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13조제2항에 따라 숲가꾸기사업을 위해 벌채를 포함하지 않고 산림경영계획인가를 받은 자가 같은 법 제36조에 따른 입목벌채허가·신고 없이 벌채를 하려면 같은 법 제13조제5항에 따른 변경인가를 받아야 하는지?

[질의 배경]

기존에 인가받은 숲가꾸기를 위한 산림경영계획에는 벌채계획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였으나 자신이 하고자 하는 벌채는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7조제4항제1호 단서의 사유에 해당하므로 산림경영계획의 변경인가가 없어도 벌채를 할 수 있다는 민원인의 의견에 대하여 산림청이 별도의 입목벌채허가·신고 없이 벌채를 하기 위해서는 산림경영계획의 변경인가가 필요하다고 답변하자, 민원인이 직접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의뢰한 사안임.

 

<회 답>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13조제2항에 따라 숲가꾸기사업을 위해 벌채를 포함하지 않고 산림경영계획인가를 받은 자가 같은 법 제36조에 따른 입목벌채허가·신고 없이 벌채를 하려면 같은 법 제13조제5항에 따른 변경인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 유>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산림자원법이라함) 13조제2항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장 외의 공유림 소유자나 사유림 소유자(이하 산림소유자라 함)는 향후 10년간의 경영계획이 포함된 산림경영계획서를 작성하여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인가를 신청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5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7조제4항제1호에서는 산림소유자는 인가받은 산림경영계획 중 벌채의 연도·장소·양 및 방법을 변경하려면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변경인가를 받아야 하며, 다만, 같은 법 시행규칙 별표 3 1호 비고의 단서에 따라 수종별 적정 벌채시기(이하 기준벌기령이라 함)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벌채는 제외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산림자원법 제36조제1항에서는 산림 안에서 입목의 벌채를 하려는 자는 시장·군수·구청장이나 지방산림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4항에서는 병해충·산불 등 자연재해를 입은 임목(林木)의 제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입목벌채등을 하려는 자는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이나 지방산림청장에게 신고하고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그 위임에 따라 같은 법 시행령 제42조제2항제4호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46조제1항제1호나목에서는 솎아베기 대상 임지로서 평균 가슴높이의 지름이 20센티미터 이하인 입목을 솎아내기 위하여 벌채하는 경우 시장·군수·구청장이나 지방산림청장에게 신고하고 입목벌채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바,

이 사안은 산림자원법 제13조제2항에 따라 숲가꾸기사업을 위해 벌채를 포함하지 않고 산림경영계획인가를 받은 자가 같은 법 제36조에 따른 입목벌채허가·신고 없이 벌채를 하려면 같은 법 제13조제5항에 따른 변경인가를 받아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산림자원법 제36조에 따르면 산림 안에서 입목의 벌채를 하려는 자는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하는 것이 원칙이고, 같은 법 제74조제1항제3호 및 제79조제1항제2호에서는 허가나 신고 없이 입목벌채등을 한 자에게는 벌금이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같은 법 제14조제1항에서는 제13조제4항에 따라 산림경영계획을 인가받은 산림소유자는 그 산림경영계획을 실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3항에서는 산림소유자는 산림경영계획을 실행할 때 제36조에 따른 입목벌채등의 행위가 수반되면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미리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하고 이 경우 제36조에 따른 입목벌채등의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산림경영계획을 인가받은 자가 같은 법 제13조제4항에 따라 인가받은 산림경영계획을 실행할 때에는 입목벌채등의 행위가 수반되는 경우라도 같은 법 제14조제3항에 따른 신고를 함으로써 같은 법 제36조에 따른 입목벌채 허가나 신고를 대신하는 법적 효과가 발생한다 할 것입니다.

