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42조에서는 장애인복지법59조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의 설치·운영기준은 별표 5와 같다고 규정하고 있고,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에서는 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별 사업 및 설치·운영기준을 정하면서, . 공통기준 제5호 시설의 장의 자격기준란 (3)에서는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 중 하나로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사 자격증(이하 사회복지사 자격증이라 함)을 가진 사람으로서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을 규정하고 있는바,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 공통기준 제5호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 중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의 경력만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기 전의 경력도 포함하는지?

[질의 배경]

전라북도 전주시가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 장애인복지시설 공통기준 제5호에 따른 관리 및 운영요원의 자격기준 중 시설의 장의 자격기준란 (3)에서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이후의 경력만을 의미하는지에 대하여 보건복지부에 질의를 하였고, 보건복지부로부터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 후의 경력만을 의미한다는 회신을 받자 전주시가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한 사안임.

 

<회 답>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 공통기준 제5호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 중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의 경력만을 의미합니다.

 

<이 유>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42조에서는 장애인복지법59조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의 설치·운영기준은 별표 5와 같다고 규정하고 있고,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에서는 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별 사업 및 설치·운영기준을 정하면서, . 공통기준 제5호 시설의 장의 자격기준란 (3)에서는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 중 하나로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을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 공통기준 제5호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 중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의 경력만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기 전의 경력도 포함하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 공통기준 제5호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란 (3)에서 사용하고 있는 로서는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조사이므로(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참조), 이를 달리 해석하여야 할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은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할 당시 이미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상태의 사람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그 문언의 통상적인 의미에 맞는 해석이라고 할 것입니다(법제처 2015.9.30. 회신 15-0533 해석례 등 참조).

그리고,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을 자격기준으로 요구하는 직종이 장애인복지시설의 관리 및 운영요원 중 시설의 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은 아무런 자격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의 경력이 아니라 사회복지사업 관련 교육훈련이나 교과목을 이수하고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상태에서 사회복지사업에 종사한 경력을 뜻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그러한 해석이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권리보장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시하고, 장애발생 예방과 장애인의 의료·교육·직업재활·생활환경개선 등에 관한 사업을 포함한 장애인복지대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며, 장애인의 자립생활·보호 및 수당지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장애인의 생활안정에 기여하는 등 장애인의 복지와 사회활동 참여증진을 통하여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장애인복지법의 입법 목적에도 보다 부합하는 것이라고 할 것입니다.

한편,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 공통기준 제5호 시설훈련교사의 자격기준란 (3)에서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 직종과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한 후 장애인복지사업에서 2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 시설훈련교사의 자격기준을 규정하고 있는 것과 달리, 같은 별표의 . 공통기준 제5호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란 (3)에서는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과 사회복지사업에 종사한 경력의 시간적 선후관계에 대해 명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전의 경력도 포함된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과 시설훈련교사의 자격기준 규정 방식이 다른 것은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 공통기준 제5호 시설훈련교사의 자격기준란이 19991231일 보건복지부령 제141호로 전부개정되어 200011일 시행된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에 신설된 것으로서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을 규정한 것과 입법 시기가 달라지면서 발생한 표현상의 차이로 보아야 하고, 오히려 신설된 시설훈련교사의 자격기준에서는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 사회복지사업에 종사한 경력이 필요함을 명확히 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시설훈련교사에 비해 더 큰 역할과 책임을 갖는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에 대하여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과 사회복지사업에 종사한 경력의 관계를 시설훈련교사의 경우와 달리 보기는 어려울 것이므로 그와 같은 견해는 타당하지 않다고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 공통기준 제5호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 중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의 경력만을 의미한다고 할 것입니다.

 

법령정비 권고의견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별표 5. 공통기준 제5호 장애인복지시설의 장의 자격기준란 (3)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등으로 개정하여 자격기준과 경력기준의 선후관계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법제처 17-0046, 2017.03.06.

 

반응형

'기타 > 기타 행정해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2 제7호에 따른 “해당 하천의 경계로부터 100미터 이내인 집수구역”의 100미터의 의미 [법제처 17-0005]  (0) 2018.05.29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지원기관 지정을 취소할 수 있는지 여부(「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제18조 등 관련)[법제처 17-0049]  (0) 2018.05.29
군인복지기본법 제10조제3항을 근거로 국방·군사시설을 다른 지역으로 이전함으로써 용도폐지된 잡종재산(일반재산)을 수의계약으로 매각할 수 있는지 [법제처 17-0022]  (0) 2018.05.28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직무대리 범위(「지방자치법」 제111조제3항 등 관련) [법제처 17-0081]  (0) 2018.05.18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설립된 지방공사나 지방공단이 「청소년활동 진흥법」 제11조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 설치한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을 대행할 수 있는지 [법제처 17-0034]  (0) 2018.05.17
해병대를 육·해·공군에 속하지 않는 독립된 군 조직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국군조직법」 제2조제1항 등 관련) [법제처 17-0060]  (0) 2018.05.17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7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협의”의 의미 [법제처 16-0602]  (0) 2018.05.15
산림사업보조금으로 숲가꾸기를 실시한 산림에서 산지의 형질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벌채를 하려는 경우 보조금을 반환해야 하는지 [법제처 17-0032]  (0) 2018.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