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남부지방법원 2023.11.8. 선고 2022가단215177 판결】

 

• 서울남부지방법원 판결

• 사 건 / 2022가단215177 임금

• 원 고 / 1. A ~ 3. C

• 피 고 / D 주식회사

• 변론종결 / 2023.09.20.

• 판결선고 / 2023.11.08.

 

<주 문>

1. 원고들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청구취지>

피고는 원고 A에게 13,160,440원, 원고 B에게 13,809,040원, 원고 C에게 12,570,000원 및 이 각 돈에 대하여 2022.6.22.부터 청구취지 및 청구원인 변경신청서 송달일까지 연 6%, 그 다음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

 

<이 유>

원고들은 피고에게 휴일 근로수당, 연장근로수당,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을 청구하고 있다.

휴일 근로수당에 관하여 보면, 원고들은 피고의 휴일 대체가 무효라고 주장한다.

피고가 제출한 증거에 의하면, 피고는 공휴일에 관하여 2020.1.1. 이전에는 취업규칙을 근거로, 2020.1.1. 이후에는 근로자대표와 휴일 대체에 관한 서면합의를 하고 원고들에게 미리 다음 달 스케줄 표를 작성하게 하여 휴일을 대체한 사실, 주휴일은 원고들에게 스케줄 표를 제시하여 주 1~3회 휴일을 보장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원고들은 공휴일에 관한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는 대체할 휴일을 특정하지 않아 무효라고 주장한다. 피고에 근무하는 모든 근로자들의 대체 휴일을 일률적으로 특정할 수는 없다. 대체할 휴일이 특정되지 않았다고 하여 피고와 근로자대표가 한 휴일 대체에 대한 서면합의가 무효라고 할 수 없다.

원고들은 대체 휴일을 원고들이 자유롭게 정할 수 없었다고 주장한다. 피고가 운영하는 대형마트는 유통산업발전법상 의무휴업일을 제외하고는 연중무휴로 운영되므로, 영업 여건상 공휴일이나 특정한 날에 근로자들을 일률적으로 쉬게 하기에 곤란한 사정이 있고, 원고들로서도 영업 특성상 공휴일 근로 등이 있을 것과 한꺼번에 쉴 수 없을 것임을 충분히 예상했을 것이다. 원고들이 대체 휴일을 정하는데 다소 제한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피고 영업의 인력 배치 상 불가피하다고 보인다. 원고들이 대체 휴일을 자유롭게 정할 수 없었거나 대체 휴일이 특정한 날로 고정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휴일 대체가 무효라고 할 수 없다.

휴일에 근로하였음을 전제로 한 원고들의 청구는 이유 없다.

연장근로수당에 관하여 보면, 원고들은 피고의 탄력적 근로시간제 운영은 취업규칙에 대상근로자의 범위, 유효기간 등을 명시하지 아니하여 무효라고 주장한다.

근로기준법 제51조제1항은 2주 이내의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할 때 대상근로자의 범위, 유효기간 등을 명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다. 피고의 탄력적 근로시간제가 무효라고 할 수 없고, 무효를 전제로 한 원고들의 연장근로수당 청구는 이유 없다.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에 관하여 본다.

원고들은 피고의 휴일 대체가 무효인데도 휴일에 쉬기 위해서는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피고는 원고들에게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피고의 휴일 대체가 무효라고 할 수 없고, 달리 원고들에게 연차휴가 미사용 일수가 남아 있다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원고의 청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

원고들의 청구는 모두 이유 없으므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사 최병률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근로시간, 휴게, 휴일, 휴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 유급휴일인 관공서 공휴일을 '특정한 근로일 등 관공서 공휴일 대체일로 합의한 날'로 대체할 수 있다 [서울고법 2023나2032144]  (0) 2025.05.19
연합교섭노동조합과의 합의에 따라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한 것은 적법·유효하다 [서울중앙지법 2021가합569489]  (0) 2024.11.29
근로자가 연차 유급휴가를 2시간 단위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근로기준법」 제60조제5항 단서에서 정한 요건 외의 사유로 근로자가 청구한 휴가의 시기를 변경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제처 24-0775]  (0) 2024.11.26
임상병리사, 방사선기사, 운전기사, 기계·전기기사, 수술실 간호사의 당직 및 콜대기 근무시간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인지 여부 [대법 2021다220062 등]  (0) 2024.11.20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9조제1항에 따른 육아휴직이 아닌 약정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 그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연차 유급휴가의 산정방법 및 부여시기 [법제처 24-0778]  (0) 2024.11.07
근로자가 주중에 있는 공휴일에 출근하지 않은 경우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0조제1항의 “개근”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는지 여부 [법제처 24-0732]  (0) 2024.10.11
보수교육에 참석하는 것은 근로제공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해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대구지법 2020가합203019]  (0) 2024.10.11
근무시간 외에 매월 6시간 이루어진 직무교육은 연장근로로 인정할 수 있으나, 온라인으로 이루어진 직무교육은 연장근로로 인정하기 어렵다 [부산고법 2020나55537]  (0)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