그리고, 산림자원법 제13조제2항에 따라 산림소유자가 작성하여야 하는 경영계획서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조제2항에서 정하는 어린나무 가꾸기 및 솎아베기 등 숲가꾸기에 관한 사항(2)과 벌채방법·벌채량 및 수종별 벌채시기 등에 관한 사항(3)등이 포함되어야 하고, 같은 법 시행규칙 제7조제3항에서 산림경영계획의 인가 또는 변경인가의 신청을 받은 시장·군수·구청장은 벌기령이 기준벌기령에 부합되는지 여부(3)와 사업계획이 경영계획구의 현지상황에 부합되는지 여부(4)를 검토하고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때에 산림경영계획인가서를 교부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산림자원법 제36조에 따른 입목벌채 허가나 신고 없이 같은 법 제13조제2항에 따른 산림경영계획을 실행하면서 입목벌채를 하려면 벌채방법·벌채량 및 수종별 벌채시기에 대한 사항을 산림경영계획서에 반영하여 산림경영계획의 인가를 받아야 하고, 최초의 산림경영계획에 벌채방법·벌채량 및 수종별 벌채시기에 대한 사항을 반영하지 않은 채 인가를 받은 후 벌채를 하려는 경우는 같은 법 제13조제5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7조제4항에서 산림경영계획의 변경인가를 필요로 하는 중요사항으로 규정한 벌채의 연도·장소·양 및 방법에 관한 변경에 해당하므로 같은 법 제13조제5항에 따른 변경인가를 받아야 할 것입니다.

한편, 산림자원법 시행규칙 제7조제4항제1호 단서에서 별표 3 1호 비고의 단서에 따라 기준벌기령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벌채는 제외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해당 비고에서는 지장목의 벌채에는 기준벌기령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지장목의 벌채는 같은 법 제13조제5항에 따른 산림경영계획 변경인가 사항에서 제외되므로, 숲가꾸기사업을 위한 벌채도 지장목의 벌채에 해당하여 산림경영계획 변경인가 사항에서 제외된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으나, 같은 법 시행규칙 별표 3 2호나목에서 숲가꾸기를 위한 벌채의 방법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별표 3 1호 비고에 규정된 지장목의 벌채는 목적사업의 시행에 지장을 주는 입목은 기준벌기령에 미달하더라도 벌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벌채를 허가나 신고 없이 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며, 숲가꾸기를 위한 생육공간 확보 등을 위해 실시하는 벌채는 위 지장목의 벌채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그러한 의견은 타당하지 않다고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산림자원법 제13조제2항에 따라 숲가꾸기사업을 위해 벌채를 포함하지 않고 산림경영계획인가를 받은 자가 같은 법 제36조에 따른 입목벌채허가·신고 없이 벌채를 하려면 같은 법 제13조제5항에 따른 변경인가를 받아야 한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5-0386, 2015.08.12.

 

반응형

'기타 > 기타 행정해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보훈처장으로부터 취업지원 대상자를 추천받아 경력경쟁임용시험을 통하여 공무원으로 특별채용하려는 경우, 합격기준에 미치지 못하여도 반드시 채용하여야 하는지 [법제처 15-0489]  (0) 2015.10.20
개인·가족자연장지 조성에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제14조제5항이 적용되는지 여부(「장사 등에 관한 법률」 제14조 등 관련)[법제처 15-0460]  (0) 2015.10.19
착수금 사용기간의 기산일(「방위산업에 관한 착수금 및 중도금 지급규칙」 제11조 등 관련)[법제처 15-0421]  (0) 2015.10.19
총포·분사기·도검·전자충격기·석궁의 탁송을 택배업자에게 위탁하는 것은 총포 등의 “양도·양수”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법제처 15-0439]  (0) 2015.08.27
공유수면 점용료·사용료의 감면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공유수면관리청은 점용료·사용료를 감면하지 않을 수 없다 [법제처 15-0241]  (0) 2015.08.27
국내결혼중개업자는 하나의 시·군·구에 둘 이상의 분사무소를 설치할 수 있다(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관련)[법제처 15-0453]  (0) 2015.08.26
산지일시사용 신고대상이 아닌 산나물 및 산약초류 재배 시 산지전용허가를 받아야 하는지(산지관리법 제14조 등 관련) [법제처 15-0384]  (0) 2015.08.25
한국투자공사의 “내부통제기준” 위반이「한국투자공사법」제23조제2호에 따른 임원의 신분보장 예외 사유인 “이 법에 따른 명령에 위반한 때”에 해당하는지 [법제처 15-0352]  (0) 2015.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