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구 「관광진흥법」(2004.10.16. 법률 제7232호로 일부개정되어 2005.4.17. 시행된 것을 말하며, 이하 같음) 제67조제1항에서 관광특구(외국인 관광객의 유치 촉진 등을 위하여 관광 활동과 관련된 관계 법령의 적용이 배제되거나 완화되고, 관광 활동과 관련된 서비스·안내 체계 및 홍보 등 관광 여건을 집중적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 「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곳을 말하며(「관광진흥법」 제2조제11호 참조), 이하 같음)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요건에 적합한 지역 중에서 시장·군수·구청장의 신청에 의하여 시·도지사가 지정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그 위임에 따라 마련된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2005.4.22. 대통령령 제18800호로 일부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것을 말하며, 이하 같음) 제56조의2에서는 관광특구로 지정될 수 있는 지역의 요건을 규정하면서, 같은 영 부칙 제4조에서는 제56조의2의 개정규정은 같은 영 시행 후 지정되는 관광특구부터 적용한다고 적용례를 규정하고 있는 한편,

일부개정 「관광진흥법」(2007.7.19. 법률 제8531호로 일부개정되어 2007.10.20. 시행된 것을 말하며, 이하 같음)에서는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56조의2 각 호에서 규정하고 있던 관광특구의 지정 요건을 일부개정 「관광진흥법」 제70조제1항 각 호로 상향하여 규정하면서, 해당 규정에 대한 경과규정을 두지 않았고, 그 위임된 사항을 정하는 전부개정 「관광진흥법 시행령」(2007.11.13. 대통령령 제20374호로 전부개정된 것을 말하며, 이하 같음)에서도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부칙 제4조의 효력에 관하여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은바,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의 시행일(2005년 4월 22일) 전에 관광특구로 지정받아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56조의2에 따른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을 적용받지 않던 지역(2005년 4월 22일 전에 관광특구로 지정받은 후 관광특구 지정취소가 없었던 지역을 전제함)이 일부개정 「관광진흥법」 제70조에 따른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의 적용을 받는지?

 

<회 답>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의 시행일(2005년 4월 22일) 전에 관광특구로 지정받아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56조의2에 따른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을 적용받지 않던 지역은 일부개정 「관광진흥법」 제70조에 따른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이 유>

구 「관광진흥법」 제67조제1항에서 관광특구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요건에 적합한 지역 중에서 시장·군수·구청장의 신청에 의하여 시·도지사가 지정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그 위임에 따라 마련된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56조의2에서는 관광특구로 지정될 수 있는 지역의 요건을 규정하면서, 같은 영 부칙 제4조에서는 제56조의2의 개정규정은 같은 영 시행 후 지정되는 관광특구부터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후 ① 일부개정 「관광진흥법」에서는 대통령령인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56조의2에서 규정하고 있던 관광특구의 지정 요건을 일부개정 「관광진흥법」 제70조제1항 각 호로 내용 변경 없이 상향하여 규정하면서, 그에 대한 경과규정을 두지 않았고, ② 전부개정 「관광진흥법 시행령」에서도 종전 부칙의 적용범위(법제처 법령·입안심사기준(2023) p.708 및 p.709 참조)나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부칙 제4조의 효력에 관하여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은바, 이 사안에서는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의 시행일(2005년 4월 22일) 전에 관광특구로 지정받은 지역에 대하여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부칙 제4조의 효력이 실효되지 않고 계속 적용된다고 볼 것인지가 문제됩니다.

먼저 대통령령인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던 관광특구의 지정 요건을 법률인 일부개정 「관광진흥법」 제70조제1항 각 호로 상향하여 규정하면서, 해당 규정에 대한 경과규정을 두지 않은 것에 대하여 살펴보면, 일부개정 「관광진흥법」 제70조제1항은 “관광특구의 지정에 관한 사항은 법률에 규정하여야 할 중요한 사항인 점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에 위임하고 있는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을 법률에 규정”하기 위하여 개정된 것이고(2007.7.19. 법률 제8531호로 일부개정되어 2007.10.20. 시행된 「관광진흥법」 개정이유 참조),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56조의2의 각 호에서 규정하고 있던 관광특구의 지정요건 4가지를 그대로 일부개정 「관광진흥법」 제70조제1항 각 호로 상향하여 규정함으로써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은 실질적인 내용 변경이 없었으며, 이처럼 종전과 내용이 동일하여 법령 적용에 혼선이 야기될 우려가 없는 경우(법제처 법령·입안심사기준(2023) p. 658 참조) 일반적으로 법령에서 경과규정을 두지 않는 것인바, 이 사안과 같이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의 시행일(2005년 4월 22일) 전에 관광특구로 지정받아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56조의2에 따른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을 적용받지 않던 지역에 대해서 일부개정 「관광진흥법」 제70조에 따른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을 적용하려는 입법취지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할 것입니다.

