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조지부장이 상급단체 전임을 겸직하고 있던 중 지부장 임기가 만료된 경우 상급단체 전임의 인정여부
<질 의>
❍ 단체협약은 “회사는 조합에서 지명하는 2명을 전임으로 인정한다, 조합 상급 단체의 공직에 취임함을 인정하되 그 처우는 조합전임자의 처우에 준한다. 다만, 비전임으로 취임하는 경우에는 회사의 승인이 있을 시 공무활동 시간을 부여하고 이를 근무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 당사에 조직된 초기업 노조의 지부장이 지부전임 및 상급단체 전임을 겸직하고 있던 중 지부장 임기가 만료된 경우, 지부장 전임 외에 상급단체 전임을 인정하여야 하는지 여부
<회 시>
1. 노조법 제24조제1항에 의거 근로자는 단체협약으로 정하거나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는 근로계약 소정의 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하고 노동조합 업무에만 종사할 수 있음.
2. 노사가 단체협약을 체결하면서 전임자를 특정하지 아니한 채 ‘전임자수’만 합의한 경우, 전임자의 선정은 노동조합의 자주적 결정을 존중하여야 할 것이므로, 사용자는 단체협약에 정한 ‘전임자수’ 범위 내에서 규약 등 노조내부의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선정된 전임자를 인정하여야 할 것임.
- 따라서, 전임자이던 노조 지부장이 재임중 이중으로 상급단체에 취임하였다가 지부장 임기가 만료된 경우, 상급단체 전임자로 인정할 것인지 여부는 단체협약에 정한 ‘전임자수’ 범위 내에서 당해 노동조합이 결정할 수 있을 것임.
3. 한편, 단체협약 제100조제2호 단서는 근로자가 비전임으로 상급단체 등의 공직에 취임하는 경우 회사의 승인을 얻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비전임자의 공직취임은 단체협약의 체결 취지나 내용 등을 감안하여 업무의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노사가 협의하여 결정하면 될 것임.
【노사관계법제팀-730, 2007.03.05.】
'근로자, 공무원 > 노동조합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업불참자에 대한 제재금이 조합비 일괄공제 대상인지[노사관계법제팀-2231] (0) | 2014.10.22 |
---|---|
노사협의회에서 논의 중인 사항을 관철할 목적으로 휴일근로를 집단적으로 거부하는 행위가 정당한 쟁의행위에 해당되는지[노사관계법제팀-1712] (0) | 2014.10.22 |
노동조합 설립준비 단체의 노동조합 명칭사용 가능여부[노사관계법제팀-1395] (0) | 2014.10.22 |
사업의 일부 부문을 분할하여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고 분할되는 부분의 근로자를 신설회사로 고용승계 한 경우 기존 노조와 체결한 단체협약의 승계여부[노사관계법제팀-1042] (0) | 2014.10.22 |
연맹의무금을 납부하지 아니한 단위노조에 대해 연맹파견 대의원 배정을 제한할 수 있는지[노사관계법제팀-664] (0) | 2014.10.22 |
산업별노조 산하 지부·분회 대표자를 직선제가 아닌 임명제로 선출할 수 있는지[노사관계법제팀-663] (0) | 2014.10.22 |
노동조합 산하 지방본부가 소속 조합원을 상대로 투쟁기금을 거출할 수 있는지[노사관계법제팀-557] (0) | 2014.10.22 |
사업장 이전·통합시 노동조합 존속 여부[노사관계법제팀-309] (0) | 201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