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2012523일 법률 제11449호로 개정되어 20121124일 시행된 자동차관리법(이하 구 자동차관리법이라 함) 53조제1항에서는 자동차관리사업(자동차매매업·자동차정비업 및 자동차해체재활용업을 말함. 이하 같음)을 하려는 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3항에서는 자동차관리사업 등록의 기준 및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 또는 도(특별자치도를 포함함. 이하 같음)의 조례로 정하되(본문), 인구 50만 이상의 시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해당 시의 조례로 정할 수 있다(단서)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121123일 국토해양부령 제536호로 개정되어 20121124일 시행된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이하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이라 함) 111조의2에서는 구 자동차관리법 제53조제3항 본문 및 단서에 따른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기준은 별표 212와 같다고 규정하고 있고,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212 1호가목에서는 자동차매매업의 전시시설 연면적 기준을 원칙적으로 660제곱미터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규칙 부칙 제3조 본문에서는 같은 규칙 시행 전에 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한 경우에는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11조의2 및 별표 212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자동차매매단지 내 사업장에서 20121124일 전에 당시 시행되던 자동차관리법령에 따라 자동차매매업의 등록을 한 후 폐업을 하였다가 해당 사업장에서 20121124일 이후 다시 자동차매매업의 등록을 하려는 경우가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부칙 제3조 본문의 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한 경우에 해당하는지?

[질의 배경]

서울특별시 강남구 소재 OO자동차매매단지는 200111월경 준공 및 분양완료[규모: 70개 공동사업장, 각 업소당 전시시설 연면적 410(당시 자동차관리법령의 위임에 따른 서울특별시 자동차관리사업 등록기준 등에 관한 조례에서는 자동차매매업 등록기준 중 전시시설 연면적 기준을 330이상으로 정하고 있었음)]된 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음.

이후 위 조례에 따른 전시시설 연면적 기준이 2002710일 개정으로 660이상으로 강화되었으나, 부칙에 기존 매매업자 등에 관한 경과조치[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동차매매업의 등록(폐업 후 다시 등록하는 것을 포함함)을 완료한 자 등의 경우에는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를 두었기 때문에, 최근까지 강남구는 폐업 후 다시 등록하는 자동차매매업에 대해 종전의 규정에 따른 전시시설 연면적 기준을 적용해 왔음.

그런데 강남구는 201610월경 민원인으로부터 위 OO자동차매매단지 내의 폐업 중인 사업장에서 영업을 재개하기 위한 자동차매매업 등록 신청을 받고 그 등록 여부를 검토하던 중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부칙 제3조 본문에서는, 위 조례 부칙과 달리, 폐업 후 다시 등록하는 경우의 포함 여부에 관하여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그 포함 여부를 명확히 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질의를 거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자동차매매단지 내 사업장에서 20121124일 전에 당시 시행되던 자동차관리법령에 따라 자동차매매업의 등록을 한 후 폐업을 하였다가 해당 사업장에서 20121124일 이후 다시 자동차매매업의 등록을 하려는 경우는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부칙 제3조 본문의 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 유>

