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건축법 시행령3조의29호에 따라 대수선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건축법52조제2항에 따른 마감재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만 포함되는지, 아니면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가 아닌 마감재료도 포함되는지?

[질의 배경]

국토교통부에서는 위 질의요지에 대해 내부 이견이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건축법 시행령3조의29호에 따라 대수선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건축법52조제2항에 따른 마감재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만 포함됩니다.

 

<이 유>

건축법2조제1항제9호에서는 건축물의 기둥, , 내력벽, 주계단 등의 구조나 외부 형태를 수선변경하거나 증설하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대수선으로 정의하고 있고, 같은 규정의 위임에 따른 건축법 시행령3조의29호에서는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건축법52조제2항에 따른 마감재료를 말함)를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벽면적 30제곱미터 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으로서 증축개축 또는 재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대수선의 범위에 포함하고 있는데, 건축법52조제2항 전단에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는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로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선 건축법 시행령3조의29호의 괄호규정은 건축물또는 외벽이라는 단어의 뒤가 아니라 마감재료뒤에 위치하고 있고, 해당 괄호규정 안에서도 ~~에 따른 마감재료라고 명시하고 있는바, 이는 해당 괄호규정의 내용을 건축물또는 외벽에 대해 적용하려는 것이 아니라 마감재료에 대해 적용하려는 것이므로 해당 규정에 따른 대수선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가 건축법52조제2항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여야 한다고 보는 것이 문언에 부합하는 해석입니다.

그리고 건축법 시행령3조의29호는 불연·준불연 또는 난연성 자재의 사용이 의무화된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료를 임의로 해체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화재 시 불길이 급속히 확산되는 등 피난 안전에 문제가 있으므로 이러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료를 증설 또는 해체하는 등의 행위를 대수선의 범위에 포함하여 규율하려는 취지(2014.11.28. 대통령령 제25786호로 일부개정되어 2014.11.29. 시행된 건축법 시행령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참조)에서 건축법 시행령20141128일 대통령령 제25786호로 개정되면서 신설된 규정이고, 대수선에 해당할 경우 건축법11조 및 제14조에 따라 미리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해야 대수선을 할 수 있고, 같은 법 제23조제1항에 따라 일정한 경우를 제외하면 건축사만이 대수선을 위한 설계를 할 수 있으며, 같은 법 제48조제2항에 따라 건축물 구조의 안전을 확인해야 하는 등 건축법령상 의무와 부담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건축법 시행령61조제2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고 구 건축법 시행령(2019.8.6. 대통령령 제30030호로 개정되어 2019.11.7. 시행된 것) 부칙 제5조의 적용대상이 아니어서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에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를 사용할 의무가 없는 건축물에 해당하여 외벽에 불연·준불연 또는 난연성 자재가 아닌 일반재료가 사용된 건축물까지 그 외벽 마감재료를 해체 또는 변경하는 등의 행위를 대수선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대해석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일반재료가 사용된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료를 증설 또는 해체하는 등의 행위는 건축물의 구조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수선 범위를 판단할 때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가 아닌 마감재료까지 포함된다고 볼 경우, 강풍이나 노후화 등으로 인해 탈락된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료를 재부착하거나 수선하는 등의 불가피한 행위까지도 대수선으로 보아 건축법령상 의무를 부과하게 되어 건축안전을 담보하려는 건축법령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과도한 규제에 해당한다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법제처 20-0100, 2020.05.04.

 

반응형

'주택, 부동산 > 건설, 건축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급계약금액이 변경된 경우 ‘기성부분의 대가상당액’을 누적기성금액으로 보아야 하는지, 당해 회차의 기성금액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 [대법 2016다218379]  (0) 2020.05.24
건축설비에 해당하는 정보통신설비 설치 공사의 감리를 정보통신 전문용역업자에게 발주할 수 있는지 [법제처 20-0130]  (0) 2020.05.22
하나의 대지에 여러 동의 건축물을 증축하려는 경우 「건축법」 제14조제1항제1호에 따른 건축신고 기준인 “바닥면적의 합계”의 의미 [법제처 20-0047]  (0) 2020.05.20
기존의 건축물에 대한 건축기준의 특례가 적용되는 범위 [법제처 20-0156]  (0) 2020.05.19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 지정 요건인 토지의 소유 여부 판단 시 담보신탁한 토지가 소유한 토지에 포함되는지 [법제처 20-0008]  (0) 2020.05.15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직통계단 외에 추가로 설치하는 직통계단을 피난계단 등으로 설치해야 하는지 [법제처 20-0035]  (0) 2020.05.13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26조제1항제4호에 따른 공급가격의 범위등 [법제처 20-0202]  (0) 2020.05.12
건축법 제14조제1항제1호의 규모를 초과하는 증축이지만 같은 항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 건축신고 대상인지 [법제처 20-0121]  (0) 2020.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