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공무원임용령35조의31항에서는 임용권자 또는 임용제청권자는 소속 일반직공무원 중 해당 계급에서 승진소요최저연수 이상 근무하고 승진임용의 제한 사유가 없으며 근무실적이 우수한 사람을 바로 상위 직급의 대우공무원(이하 대우공무원이라 함)으로 선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3항에서는 같은 조제1항에 따른 대우공무원의 선발·지정에 필요한 사항은 인사혁신처장이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그 위임에 따라 공무원 임용규칙(인사혁신처예규 제28) 19조제1항에서는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되기 위해서는 공무원임용령31조에서 정한 승진소요최저연수를 경과한 자로 해당 계급에서 일정 기간 동안 근무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2항 본문에서는 같은 조제1항에 따른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은 같은 영 제31(승진소요최저연수) 및 제35조의4(근속승진 임용)에 따라 산정한 기간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공무원임용령35조의33항 및 공무원 임용규칙19조에 따라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 산정 시 공무원임용령32조에 따른 승진임용의 제한기간 동안 근무한 기간이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에 포함되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감봉처분으로 인한 승진임용의 제한기간 동안 근무한 기간이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되기 위한 근무기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인사혁신처에 질의하였는데, 인사혁신처로부터 이 경우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되기 위한 근무기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자 이에 이의가 있어 직접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공무원임용령35조의33항 및 공무원 임용규칙19조에 따라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 산정 시 공무원임용령32조에 따른 승진임용의 제한기간 동안 근무한 기간은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 유>

공무원임용령35조의31항에서는 임용권자 또는 임용제청권자는 소속 일반직공무원 중 해당 계급에서 승진소요최저연수 이상 근무하고 승진임용의 제한사유가 없으며 근무실적이 우수한 사람을 바로 상위 직급의 대우공무원으로 선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3항에서는 같은 조제1항에 따른 대우공무원의 선발·지정에 필요한 사항은 인사혁신처장이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그 위임에 따라 공무원 임용규칙19조제1항에서는 공무원임용령35조의31항에 따라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되기 위해서는 같은 영 제31조에 정한 승진소요최저연수를 경과한 자로 해당 계급에서 일정 기간 동안 근무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2항에서는 같은 조제1항에 따른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은 같은 영 제31(승진소요최저연수) 및 제35조의4(근속승진 임용)에 따라 산정한 기간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공무원임용령31조제1항에서는 공무원이 승진하려면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계급에 재직하도록 승진소요최저연수를 규정하면서, 같은 조제2항에서는 승진소요최저연수에 포함되지 않는 기간으로 휴직기간, 직위해제 기간, 징계처분 기간 및 같은 영 제32조에 따른 승진임용의 제한기간을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공무원임용령35조의33항 및 공무원 임용규칙19조에 따라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 산정 시 공무원임용령32조에 따른 승진임용의 제한기간 동안 근무한 기간이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에 포함되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공무원임용령35조의31항에서는 임용권자 또는 임용제청권자는 소속 일반직공무원 중 해당 계급에서 승진소요최저연수 이상 근무하고 승진임용의 제한사유가 없으며 근무실적이 우수한 사람을 바로 상위 직급의 대우공무원으로 선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3항에서는 같은 조제1항에 따른 대우공무원의 선발·지정에 필요한 사항은 인사혁신처장이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그 위임에 따라 공무원 임용규칙19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서는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되기 위해서는 공무원임용령31조에서 정한 승진소요최저연수를 경과한 자로 해당 계급에서 같은 항 각 호의 기간 동안 근무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규정들을 종합해 볼 때,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되기 위해서는 승진소요최저연수 이상 근무하고, 승진임용의 제한사유가 없으며, 공무원 임용규칙19조제1항 각 호에 따른 근무기간 동안 근무하였을 것이 요구된다고 할 것입니다.

