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방법원 2000.7.20. 선고 99가단778 판결】

 

• 울산지방법원 판결

• 사 건 / 99가단778 퇴직금

• 원 고 / ○○○○○○조합

• 변론종결 / 2000.07.06.

 

<주 문>

1. 피고는 원고에게 금 34,718,615원 및 이에 대한 1997.7.1.부터 완제일까지 연 25%의 비율에 의한 돈을 지급하라.

2. 소송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3. 제1항은 가집행할 수 있다.

 

<청구취지>

주문과 같다.

 

<이 유>

1.  기초사실

 

아래 사실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다.

 

가. 원고는 1972.5.30.부터 피고조합의 영농부장, 분소장, 상무 등의 직책을 거치면서 1997.6.30. 정년퇴직하였는데, 그 때까지의 원고의 퇴직금은 제세공과금을 제외하고 104,517,917원에 이르렀다.

나. 피고조합은 1997.7.31. 피고조합에 개설된 원고의 계좌로 위 퇴직금 104,517,917원을 입금하였다가 같은 날 다시 88,282,036원을 인출하였다.

다. 한편 원고는 현재 위 인출금 88,282,036원 중 주문기재 금액인 34,718,615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한 인출을 승인 내지 묵인하고 있다.

라. 그렇다면,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피고조합은 원고로부터 승인을 받지 못한 주문기재 금액인 34,718,615원에 대한 원리금을 반환할 의무가 있다.

 

2.  피고의 주장에 대한 판단

 

피고조합은 먼저, 원고가 피고조합의 대정출장소장으로 근무하면서 피고조합의 업무규정을 위반하면서 대출한 원리금 82,832,036원(주문기재 금액은 위 원리금 중 소외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명의로 대출한 원리금 합계이다)을 변상하기로 하여 이에 피고조합이 원고의 승낙하에 위 원리금, 차용금, 우산대금등 합계 88,282,036원을 인출한 것이라고 주장하나, 증인 <삭제>, <삭제>의 증언만으로는 원고의 승낙하에 주문기재 금액을 인출한 것이라고 인정하기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도 없으므로 피고조합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피고조합은 또, 원고가 1997.8.2. 위와 같이 퇴직금을 정산처리한 예금계좌에서 1,600만원을 인출하면서 위 인출금에 대하여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아 이를 묵인한 것이라는 취지의 주장도 하나, 피고조합의 주장만으로는 원고가 피고조합의 주문기재 금액에 관한 인출행위를 묵인한 것이라고 보기 어려우므로, 피고조합의 위 주장도 이유 없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정당하므로, 이에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2000.7.20.

 

판사 윤석진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퇴직급여, 퇴직연금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 스스로 관리, 처분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기 전에 퇴직금이 대출원리금 변제에 사용된 부분은 근로자에게 직접 지급되었다고 볼 수가 없다 [울산지법 2000나2863]  (0) 2025.03.27
상시적으로 주당 15시간 이상의 근로가 필요하였음에도 퇴직금 지급의무를 면하기 위해 소정근로시간을 주당 15시간 미만으로 부당하게 축소하였다고 인정하기 부족하다 [서울고법 2023나2004385]  (0) 2025.01.06
전년도에 미사용한 연차유급휴가일수에 대한 수당은 전년도 임금협정에 따른 시간급 통상임금 등을 기초로 계산하여야 한다 [대법 2017다53326]  (0) 2025.01.06
일실 퇴직연금 상당의 손해배상채권에서 직무상유족연금을 공제하는 순서와 그 인적 범위에 관하여 ‘상속 후 공제’ 방식의 채택 여부 [대법 2021다255853]  (0) 2024.11.29
영업양도 전후로 근속한 대표이사의 퇴직금 산정 시 영업양도 전 회사의 재직기간 합산 등이 문제된 사건[피고의 A회사 대표이사 재직기간 합산의 당부(=소극) 및 지급율의 당부(=적극)] (2024.07.11. 서울고법 2023나2053769)  (0) 2024.09.04
공무원연금법상 퇴직연금 지급정지 사유가 발생하였는데도 공무원연금공단이 착오로 10개월 동안 퇴직연금을 지급하다가 이를 환수한 것은 정당하다 [서울행법 2023구합4650]  (0) 2024.08.22
고용간주자가 사용사업주에게 임금 차액 지급을 청구하는 경우 사용사업주가 지급할 임금 등에서 파견사업주가 지급한 퇴직금을 공제하여야 하는지 여부(소극) [대법 2020다28792]  (0) 2024.08.06
사용자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9조제1항 본문에 따라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는 기간의 만료의 의미 [법제처 24-0211]  (0) 202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