다음으로 전부개정 「관광진흥법 시행령」 부칙에서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부칙 제4조의 효력에 관하여 별도의 규정을 두지 않은 것에 대하여 살펴보면, 법령을 전부개정하는 경우에는 법령의 내용 전부를 새로 고쳐 쓰므로 종전의 본칙은 물론 부칙 규정도 모두 소멸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원칙이겠지만, 그 경우에도 종전 경과규정의 입법 경위와 취지, 개정 전후 법령의 전반적인 체계나 내용 등에 비추어 신법의 효력발생 이후에도 종전의 경과규정을 계속 적용하는 것이 입법자의 의사에 부합하고, 그 결과가 수범자인 국민에게 예측할 수 없는 부담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면 별도의 규정이 없더라도 종전의 경과규정이 실효되지 않고 계속 적용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대법원 2008.11.27. 선고 2006두19419 판결례, 대법원 2013.3.28. 선고 2012재두299 판결례 및 법제처 2010.4.2. 회신 10-0045 해석례 참조).

① 우선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부칙 제4조에서는 제56조의2의 개정규정은 같은 영 시행(2005년 4월 22일) 후 지정되는 관광특구부터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56조의2에서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이 신설됨에 따라, 집행상의 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설된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을 적용하는 시기 및 대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규정한 것으로써[법제처 법령입안·심사기준(2023) p.641 참조],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의 시행일(2005년 4월 22일) 전에 관광특구로 이미 지정받은 지역에 대해서는 강화된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이 적용되지 않도록 한 것이고, ② 전부개정 「관광진흥법 시행령」의 입법 취지를 살펴보면, 해당 대통령령의 개정방식을 전부개정 방식으로 한 이유는 어려운 용어와 표현 등을 이해하기 쉽게 고치고, 복잡한 문장 등은 체계를 정리하여 쉽고 간결하게 정비하기 위한 것으로(2007.11.13. 대통령령 제20374호로 전부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관광진흥법 시행령」 개정이유 참조), 실질적인 내용 변경을 위하여 전부개정한 것이 아니며, 이 사안에서 문제되는 관광특구의 지정요건과 관련된 개정은 일부개정 「관광진흥법」 제70조제1항으로 상향하여 규정된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전부개정 「관광진흥법 시행령」에서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부칙 제4조에 따른 적용례의 효력을 상실시키려는 의도나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과 전부개정 「관광진흥법 시행령」 사이에 관광특구 지정요건의 본질적인 변경 사항은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부칙 제4조에 따른 적용례가 실효되지 않고 계속 적용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입니다.

따라서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의 시행일(2005년 4월 22일) 전에 관광특구로 지정받아 구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56조의2에 따른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을 적용받지 않던 지역은 일부개정 「관광진흥법」 제70조에 따른 관광특구의 지정요건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법제처 24-0809, 2024.12.16.】

 

반응형

'경영, 금융, 보험,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상거래법 제17조제3항에 따른 “청약철회등”에 교환이 포함되는지 여부 [법제처 24-0867]  (0) 2025.01.06
한국예탁결제원이 정보공개법 제2조제4호에 따른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특수법인”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24-0978]  (0) 2025.01.06
공정거래법 제18조제3항제1호바목에서 규정하고 있는 “손자회사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의 의미 [법제처 24-0836]  (0) 2025.01.06
가맹사업법 시행령 제9조제4항에 따른 예상매출액 범위 산정 적용 대상인 “해당 가맹본부의 가맹점이 5개 이상 있는 경우”의 의미 [법제처 24-0795]  (0) 2024.12.19
대통령령 제22506호 수도법 시행령 부칙 제5조제1호의 “2010년 11월 26일 당시 해당 공장 부지면적의 범위”의 의미 [법제처 24-0786]  (0) 2024.12.11
사용자책임에 따른 손해배상을 구하는 사건에서 피해자가 피용자의 불법행위가 사무집행행위에 해당하지 않음을 알았거나 알지 못한 데 중대한 과실이 있는지 여부 [대법 2022다281378]  (0) 2024.12.11
구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제3호 (라)목 영업비밀 침해행위의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그 영업비밀의 보유자에게 손해를 입힐 목적’의 의미 [대법 2021다289399]  (0) 2024.12.11
발명진흥법 제15조제1항이 정하는 직무발명 보상금 지급 채무에 관한 채무자의 지체책임 발생 시기는 이행청구를 받은 때 [대법 2023다287168]  (0) 2024.12.11