구 자동차관리법 제2조제6호에서는 자동차관리사업이란 자동차매매업·자동차정비업 및 자동차해체재활용업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7호에서는 자동차매매업이란 자동차[신조차(新造車)와 이륜자동차는 제외함]의 매매 또는 매매 알선 및 그 등록 신청의 대행을 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제53조제1항에서는 자동차관리사업을 하려는 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3항에서는 자동차관리사업 등록의 기준 및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 또는 도의 조례로 정하되(본문), 인구 50만 이상의 시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해당 시의 조례로 정할 수 있다(단서)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11조의2에서는 구 자동차관리법 제53조제3항 본문 및 단서에 따른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기준은 별표 212와 같다고 규정하고 있고,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212 1호가목에서는 자동차매매업의 전시시실 연면적 기준을 660제곱미터 이상[다만, 매매업자 5명 이상이 같은 장소에서 공동으로 사업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매업자 1명에게 적용하는 면적기준(660제곱미터)30퍼센트 범위에서 완화할 수 있음]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규칙 부칙 제3조 본문에서는 같은 규칙 시행 전에 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한 경우에는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11조의2 및 별표 212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자동차매매단지 내 사업장에서 20121124일 전에 당시 시행되던 자동차관리법령에 따라 자동차매매업의 등록을 한 후 폐업을 하였다가 해당 사업장에서 20121124일 이후 다시 자동차매매업의 등록을 하려는 경우가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부칙 제3조 본문의 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한 경우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구 자동차관리법이 시행되기 전의 자동차관리법53조제3항에서는 자동차관리사업 등록의 기준 및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도의 조례로정한다고 규정하여 광역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자동차관리사업 등록의 기준 및 절차를 정하도록 하고 있었고, 그에 따라 각 광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조례로 자동차매매업의 전시시설 연면적 기준을 330제곱미터 이상 또는 660제곱미터 이상으로 정하는 등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기준을 다르게 정하고 있었는데, 그로 인해 자동차관리사업을 영위하려는 자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특히 도시에 밀집된 중고자동차 매매업의 경우 주변 주택 및 상가와 조화를 이루지 못해 많은 민원을 유발한다는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되자, 이를 해결하고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기준 등을 전국적 차원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해당 조항을 구 자동차관리법 제53조제3항과 같이 개정하여 자동차관리사업 등록의 기준 및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시·도의 조례로정하도록 규정하였습니다[의안번호 제1813437호 자동차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 국회 심사보고서 및 제304회 국회(임시회) 국토해양위원회 회의록 각 참조].

그리고, 구 자동차관리법 제53조제3항의 위임에 따라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11조의2 및 별표 212에서는 자동차매매업의 전시시설 연면적 기준을 660제곱미터 이상으로 규정하는 등 당시 광역 지방자치단체 조례의 내용보다 강화된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기준을 신설하면서, 같은 규칙의 부칙 제3조 본문에서는 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한 경우에는 제111조의2 및 별표 212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는 내용의 경과조치를 두었는바(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조문별 제·개정이유서 및 부칙검토보고서 각 참조), 이는 해당 개정규정의 시행 전부터 이미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하고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자들의 경우 개정규정에 따른 강화된 등록기준을 갖추지 않고도 계속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여 기득권을 보호해 주는 동시에, 해당 개정규정의 시행 이후 신규로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하려는 자의 경우 개정규정에 따른 등록기준을 갖추어 등록하도록 하여 점진적으로 개정규정의 적용범위를 확대해 나가려는 취지라고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부칙 제3조 본문의 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한 경우란 같은 규칙의 시행일인 20121124일 전에 당시 시행되던 자동차관리법령에 따라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하고 계속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자들만을 의미하고, 20121124일 전에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한 사실이 있는 자라고 하더라도 그 후 폐업을 하여 사업을 계속 유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그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또한, 구 자동차관리법 제55조제4항에서는 자동차관리사업자가 그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업하거나 폐업한 경우에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13조제3항에서는 자동차관리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업 또는 폐업하려는 자는 그 휴업 또는 폐업예정일 전까지 별지 제81호서식의 자동차관리사업 휴업·폐업신고서에 자동차관리사업 등록증을 첨부(폐업의 경우만 해당함)하여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자동차매매업의 등록을 한 자가 폐업신고를 하면 종전 등록의 효력은 소멸한다고 할 것인바, 이 사안에서 20121124일 전에 자동차매매업 등록을 하고 사업을 계속하던 중 해당 사업을 폐업하였다가 20121124일 이후 다시 자동차매매업 등록을 하려는 경우 그 등록은 폐업 전 등록과 상관없는 신규 등록으로서 종전 사업자의 기득권 보호와 무관한 경우라고 할 것이므로, 이 사안에 종전 사업자의 기득권 보호를 위한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부칙 제3조 본문에 따른 경과조치가 적용될 여지는 없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한편, 자동차매매단지에서는 임대용 매장의 임대차기간 만료로 인한 임차인 변경 또는 해당 매장의 수분양자 직영 매장으로의 전환 등의 사유로 종전 사업자 이름의 사업을 폐업하고 새로운 사업자 이름으로 다시 등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는 점, 자동차매매단지는 자동차매매업을 위한 사업장 전용으로 건축되고 운영되는 장소로서 해당 장소에서는 자동차매매업 외의 다른 사업을 영위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 등의 특수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자동차매매단지에서 폐업 후 재등록하려는 경우에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부칙 제3조 본문에 따른 경과조치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해석하여 개정규정에 따른 강화된 전시시설 연면적 기준을 갖출 것을 요구한다면, 자동차매매단지 내 사업장의 재임대 등이 심각하게 제한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부당하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동차매매단지는 물리적으로 구분되고 법적으로도 독립되어 존재하는 개별 자동차매매 사업장의 집합체에 불과할 뿐이므로,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부칙 제3조 본문에 따른 경과조치의 적용범위를 판단할 때, 자동차매매단지 내 사업장이라는 이유로 명문의 규정 없이 일반 사업장과는 다른 예외를 인정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고, 만약 자동차매매단지 내 사업장의 경우에는 폐업 후 재등록을 할 때 해당 경과조치가 적용된다고 해석한다면 20121124일 전에 자동차매매업 등록을 한 자동차매매단지에 대해서는 구 자동차관리법 제53조제3항과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111조의2 및 별표 212의 적용이 전부 배제되어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기준 등을 전국적 차원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려는 해당 법령의 입법 목적을 전혀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결과가 된다고 할 것이므로, 그와 같은 의견은 타당하지 않다고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자동차매매단지 내 사업장에서 20121124일 전에 당시 시행되던 자동차관리법령에 따라 자동차매매업의 등록을 한 후 폐업을 하였다가 해당 사업장에서 20121124일 이후 다시 자동차매매업의 등록을 하려는 경우는 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부칙 제3조 본문의 종전의 규정에 따라 자동차관리사업의 등록을 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7-0147, 2017.06.01.

