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운전기사가 택시회사의 주식을 보유하면서 택시를 운전하는 주주기사인 경우 연차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 근로자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주주기사들은 주주로서의 지위 뿐만 아니라 근로자인 운전기사로서의 지위를 별개로 가지므로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다고 판결한 사례.

 

울산지방법원 2020.1.29. 선고 2019가소205469 판결

 

울산지방법원 판결

사 건 / 2019가소205469 임금

원고(선정당사자) / A

피 고 / ○○ 주식회사

변론종결 / 2019.12.18.

판결선고 / 2020.01.29.

 

<주 문>

1. 피고는 원고(선정당사자)에게 금 388,440원 및 이에 대한 2018.2.3.부터, 선정자 C에게 금 1,689,936원 및 이에 대한 2018.8.14.부터, 선정자 D에게 금 767,901원 및 이에 대한 2016.9.14.부터, 선정자 E에게 금 1,324,842원 및 이에 대한 2017.8.5.부터, 선정자 F에게 금 1,352,013원 및 이에 대한 2018.1.29.부터, 선정자 G에게 금 1,275,525원 및 이에 대한 2018.1.29.부터, 선정자 H에게 금 743,130원 및 이에 대한 2016.8.2.부터, 선정자 I에게 금 891,756원 및 이에 대한 2016.6.15.부터, 선정자 J에게 금 1,428,501원 및 이에 대한 2018.2.6.부터, 선정자 K에게 금 1,352,013원 및 이에 대한 2018.6.1.부터, 선정자 L에게 금 1,173,216원 및 이에 대한 2018.6.26.부터, 선정자 M에게 금 396,336원 및 이에 대한 2016.11.5.부터, 선정자 N에게 금 206,568원 및 이에 대한 2017.11.14.부터, 선정자 O에게 금 860,064원 및 이에 대한 2017.2.15.부터, 선정자 P에게 금 1,172,016원 및 이에 대한 2017.7.4.부터, 선정자 Q에게 금 173,397원 및 이에 대한 2016.5.13.부터 각 다 갚는 날까지 연 20%의 비율에 의한 금원을 각 지급하라.

2.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3. 1항은 가집행 할 수 있다.

 

<청구취지>

주문과 같다.

 

<이 유>

1. 피고는, 운전기사가 피고의 주식을 보유하면서 택시를 운전하는 소위 주주기사들로 피고회사의 조직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재직 시 주주기사에 해당하는 원고(선정당사자) 및 선정자들(이하 이들을 합쳐 원고 등이라 한다)은 연차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고,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원고 등과 피고 사이에 연차수당을 지급 받지 않기로 하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 합의가 있었으므로 원고 등의 청구에 응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원고 등이 과거 택시기사로 종사하는 동안 피고회사 주주의 지위를 겸하고 있었다 하더라도 주식회사인 피고의 주주라는 지위와, 피고의 방침과 지휘 아래 종업원으로서 택시를 운행하는 기사의 지위는 어디까지나 별개로 보아야 할 것이다(‘주주기사의 특성상 연차수당을 지급하려면 주주들이 돈을 회사에 더 납입하는 조치가 필요하고, 그 연차수당을 주주인 기사에게 지급하여 다시 돌아가는 구조라 하더라도, 주주에 따라 보유한 주식수가 다를 뿐만 아니라 개개의 기사가 근무하는 형태나 연차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 요건의 충족 여부 등이 각자 다를 수밖에 없는 이상, 주주와 기사의 지위 상 이해관계가 반드시 일치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원고 등과 피고 사이에 연차수당을 지급받지 않기로 하는 합의가 있었다고 볼 만한 증거가 없다. 피고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피고는 나아가 연차수당을 지급받으려면 매년 80% 이상 출근하여야 하는데도 이를 알아볼 자료가 없다고 주장하나, 제출된 증거에 의하면 원고 등이 기사로 근무하는 동안 위 요건을 충족한 사실이 넉넉히 인정된다. 위 주장도 이유 없다.

 

2. 그러므로 원고 등의 이 사건 청구는 이유 있어 이를 인용한다.

 

판사 구남수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임금, 보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년 배정받은 복지포인트는 소정근로의 대가로서의 통상임금에 해당하지 않는다 [대법 2017다247602]  (0) 2020.05.23
과장 직위에 해당하던 5급 일반직공무원이 공로연수로 보직 변경되어 과장 직위에 해당하지 않게 된 경우 관리업무수당 지급대상 여부 [법제처 20-0056]  (0) 2020.05.11
정기상여금에 관하여 지급일 기타 특정 시점에 재직 중인 근로자에게만 지급하는 조건이 있는지에 관한 해석 기준 [대법 2018다303417]  (0) 2020.05.11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CCTV 수당을 통화가 아닌 회사 발행의 구내매점용 물품구입권 형태로 지급한 경우 통상임금성 여부 [대법 2016다7647]  (0) 2020.05.08
대표이사에게 지급된 특별성과급이 상법 제388조의 이사의 보수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대주주의 승인이나 결재가 주주총회의 결의를 갈음할 수 있는지 [대법 2018다290436]  (0) 2020.04.23
회사와 용역위탁계약을 맺고 일한 정수기 수리기사들에게도 근로기준법상 법정수당인 휴일근로수당과 주휴수당, 연차휴가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울산지법 2018가합24567]  (0) 2020.04.22
파산선고 결정 이후의 임금체불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형사책임을 물을 수 없다 [대법 2019도10818]  (0) 2020.03.24
근로자가 의무적으로 개인연금에 가입하면 회사가 개인연금료 중 절반을 지원해 주기로 한 경우 개인연금 회사부담분은 통상임금에 해당한다 [대전지법 천안지원 2016가합102095]  (0) 202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