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공개법”이라 함) 제7조제1항 본문에서는 공공기관(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공공기관,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사 및 지방공단,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으로 정하고 있음(정보공개법 제2조제3호 참조))은 같은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공개의 구체적 범위, 주기, 시기 및 방법 등을 미리 정하여 정보통신망 등을 통하여 알리고, 이에 따라 정기적으로 공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항 각 호에서는 국민생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에 관한 정보(제1호), 국가의 시책으로 시행하는 공사(工事) 등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에 관한 정보(제2호) 등을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2항에서는 공공기관은 같은 조제1항에 규정된 사항 외에도 국민이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정보를 국민에게 공개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있는바,

지방자치단체의 연간 업무계획(연간 업무계획에 정보공개법 제7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같은 법 제7조제1항 본문에 따른 사전적 공개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조례나 지방자치단체 소속 정보공개심의회에서 별도로 업무계획의 공표 시기를 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전제로 함)을 정보공개법 제7조제1항 본문에 따라 반드시 전년도 12월 31일까지 공개하여야 하는지?

 

<회 답>

지방자치단체의 연간 업무계획은 정보공개법 제7조제1항 본문에 따라 반드시 전년도 12월 31일까지 공개하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유>

먼저 정보공개법 제2조제3호에서는 같은 법에 따른 공공기관 중 하나로 지방자치단체(제3호나목)를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7조제1항 본문에서는 정보 공개의 청구가 없더라도 공공기관이 사전적으로 공개하여야 하는 정보의 범위에 대하여, 국민생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에 관한 정보(제1호) 등을 각 호로 규정하면서, 그 정보의 공개 주기, 시기, 방법 등을 미리 정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해 알리고, 이에 따라 정기적으로 공개하도록 하고 있는바, 문언상 정보공개법 제7조제1항에서는 공공기관에게 지방자치단체의 업무계획 등과 같은 정보를 특정 시점까지 공개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정보공개법 제7조에 따른 정보의 사전적 공개 제도는 행정환경 변화와 급증하는 국민의 정보공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민의 알 권리를 신장하고, 국정운영의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 입법 차원에서 도입된 것으로(2004.1.29. 법률 제7127호로 전부개정된 공공기관의정보공개에관한법률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참조), 같은 법 제7조의 신설 당시에는 조제목을 “행정정보의 공표 등”으로 규정하면서, “공공기관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정보에 대하여 공개의 구체적 범위, 공개의 주기·시기 및 방법 등을 미리 정하여 공표하고, 이에 따라 정기적으로 공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여 현행과 유사하게 공개의 범위, 주기, 시기 등을 미리 정하여 공개하도록 하였고, 이후 2020년 12월 22일 법률 제17690호로 일부개정된 정보공개법에서는 제7조를 개정하면서 국민이 이해하기 쉽게 용어를 변경하여 조제목을 “정보의 사전적 공개”로 개정하고(2020.12.22. 법률 제17690호로 일부개정된 정보공개법에 대한 조문별 개정이유서 참조), 공공기관이 공개의 시기 등을 정보통신망 등을 통하여 알리도록 공표 수단을 구체화한 것인바, 해당 규정의 연혁상 공표하여야 하는 정보의 공개 시기에 관하여는 개정된 바가 없는 점에 비추어 보면, ‘사전적 공개’의 의미는 청구인의 공개 청구가 없더라도 국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정보 등에 대해서는 미리 공개의 시기 등을 정하여 공표하고, 그에 따라 정기적으로 공개하려는 것으로, 반드시 전년도 12월 31일까지 공개하도록 특정하려는 취지로 해석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연간 업무계획을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7조제1항 본문에 따라 반드시 전년도 12월 31일까지 공개하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법제처 25-0489, 2025.10.15.】

반응형

'기타 > 기타 행정해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조직법 제5조의 합의제행정기관의 범위 [법제처 25-0582]  (0) 2025.11.06
2026년 7월 1일 이후 제주특별법 제36조제1항에 따른 도의회의원의 정수 [법제처 25-0626]  (0) 2025.11.05
두 번의 낚시어선업 영업구역 위반행위 중 하나의 위반행위에 대해서만 「낚시 관리 및 육성법 시행규칙」 별표 2 제2호다목7)에 따라 영업정지 2개월의 행정처분을 한 경우, 다른 하나의 위반행위에 대해서 추가로 영업정지 2개월의 행정처분을 할 수 있는지 [법제처 25-0451]  (0) 2025.11.05
경찰대학 설치법 제6조제3항에 따른 경찰대학의 교수 등이 교육공무원인지 [법제처 25-0556]  (0) 2025.11.05
체육지도자 배치 기준이 2명 이상인 체육시설에서 체육시설업자 1명이 해당 종목의 체육지도자 자격을 가지고 직접 지도하는 경우, 추가로 1명 이상의 체육지도자를 배치하여야 하는지 [법제처 25-0713]  (0) 2025.11.05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 별표 2 제3호에 근거하여 지방농업연구관을 농업기술센터의 과장으로 둘 수 있는지 [법제처 25-0567]  (0) 2025.11.05
법률 제13931호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부칙 제5조의 적용 범위 [법제처 25-0622]  (0) 2025.11.05
병역법 시행령 제66조제4항 본문의 “형의 선고를 받지 않기로 확정된 사람”의 범위 [법제처 25-0536]  (0) 2025.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