 

반응형

'자동차, 도로교통 > 해운, 운송, 운수 등 관련 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택시운송사업자는 시・도지사에게 외부장치용 등록번호판의 부착을 신청하여 외부장치용 등록번호판을 본인 소유 택시에 부착하여 운행할 수 있는지 [법제처 16-0585]  (0) 2018.06.22
「관상어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관상어가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40조의2제3항제3호에 따른 살아 있는 동물에 해당하는지 [법제처 17-0079]  (0) 2018.04.23
자가용 화물자동차 사용신고에 관한 업무를 신고자의 주소지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가 아닌 다른 등록관청에서도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 등 [법제처 17-0070]  (0) 2018.04.05
운전면허 취소로 화물운송 종사자격의 취소처분 대상인 자가 그 자격의 취소처분 전에 운전면허를 재취득한 경우에도 화물운송 종사자격의 취소처분을 해야 하는지 [법제처 17-0023]  (0) 2018.03.14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별표 4의3 제1호나목에 따른 보수교육의 대상자인 “법령위반 운수종사자”의 범위 [법제처 17-0196]  (0) 2018.02.09
대폐차가 진행 중인 자동차를 포함해야만 등록기준 대수를 충족하는 경우 전세버스운송사업의 양도·양수가 가능한지 여부 [법제처 17-0231]  (0) 2018.01.16
여객자동차운수사업의 사업계획 위반행위에 해당하는 “감회 운행”의 횟수 산정 방법(「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 별표5 제1호 등 관련) [법제처 17-0417]  (0) 2017.11.03
자동차해체재활용업자가 폐차하는 자동차의 견인비용을 받는 것이 유상운송 금지에 위반되는지 여부(「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56조 등 관련) [법제처 16-0403]  (0) 2017.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