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구 고용보험법 제116조제2항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같은 법 제37조의 실업급여’, 같은 법 제70조의 육아휴직 급여’, 같은 법 제75조의 출산전후휴가 급여 등에 해당하는 급여를 받은 사람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 고용보험법 제21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9조에 근거를 두고 있는 고용유지지원금을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받은 사람에 대해서는, 형법 제347조의 사기죄 또는 구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2017.1.4. 법률 제1452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40조의 위반죄가 성립할 여지가 있음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구 고용보험법 제116조제2항을 적용하여 처벌할 수는 없다.

 

대법원 2018.06.28. 선고 20182429 판결 [고용보험법위반]

피고인 / 피고인

상고인 / 검사

원심판결 / 인천지법 2018.1.19. 선고 201749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구 고용보험법(2015.1.20. 법률 제130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116조제2항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실업급여육아휴직 급여 및 출산전후휴가 급여등을 받은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구 고용보험법의 규정 체계, 위 처벌규정의 문언, 구 고용보험법 제75조는 출산전후휴가 또는 유산사산휴가를 받고 일정한 요건을 갖춘 피보험자에게 지급하는 급여를 이후의 규정에서 출산전후휴가 급여 등으로 부르기로 정의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구 고용보험법 제116조제2항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같은 법 제37조의 실업급여’, 같은 법 제70조의 육아휴직 급여’, 같은 법 제75조의 출산전후휴가 급여 등에 해당하는 급여를 받은 사람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 고용보험법 제21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9조에 근거를 두고 있는 이 사건 고용유지지원금을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받은 사람에 대해서는, 형법 제347조의 사기죄 또는 구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2017.1.4. 법률 제1452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40조의 위반죄가 성립할 여지가 있음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구 고용보험법 제116조제2항을 적용하여 처벌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공소사실이 범죄로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보아, 1심판결의 유죄 부분을 파기하여 이를 무죄로 판단하고, 1심판결의 무죄 부분에 대한 검사의 항소를 기각한 원심의 결론은 정당하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구 고용보험법 제116조제2항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채증법칙을 위반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정화(재판장) 김신 박상옥(주심) 이기택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4대 사회보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산되지 않은 2개 이상의 직역재직기간을 국민연금가입기간과 연계할 수 있는지 여부(「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계에 관한 법률」 제8조제1항 등 관련) [법제처 18-0001]  (0) 2018.11.23
임기제공무원의 고용보험 직접 가입 신청의 의미(「고용보험법 시행령」 제3조의2제2항 등 관련) [법제처 18-0035]  (0) 2018.10.30
승무 중 직무 외의 원인으로 인한 부상 또는 질병으로 요양하는 중에 사망한 경우 지급되는 유족급여의 지급 대상은 요양개시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사망한 경우로 제한된다 [대법 2018두43774]  (0) 2018.10.19
실업급여에 관한 고용보험법의 적용에 있어 ‘65세 이후에 새로이 고용된 자’를 그 적용대상에서 배제한 고용보험법 제10조제1호가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헌재 2017헌마238]  (0) 2018.10.16
임금피크제가 개별 근로자 중 만 55세가 되기 이전에 임금이 감액되는 근로자를 포함한다하여 이를 일률적으로 지원금 지원대상이 아니라고 볼 수는 없다 [서울행법 2017구합69090]  (0) 2018.10.12
‘육아휴직 급여는 육아휴직 종료 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하여야 한다’는 고용보험법 제70조제2항 본문의 규정은 강행규정이 아닌 훈시규정 [서울행법 2018구단52757]  (0) 2018.09.18
퇴직급여 및 퇴직수당 감액 대상을 규정한 공무원연금법 제64조제1항제3호 ‘금품 및 향응 수수’에서 ‘수수’가 금품 등을 받은 경우만을 의미하는지, 준 경우도 포함하는지 [대법 2017두46127]  (0) 2018.07.11
군인연금법 제정 이전 퇴직한 군인의 재직경력이 구 공무원연금법 시행 당시 같은 법 제3조제3항에 따른 재직기간 합산 대상인지 여부 [법제처 16-0659]  (0) 2018.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