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국민연금법64조제1항에 따른 분할연금을 받기 위한 요건인 혼인 기간(배우자의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의 혼인 기간으로서 별거, 가출 등의 사유로 인하여 실질적인 혼인관계가 존재하지 아니하였던 기간을 제외한 기간을 말하며, 이하 같음.)5년 이상인 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혼인 기간은 같은 법 제17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국민연금 가입기간 계산법을 적용하여 월 단위로 계산하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위 질의요지에 대해 보건복지부로부터 국민연금법17조제1항에 따른 국민연금 가입기간 계산법에 따라 월 단위로 혼인 기간을 계산해야 한다는 회신을 받자 이에 이견이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국민연금법64조제1항의 혼인 기간은 같은 법 제17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국민연금 가입기간 계산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월 단위로 계산하지 않습니다.

 

<이 유>

민법155조에서는 기간의 계산에 대해 법령 등에서 다르게 정한 바가 없으면 같은 법 제1편제6장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160조제1항에서는 기간을 주, 월 또는 연으로 정한 때에는 역()에 의하여 계산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민연금법에서 기간에 대해 규정하면서 그 계산 방법을 별도로 정하고 있지 않다면 민법에 따라 계산해야 합니다.

그런데 국민연금법17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서는 국민연금 가입기간의 계산과 관련하여 월 단위로 계산하도록 하면서 가입자의 자격을 취득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자격을 상실한 날의 전날이 속하는 달까지로 하도록 하여, 민법160조에 따른 기간 계산의 방법과 다르게 월 단위로 기간을 계산하도록 규정한 반면, 같은 법 제6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는 배우자였던 자의 노령연금을 분할한 일정한 금액의 연금(이하 분할연금이라 함)을 받을 수 있는 요건으로 혼인 기간이 5년 이상일 것이라고 규정하면서 혼인 기간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별도로 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달리 혼인 기간을 계산할 때에는 민법160조의 방법에 따라야 합니다.

또한 국민연금법6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 배우자의 가입기간 중의 혼인 기간이라고 규정한 것은 배우자가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는 기간 중의 혼인 기간을 의미하는 것이지 혼인 기간을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같이 월 단위로 계산하려는 취지로 볼 수 없고, 혼인 기간이 월 단위로 계산되는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반드시 연계되는 기간도 아니므로 혼인 기간을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같이 월 단위로 계산해야 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국민연금법 시행령45조의21항에서는 같은 법 제64조제1항에 따른 혼인 기간을 산정할 때 민법27조제1항에 따른 실종기간(1) 주민등록법20조제6항에 따라 거주불명으로 등록된 기간(2)을 제외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혼인 기간의 산정에서 제외되는 각각의 기간은 모두 민법160조에 따라 계산하는 기간이므로 제외되는 기간을 반영하여 혼인 기간을 산정하려면 제외되는 기간과 마찬가지로 민법160조에 따라 계산할 수밖에 없으며, 국민연금법 시행규칙별지 제15호의2서식(혼인 기간·연금 분할 비율 신고서)혼인 유지기간란에서는 연도··일을 모두 적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민법160조에 따라 혼인 기간을 계산할 것을 전제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국민연금법64조제1항의 혼인 기간을 같은 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월 단위로 계산할 경우 실제 혼인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던 기간을 혼인 기간에 산입하게 되는데, 이는 실질적인 혼인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던 기간을 혼인 기간에서 제외하도록 한 헌법재판소 결정(헌법재판소 2016.12.29. 선고 2015헌바182 결정례 참조)의 취지에 반하게 된다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법제처 20-0116, 2020.06.11.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4대 사회보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불한 연차휴가는 법정근무시간 포함되지 않고, 월 근무시간 미충족을 이유로 한 장기요양급여비용 환수 처분은 정당하다 [서울행법 2019구합76290]  (0) 2020.07.19
국민건강보험법, 의료급여법의 ‘속임수나 그 밖의 부당한 방법’으로 급여비용을 받은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요양급여비용환수처분취소 등 사건] [대법 2020두31668]  (0) 2020.07.17
이른바 ‘사무장병원’의 실질개설자(사무장)에 대하여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부당이득으로 징수하는 처분을 한 사건 [대법 2018두44838]  (0) 2020.07.17
국민건강보험법상 요양급여비용 부당이득징수처분의 양정(量定) 단계에서 ‘속임수’와 ‘그 밖의 부당한 방법’의 의미 [대법 2019두52980]  (0) 2020.07.07
생활협동조합의 명의를 빌려 의료기관을 개설한 자에 대하여 국민건강보험법 제57조제2항제1호에 의하여 요양급여비용 징수 처분을 한 사건 [대법 2018두37250]  (0) 2020.06.19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41조제1항제5호 단서의 의미 [법제처 20-0046]  (0) 2020.05.23
고용촉진지원금 지급제한, 반환명령 및 추가징수결정등취소 사건 [전주지법 2019구합2937]  (0) 2020.05.20
보험업법에 따른 손해사정사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관한 공인노무사의 직무를 업으로 할 수 있는지 [법제처 20-0074]  (0) 2020.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