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경미한 사고발생 후 통원치료-정상근무-휴업요양-증상악화 경과를 거쳐 요양 중 사망한 재해에 대해

- 사업주의 중대재해발생보고 시점을 사망사실을 안 시점으로 보아야 할지, 아니면 산재보험 유족급여 승인사실을 안 시점으로 보아야 할지

사망사실을 안 시점으로 보면 과태료 부과(3천만원), ‘산재보험 유족급여 승인사실을 안 시점으로 보면 과태료 부과 비대상

 

<회 신>

사업주는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된 경우에는 지체없이 발생개요 등을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함(산업안전보건법 제10조제2, 같은 법 시행규칙 제4조제3)

- 이때 업무상 질병 또는 산재 여부에 대한 다툼이 있어 산업재해인지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산업재해임이 확정되는 시점*을 재해발생일로 간주하여 법 위반 여부를 판단함(산업재해발생보고 업무지침, 2015.10.15.)

* 근로복지공단의 요양 등 결정시점을 산업재해 확정 시점으로 함

질의한 사망재해에 대해서는 산재 여부에 대한 다툼이 있었는지, 사업주가 사망이 산업재해인지를 알지 못한 것이 무리가 아니었다고 할 수 있는 사실상 무과실의 경우에 해당하는지 등을 면밀히 추가 조사한 후 상기 기준에 따라 처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됨.

 

[산재예방정책과-5209, 2019.10.25.]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산업안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급인 소속근로자가 작업 중 산안법 위반에 기인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경우, 수시감독 대상으로 선정하여야 하는지 [산재예방정책과-4066]  (0) 2020.10.27
○○주식회사(A지방관서 관할) 소속 근로자가 업무계약 차 △△빌딩(B지방관서 관할)에 들러 기계식 주차장을 이용하던 중 사망, 관할지방관서는 [산재예방정책과-2348]  (0) 2020.10.27
근로감독관들은 산업안전보건업무담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제4조제1호바목에 따라 시정조치를 1차 적용하여 시행한 사유 [안전보건정책과-1475]  (0) 2020.10.27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면서 5가지 업무를 각 A~E사에 전부도급을 주는 경우, 도급사업의 각 유형에 대하여 산재예방조치 해당 여부 [산재예방정책과-4232]  (0) 2020.10.27
사업주가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인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의 판단 [산재예방정책과-5210]  (0) 2020.10.27
근로자가 늦게 사업주에게 사고보고를 하고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신청을 한 경우, 사업주에게 지연보고로 인한 과태료가 부과되는지 [산재예방정책과-1173]  (0) 2020.10.26
회사에 출근하였다 하더라도 재해근로자 본연의 업무가 아닌 다른 업무를 수행한 경우, 3일 이상의 휴업재해 여부 [산재예방정책과-2880]  (0) 2020.10.26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재해 은폐의 판단기준 [산재예방정책과-2847]  (0) 202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