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 2014년 8월 22일 용역업체인 A사에 입사하여 공기업인 한국○○회○○목장에 비정규직 기간제 파견직으로(버스운전기사)로 근무하던 중 한국○○회와 A사간 용역계약 기간 만료되고, 한국○○회와 새로이 용역계약을 체결한 B사에 2015년 7월 3일 고용승계 되어 B사의 소속으로 근무하고 있음
- 그런데, 고용승계과정에서 A사에 근무하던 10개월 10일간 근로에 대해 적립된 퇴직금을 근무기간이 1년이 안되었기 때문에 한국○○회가 환수하여 B사에 퇴직금 적립액이 승계되지 않아 A사 근무기간에 대한 퇴직금을 지급받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퇴직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것
<회 시>
❍ 현행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해서는 퇴직급여를 지급할 의무가 없습니다.
❍ 원청업체와 용역업체(하청업체)간 위·수탁계약으로 원청업체가 용역업체에 용역수수료와 함께 수탁업체의 직원에 대한 인건비, 사용자부담 보험료, 연차수당, 퇴직금 등을 용역의 대가로 지급하기로 한 것은 원청업체와 용역업체간의 계약사항으로 용역업체 소속근로자가 원청업체에 대하여 퇴직금을 직접 청구할 수는 없으며, 위·수탁계약에 따라 용역의 대가를 원청업체가 환수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 만일 귀 질의의 A사와 B사간 고용승계가 A사의 계속근로기간을 B사의 계속근로 기간으로 인정하기로 약정한 것이라면, A사에서의 계속근로기간(10개월 10일)은 B사에서의 계속근로기간에 산입하여 A사와 B사의 전체 계속근로기간에 대하여 퇴직금을 산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그런데, A사와 B사간 고용승계가 단사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재고용한 것에 불과하다면 A사와 B사의 계속근로기간은 각각 분리하여 산정하여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A사의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원청업체 및 A사는 퇴직급여의 지급의무가 없습니다.
❍ 이에 대하여 정부는 지난 해 비정규직 종합대책(’14.12월)을 발표하고 기간제 및 파견근로자에 대한 퇴직급여제도 적용을 검토 중에 있음으로 알려드리며, 비정규직 근로자의 권리보호를 위해 더욱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끝.
【퇴직연금복지과-2655, 2015.8.10.】
'근로자, 공무원 > 퇴직급여, 퇴직연금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 이상 근로한 단시간근로자의 퇴직급여 발생 및 퇴직연금 반환 여부 [퇴직연금복지과-4192] (0) | 2015.12.07 |
---|---|
법무법인의 대표변호사가 개인적으로 변호사를 고용하였다면 실질적인 사용자는 대표변호사 개인으로, 퇴직금 지급도 법무법인이 아니라 대표변호사 개인 [의정부지법 2014나54930] (0) | 2015.12.02 |
정관상 명예퇴직수당 지급이 제한된 자가 명예퇴직수당을 지급받은 경우 이후 반환의무가 있는지 여부(소극) [부산고법 2015나51548] (0) | 2015.10.01 |
사외적립비율이 상이한 회사의 합병 시 급여지급 여부 [퇴직연금복지과-2624] (0) | 2015.09.30 |
DC 가입자가 중도인출하여 일시금을 수령한 이후, IRP계좌를 개설하여 일시금을 IRP로 납입할 수 있는지 [퇴직연금복지과-2692] (0) | 2015.09.30 |
무주택자 본인이 직접 주택을 신축하여 공사계약서 등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착공신고필증 등으로 중도인출이 가능한지[퇴직연금복지과-2726] (0) | 2015.09.30 |
관계사 전출입의 경우 퇴직신탁을 이전할 수 있는지 [퇴직연금복지과-2884] (0) | 2015.09.30 |
퇴직연금 확정기여형(DC형) 가입자의 체당금 산정방법 [퇴직연금복지과-2901] (0) | 2015.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