조 등 관련) [법제처 18-0381]  (0) 2019.06.12
구 「도시계획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과 도시계획시설이 아닌 시설을 같은 건축물 안에 설치한 경우 용도변경의 범위 [법제처 18-0454]  (0) 2019.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