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개방형직위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 등을 규정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개방형직위 및 공모직위의 운영 등에 관한 규정」(이하 “지방자치단체 개방형공모직위규정”이라 함) 제8조제1항 본문에서는 임용권자는 경력경쟁임용등(경력 등 응시요건을 정하여 같은 사유에 해당하는 다수인을 대상으로 경쟁의 방법으로 임용하는 시험으로 공무원을 임용하는 것으로 「지방공무원법」 제27조제2항에 따른 임용을 말함)의 방법으로 개방형직위(「지방공무원법」 제29조의4 참조)에 공무원을 임용한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항 단서에서는 개방형임용 당시 경력직공무원인 사람은 전보(다른 기관과의 전입·전출을 포함함), 승진 또는 전직의 방법으로 임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한편,

「지역보건법」 제15조제2항 본문에서 보건소에 보건소장 1명을 두되, 의사 면허가 있는 사람 중에서 보건소장을 임용한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항 단서에서 의사 면허가 있는 사람 중에서 임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의료법」 제2조제2항에 따른 치과의사·한의사·조산사, 「간호법」 제12조에 따른 간호사, 「약사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약사 또는 보건소에서 실제로 보건 등과 관련된 업무를 하는 공무원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격을 갖춘 사람을 보건소장으로 임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보건소에서 실제로 보건 등과 관련된 업무 경력이 있는 공무원(개방형직위에 임용 당시 임기제공무원이 아닌 경력직공무원인 경우를 전제로 함)을 개방형직위인 보건소장으로 임용(전보, 승진 또는 전직의 방법으로 임용된 경우를 전제로 함)하는 경우, 그 보건소장은 「지방공무원법」 제66조에 따른 정년 규정이 적용되는지?

 

<회 답>

보건소에서 실제로 보건 등과 관련된 업무 경력이 있는 공무원을 개방형직위인 보건소장으로 임용하는 경우, 그 보건소장은 「지방공무원법」 제66조에 따른 정년 규정이 적용됩니다.

 

<이 유>

「지역보건법」 제15조제2항 단서에서는 의사 면허가 있는 사람 중에서 임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보건소에서 실제로 보건 등과 관련된 업무를 하는 공무원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격을 갖춘 사람 등을 보건소장으로 임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그 위임에 따라 규정된 「지역보건법 시행령」 제13조제1항에서는 보건소장의 자격 요건을 규정하면서 보건소에서 실제로 보건 등과 관련된 업무를 하는 공무원(제1호나목 및 제2호나목) 등을 규정하고 있는 한편, 「지방공무원법」 제25조의5에서는 전문지식·기술이 요구되거나 임용관리에 특수성이 요구되는 업무를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경력직공무원을 임용할 때에 일정기간을 정하여 근무하는 공무원인 임기제공무원을 임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같은 법 제3조제4항에서는 같은 법 제25조의5에 따라 근무기간을 정하여 임용하는 공무원에 대하여는 이 법 또는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같은 법 제66조 등을 적용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제66조제1항에서는 공무원의 정년은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60세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일반적으로 「지방공무원법」 제25조의5에 따라 임용되는 임기제공무원에 대하여는 같은 법 제66조의 정년 규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지방자치단체 개방형공모직위규정 제8조제1항 본문에서는 임용권자는 경력경쟁임용등의 방법으로 개방형직위에 공무원을 임용한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항 단서에서는 개방형임용 당시 경력직공무원(임기제공무원은 제외함)인 사람은 전보, 승진 또는 전직의 방법으로 임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2항에서는 개방형직위에 임용되는 공무원은 같은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임기제공무원으로 임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항제1호에서는 같은 조제1항 단서에 따라 임용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과 같이 지역보건법령에 따라 보건소에서 실제로 보건 등과 관련된 업무를 하는 임기제공무원이 아닌 경력직공무원(실적과 자격에 따라 임용되고 그 신분이 보장되며 평생 동안 공무원으로 근무할 것이 예정되는 공무원을 말하며 일반직공무원과 특정직공무원으로 구분함(「지방공무원법」 제2조제2항 참조))을 지방자치단체 개방형공모직위규정 제8조제1항 단서에 따라 전보, 승진 또는 전직의 방법으로 보건소장으로 임용하는 경우에는 같은 조제2항제1호에 따라 임기제공무원이 아닌 경력직공무원으로 임용된다고 할 것이므로, 그 정년에 관해서도 「지방공무원법」 제66조의 규정이 적용된다고 할 것입니다.

한편 개방형직위인 보건소장의 경우 임용기간이 정해져 있으므로(지방자치단체 개방형공모직위규정 제9조제1항 참조), 임기제공무원이 아닌 경력직공무원이 전보, 승진 또는 전직의 방법으로 보건소장으로 임용되는 경우에도 「지방공무원법」 제25조의5에 따른 임기제공무원과 마찬가지로 같은 법 제66조의 적용이 제외된다는 의견이 있으나, 지방자치단체 개방형공모직위규정 제8조제1항 단서 및 같은 조제2항제1호의 문언상 개방형임용 당시 임기제공무원이 아닌 경력직공무원인 사람이 전보, 승진 또는 전직의 방법으로 개방형직위에 임용된 경우는 임기제공무원으로 임용하는 경우에서 제외하고 있음이 분명한바, 그러한 의견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건소에서 실제로 보건 등과 관련된 업무 경력이 있는 공무원을 개방형직위인 보건소장으로 임용하는 경우, 그 보건소장은 「지방공무원법」 제66조에 따른 정년 규정이 적용됩니다.

 

【법제처 25-0593, 2025.10.23.】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고용노동 관련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무원의 임용과 관련하여 공무원임용령 제13조제3항 전단이 준용되어 임용권자는 채용후보자 명부에 올라 있는 군무원채용후보자 중 최종합격일부터 1년이 지난 사람은 지체없이 임용하여야 하는지 여부 [법제처 25-0584]  (0) 2025.11.05
지방공무원이 전문직위에서 7급으로 근무하다가 6급으로 승진한 후에도 계속하여 동일한 직위에서 재직하고 있는 경우,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7조의3제4항에 따른 가산점 부여 방법 [법제처 25-0618]  (0) 2025.11.05
바(bar)를 운영하는 사업주가 노무도급계약에 따라 인력공급 회사로부터 근로자를 파견받은 것에 불과하여 청소년을 고용하였음을 사유로 한 영업정지 처분사유를 인정할 수 없다 [서울행법 2024구단77924]  (0) 2025.08.06
교사의 채용을 위하여 교육공무원법 제12조제1항제2호 및 교육공무원임용령 제9조의2제2항제1호에 따라 필기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같은 영 제11조제1항이 준용되는지 등 [법제처 25-0383]  (0) 2025.07.23
업무대행기간이 만료된 경우 공무원임용령 제57조의4제1항 단서에 따라 업무를 대행하는 공무원에 해당하는지 [법제처 25-0318]  (0) 2025.06.25
법률 제10441호 행정사법 전부개정법률 부칙 제3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무원”의 범위 [법제처 25-0360]  (0) 2025.06.25
경찰공무원법 제13조에 따른 시보임용이 예정된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는 신임교육훈련을 이수한 기간이 청원경찰법 시행령 제11조제1항에 따른 보수 산정시의 경력에 산입되는지 [법제처 25-0273]  (0) 2025.06.25
일반직 지방공무원으로 임용되기 전 특정직공무원 재직기간의 근속승진기간 산입 방식 [법제처 25-0198]  (0) 2025.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