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2012년 1월 31일 이전에 수립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함)에 포함(해당 기본계획에서 정비구역 지정 예정일을 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전제함.)된 정비예정구역에 대해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재정비촉진지구의 지정 및 재정비촉진계획의 결정·고시가 되었으나, 2012년 2월 1일 법률 제11293호로 일부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구 도시정비법”이라 함)의 시행일 이후에 재정비촉진지구에서 해제된 경우, 구 도시정비법 부칙 제12조에 따른 정비예정구역 해제 신청의 기산일이 적용되는지?
[질의 배경]
서울특별시 종로구에서는 위 질의요지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회신 내용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이 사안의 경우 구 도시정비법 부칙 제12조에 따른 정비예정구역 해제 신청의 기산일이 적용됩니다.
<이 유>
구 도시정비법 제4조의3제1항제1호에서는 시장·군수(시장·군수 또는 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하며, 이하 같음.)는 정비예정구역에 대해 기본계획에서 정한 정비구역 지정 예정일부터 3년이 되는 날까지 정비구역 지정을 신청하지 않는 경우 시·도지사(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를 말하며, 이하 같음.) 또는 대도시의 시장에게 그 정비예정구역의 해제를 요청해야 한다고 규정하여 사업 단계별로 일정기간 동안 사업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 정비예정구역 또는 정비구역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같은 법 부칙 제12조에서는 같은 법 시행 당시 기본계획이 수립된 경우에는 제4조의3제1항제1호의 개정규정에 따른 “정비구역 지정 예정일”을 “이 법 시행일”로 보도록 규정하여, 정비예정구역 해제 신청 기산일에 관한 경과규정의 적용 대상을 2012년 2월 1일 당시 기본계획이 수립된 경우로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구 도시정비법 제4조의3을 신설하여 정비예정구역 등의 해제 절차를 규정하면서 같은 법 부칙 제12조에서는 같은 법 시행 당시 기본계획이 수립된 경우에 일률적으로 정비구역 지정 예정일을 같은 법 시행일로 확정하여 해제 신청의 기산일을 적용하도록 한 것은, 정비사업의 지연·중단에 따른 지역 주민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고 장기간 지연·중단된 정비사업의 출구전략을 마련하려는 취지입니다.(구 도시정비법의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참조)
그런데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정비법”이라 함)에서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도시정비법”이라 함)에 따른 기본계획을 고려하여 재정비촉진지구를 지정하고(제6조제1항), 재정비촉진계획이 결정·고시되었을 때에는 그 고시일에 도시정비법에 따른 기본계획의 수립 또는 변경 등이 있은 것으로 보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제13조제1항제1호), 재정비촉진지구 지정 및 재정비촉진계획 결정·고시가 있더라도 도시정비법상 기본계획은 그와 연계하여 여전히 유지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사안과 같이 기본계획에 포함된 정비예정구역에 대해 재정비촉진지구의 지정 및 재정비촉진계획의 결정·고시가 된 이후에 재정비촉진지구에서 해제된 경우 재정비촉진계획 결정의 효력이 상실되어 재정비촉진계획 결정·고시가 있기 전의 종전 기본계획만 남게 되므로, 해당 기본계획이 수립된 시점을 기준으로 구 도시정비법 부칙 제12조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사안의 경우에는 2012년 2월 1일 이후에 재정비촉진지구에서 해제되더라도 2012년 1월 31일 이전에 이미 기본계획이 수립된 경우임이 분명하므로 구 도시정비법 부칙 제12조에 따라 정비예정구역 해제 신청의 기산일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합니다.
【법제처 20-0509, 2020.12.16.】
'주택, 부동산 > 건설, 건축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훼손지 정비사업 구역에 포함되는 흩어진 훼손지의 범위 [법제처 20-0554] (0) | 2021.01.01 |
---|---|
2018.1.25. 이후 분양신고를 마친 건축물이 소재한 지역이 이후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경우 전매행위 제한이 적용되는지 여부 [법제처 20-0487] (0) | 2021.01.01 |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장애물 없는 생활인증을 받아야 하는 대상의 범위 [법제처 20-0574] (0) | 2021.01.01 |
산지전용허가가 의제되는 주된 인허가 신청 시 산지전용허가에 적용되는 허가기준으로서의 접도(接道)요건 충족 여부 [법제처 20-0543] (0) | 2020.12.23 |
기존의 건축물에 대한 건축 기준의 특례규정의 의미 [법제처 20-0535] (0) | 2020.12.07 |
지방자치단체 청사의 입지 및 건축 방법에 대한 결정이 주민투표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20-0537] (0) | 2020.12.04 |
바닥면적 산정 시 산입되지 않는 공동주택 필로티의 범위 [법제처 20-0536] (0) | 2020.12.04 |
건설산업기본법 제9조제3항에 따른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의 의미 [법제처 20-0640] (0) | 2020.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