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 근로기준법 제36조에서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 바, 위 규정에서의 ‘지급사유가 발생한 금품’의 범위에 대하여 질의함.
<회 시>
❍ 근로기준법 제43조제2항 위반행위와 같은법 제36조 위반행위는 그 구성요건이 다른 별개의 범죄이고, 실체적 경합관계에 있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공소시효는 각각 진행된다고 보아야 함.(같은취지:법무부 범무심의관실-3484, 2004.8.12)
- 즉, 근로기준법 제43조제2항의 ‘임금 정기일지급의 원칙’은 임금지급기일의 간격이 지나치게 길고 지급일이 일정하지 않아 야기되는 근로자의 생활의 불안정을 방지하려는 것으로 ‘임금의 정기지급일 미지급 행위’를 처벌의 대상으로 하고,
- 같은법 제36조는 근로관계 종료시 당연히 발생하는 금품지급·반환의무를 기일내 이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관계 종료에 따른 근로자의 생활안정을 도모하려는 것으로 ‘근로관계 종료시 금품 미청산 행위’를 처벌의 대상으로 하는 것임.
- 따라서 제36조 위반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시 소멸시효가 완성되지 아니한 임금채권이 존재하고, 그 임금채권이 사망 또는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고 사료됨.
【임금근로시간정책팀-381, 2008.02.13】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임금, 보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공기업 직원에 대해 지급하고 있는 성과급의 평균임금 산입 여부【근로조건지도과-206】 (0) | 2013.12.13 |
---|---|
진료포상비, 직무활동비, 자가운전 차량유지비가 임금에 해당하는지【근로조건지도과-205】 (0) | 2013.12.13 |
기 지급한 시간외수당을 임금에서 공제한 것이 임금전액지급의 원칙에 위반되는지【근로조건지도과-155】 (0) | 2013.12.13 |
하수급인의 근로자들이 직상수급인에 대하여 청구할 수 있는 임금은 해당 건설공사에서 발생한 임금으로 한정된다【임금근로시간정책팀-508】 (0) | 2013.12.13 |
매달 지급되는 식대 및 유류대금이 근로기준법상 임금에 해당되는지【임금근로시간정책팀-261】 (0) | 2013.12.13 |
감급제재 규정의 적용 및 1회의 감급사유에 대한 감급액의 적용방법【근로기준팀-462】 (0) | 2013.12.13 |
직장폐쇄가 정당하지 않은 경우 임금지급 범위【임금근로시간정책팀-208】 (0) | 2013.12.13 |
정부산하기관의 퇴직근로자가 정부산하기관 평가에 따라 지급하는 인센티브 성과급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임금근로시간정책팀-83】 (0) | 201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