또한, 공무원 임용규칙19조제1항제1호에서는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으로 일반직 공무원의 경우 5급 및 4급은 7년 이상(가목), 9급부터 6급까지는 5년 이상(나목), 연구사 및 지도사는 10년 이상(다목)으로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2항 본문에서는 같은 조제1항에 따른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은 공무원임용령31(승진소요최저연수) 및 제35조의4(근속승진 임용)에 따라 산정한 기간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영 제31조제2항 각 호외의 부분 본문(승진소요최저연수)에서는 승진소요최저연수의 기간에는 같은 영 제32조에 따른 승진임용의 제한기간을 포함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공무원 임용규칙19조제1항 각 호에 따른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은 승진임용의 제한사유 없이 근무한 기간을 의미한다고 할 것입니다.

그런데, 공무원임용령32조제1항에서는 승진임용의 제한사유로 징계처분 요구 또는 징계의결 요구, 징계처분, 직위해제, 휴직 또는 시보임용 기간 중에 있는 경우(1)와 각 징계처분의 집행이 끝난 날부터 강등·정직은 18개월(2호가목), 감봉은 12개월(2호나목), 견책은 6개월(2호다목)의 기간이 지나지 않은 경우를 규정하고 있는바, 공무원이 감봉처분이나 견책처분을 받은 후 실질적으로 근무하였다고 하더라도 같은 영 제32조에 해당하는 기간은 승진임용의 제한사유에 해당하여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에 포함되기는 어렵다고 할 것입니다.

더욱이, 대우공무원 선발제도의 취지가 승진 정체 현상으로 인하여 동일 계급에서 장기간 근무하고 있는 우수한 공무원에 대하여 승진 예정 직급에 상응하는 대우를 함으로써 근무 의욕을 고취하는 데 있는 점을 고려하면(1990.1.30. 대통령령 제12910호로 일부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공무원임용령개정이유서 참조), 자신의 비위로 승진임용의 제한사유가 발생하여 승진을 하지 못한 경우는 승진 정체 현상으로 인하여 동일 계급에 장기간 근무하고 있는 경우라고 볼 수 없으므로, 승진임용의 제한사유에 해당하는 기간을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에 포함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은 위와 같은 입법취지에도 어긋난다고 할 것입니다.

따라서, 공무원임용령35조의33항 및 공무원 임용규칙19조에 따라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 산정 시, 공무원임용령32조에 따른 승진임용의 제한기간 동안 근무한 기간은 대우공무원 선발을 위한 근무기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6-0596, 2016.12.16.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고용노동 관련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공무원법」 제29조의4에 따른 수석교사가 임기 중에 같은 법 제29조의3에 따른 교장 공모에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제처 17-0278]  (0) 2018.01.25
자동차종합보험 미적용 비운전업무 직원에게 회사차를 운전하게 하고는 교통사고가 발생하자 구상권을 행사하는 것은 신의칙 위반 [대법 2017다6337]  (0) 2018.01.16
산재로 왼팔을 잃고 외상후 스트레스성 장애까지 얻게 된 외국인 근로자의 아내에 대한 체류자격 변경불허가처분은 재량권 일탈·남용으로 위법 [대법 2015두48846]  (0) 2017.11.07
근로관계나 이와 유사한 계약관계 종료 후 사업주의 영업부류에 속한 거래를 하거나 동종의 업무에 종사하지 아니하기로 하는 경업금지약정의 유효성 [광주지법 2016가단517972]  (0) 2017.11.01
공인노무사 아닌 자가 무보수로 공인노무사 직무를 할 수 있는지 여부 (「공인노무사법」 제27조 본문 관련) [법제처 16-0530]  (0) 2017.09.29
교육공무원에 대한 승진후보자 명부 작성 시 부여하는 가산점 산정 기준(「교육공무원승진규정」 제41조 등 관련 [법제처 16-0482]  (0) 2017.09.25
복지기금협의회의 출연비율 결정이 없는 상태에서 乙 노동조합이 甲 공사에 약정에 따른 출연의무를 이행할 것을 바로 청구할 수는 없다 [대법 2013다212905]  (0) 2017.09.08
회사직원이 퇴사후에도 종전 회사에 대하여 영업비밀 등에 관해 업무상배임죄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대법원 2017도3808]  (0) 2017.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