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원청업체 사업장 내에서 크레인이 충돌하여 하도급 근로자가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중대재해가 발생하였고, 지방노동청은 이 사건 사업장에서의 작업을 중지할 것을 명하였다. 원청업체에 내려진 작업중지명령에 따라 하청업체가 휴업하게 되었고, 원청업체로부터 휴업수당 목적의 돈 일부를 지급받아 일부 근로자들에게 휴업수당을 지급하였으나, 일부근로자에게는 휴업수당을 지급하지 않았는바, 이는 불가항력이라고 주장할 수 없는 사유로 휴업한 것으로 나머지 근로자들에게도 휴업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대법원 제32019.09.10. 선고 20199604 판결 [근로기준법위반]

피고인 / ○○

상고인 / 피고인

원심판결 / 창원지방법원 2019.6.19. 선고 2018308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와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피고인은 주식회사 △△중공업(이하 △△중공업이라고 한다)으로부터 거제조선소 사업장(이하 이 사건 사업장이라고 한다)에서의 선체도장 공사를 도급받아 선박임가공업을 영위하는 ○○기업의 사업주로서 상시근로자 120명의 사용자이다.

2017.5.1. 이 사건 사업장 내에서 크레인이 충돌하여 하도급 근로자가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중대재해가 발생하였고, 부산지방고용노동청 통영지청장은 △△중공업에 대하여 이 사건 사업장에서의 작업을 중지할 것을 명하였다.

피고인은 위 작업중지명령에 따라 이 사건 사업장에서 △△중공업으로부터 도급받은 작업을 일시 중단하게 되었고, 피고인이 사용하는 근로자들에 대하여 2017.5.2.부터 같은 해 5.31.까지 휴업을 실시하였다.

피고인은 △△중공업으로부터 근로자 휴업수당 목적의 돈 일부를 지급받아 일부 근로자들에게 휴업수당을 지급하였으나, 이 사건 공소사실 기재와 같이 근로자 50명에게는 휴업기간 동안의 휴업수당 합계 97,479,749원을 임금정기지급일인 2017.6.17.에 지급하지 않았다.

위 사실관계를 관련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의 불가항력이라고 주장할 수 없는 사유로 휴업하여 근로자들에게 휴업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것에 근로기준법 제46조제1항에서의 사용자의 귀책사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헌법상 자기책임의 원칙을 위반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김재형 민유숙(주심) 이동원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임금, 보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비보조금, 공정지원금, 기능수당은통상임금에 포함되나, 체력단련비, 야간교대수당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 [광주고법 2013나10139]  (0) 2019.11.26
현업공무원 등에 해당하는 지방공무원(소방공무원)의 초과근무수당 청구권이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의 편성지침에 의하여 편성한 예산의 범위 안에서만 인정되는지(소극) [대법 2014두3020·3037]  (0) 2019.11.22
체력단련비, 야간교대수당은 통상임금에 해당하지 않고, 교통비 보조금, 공정지원금, 기능수당은 통상임금에 해당한다 [광주고법 2013나10115]  (0) 2019.11.21
최저임금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의 비교대상임금 총액이 최저임금액보다 적은 경우, 통상임금 산정 [부산고법 2018나18]  (0) 2019.10.30
선택적 복지제도에 기초한 복리후생포인트는 근로기준법에서 말하는 임금이라 할 수 없다 [대법 2015다30886·30893]  (0) 2019.10.23
고용보험법상 구직급여의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을 산정할 때에는 택시운전근로자들의 초과운송수입금 역시 이에 포함되어야 한다 [대법 2016두42289]  (0) 2019.10.21
짝수월 상여금 및 명절상여금과 성과금, 보전수당은 고정적 임금으로 통상임금에 해당한다 [울산지법 2015가합23143]  (0) 2019.10.11
정액사납금제 하에서 고정급이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것을 회피할 의도로 소정근로시간을 단축한 임금협정은 노사가 합의했다 하더라도 무효 [대법 2016다207638·207645]  (0) 2019.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