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 「근로기준법17(근로조건의 명시)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17(근로조건의 서면 명시)의 관계 및 각각의 벌칙 적용 가능 여부

 

<질 의>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서면명시와 관련하여 근로기준법기간제법의 적용 여부는

- 근로기준법기간제법은 일반법과 특별법의 관계에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두 법률이 모두 적용되고,

* 일반적으로 특별법이 일반법에 우선하고 신법이 구법에 우선한다는 원칙은 동일한 형식의 성문법규인 법률이 상호 모순·저촉되는 경우에 적용(대법원 1989.9.12.선고 886856)

- 근로기준법위반에 따른 형사처벌과 기간제법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처분은 그 성질이나 목적을 달리한다고 볼 수 있는 점,

- 기간제법입법취지와 목적 등을 감안할 때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근로조건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 등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두 법률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근로기준정책과-5099, 2017.08.18.]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보건관리규정이 취업규칙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 [근로개선정책과-4722]  (0) 2019.04.12
임금피크제가 도입과 관련하여, 변경절차에 하자가 있고 내용상 현저히 불합리한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은 무효 [서울중앙지법 2015가합561002, 2017가합520173·555742]  (0) 2019.04.08
계약갱신 의무나 요건, 절차에 관한 규정이 없고, 필요한 경우 재계약 가능 규정만 있는 경우, 갱신기대권을 인정할 수 없다 [서울행법 2012구합10352]  (0) 2019.03.18
제제에 관한 사항 내지 복무규율을 내용으로 하는 운영규정은 취업규칙에 해당하고, 근로자에게 불리한 운영규정을 만들면서도 사전 동의를 구하지 않아 무효 [서울남부지법 2018카합20284]  (0) 2019.02.25
무기업무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 위한 정관 및 직제규정 개정은 유효하다 [서울행법 2018구합58615]  (0) 2019.01.21
분사한 위탁업체로 전적하면서 맺은 신분 및 고용보장 약정에는 위탁계약 종료도 포함된다 [서울중앙지법 2016가합564480]  (0) 2018.12.31
임금피크제 적용으로 정년이 연장되었음에도 근무태도가 불량하다는 사유로 정년퇴직 통보를 한 것은 부당해고[대전고법 2017누11631 / 대법 2018두38338]  (0) 2018.12.19
계약기간을 6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는 교수재임용 계약은 근로기준법 위반 아니다 [대구고법 2017나24763]  (0) 2018.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